작성일 : 12-01-18 13:53
저서 목록 |
1. 「혁명적 신앙인들」한국신학연구소, 1987, pp.209 2. 「사회윤리학의 탐구」대한기독교서회, 1993, pp. 550. 3. 「개신교 윤리사상사」 대한기독교서회, 1998, pp. 585 4. 「장공 김재준의 정치신학과 윤리사상」대한기독교서회, 2002, pp. 176 5. 「마르틴 루터의 신학사상과 윤리」대한기독교서회, 2004, pp. 414 6. 「세계화 시대 기독교의 두 얼굴」한울사, 2007, pp. 475 7. 「하나님 나라와 공공성-기독교 사회윤리서설」대한기독교서회, 2010 pp. 208
8. [한국개신교의 신학적 실존] 대한기독교서회 2014.pp. 476 9. [한반도의 그리스도교 평화윤리] 도서출판 동연 2019. pp. 318
|
|
공저 목록 |
1. [민중신학에 있어서 민족문제], {전환기의 민중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992. pp.164-179. 2. [새로운 세계질서와 그리스도인의 과제] {예수, 민중, 민족} 안병무 고희 논문집, 1992, pp. 332-346. 3. [기독교 역사에 나타난 경제사상] {기독교 신앙과 경제}, 한국신학연구소, 1993, pp.214. 4. [주체사상과 기독교 신학의 비판적 대결],{기독교에서 본 주체사상}, 민중사, 1993.5. 1. pp. 48-62. 5. [종교신학과 정치신학의 갈등과 접맥], {유동식 박사 고희 논문집}, 1995, pp. 55-67.
|
6. [포스트모더니즘과 탈식민주의 시대의 한국신학], {포스트모더니즘과 탈식민주의시대의 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996, pp. 11-48 7. [교회와 사회봉사] {사회봉사 핸드북}, 성공회대학교, 1995, pp. 98-134. 8. [디트리히 본회퍼] {103인의 현대사상-20세기를 움직인 사상의 모험가들}, 민음사,1997, pp.445-451. 9. [지성과 신앙을 결합시킨 사람], {갈릴래아의 예수와 안병무} 1998. 10. 333-338, 한국신학연구소 10. {한일관계와 사회 문화적 상호작용} 성공회대학교 출판부1999.7 pp 9-30
|
11. [과학적 교리체제에 대응하는 해체언설로서의 비유], {과학과 종교}, 아카넷, 2000, pp. 161-179 12. [장공 김재준과 이데올로기] {장공사상 연구논문집}, 장공 김재준 목사탄신100주년 기념사업회편, 2001.10, pp. 441-456 13. [한국개신교의 사회적 신뢰성 위기와 그 미래], {믿고 알고, 알고 믿고-정양모 신부은퇴 기념논총}, 분도출판사, 2001. pp. 397-442. 14. [장공 김재준의 역사-사회의식], {이용도, 김재준. 함석헌 탄신 100주년 기념특집}, 문화신학회, 한돌출판사, 2001.11 pp. 244-262. 15. [한국개신교 평화윤리 서설], {폭력과 전쟁, 그리고 평화}, 한들, 2002, pp. 301.
|
16.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의 비판], {지구화와 사회윤리}, 다산글방, 2003, pp. 9-40 17. [심원 안병무의 교회이해], {안병무 신학사상과 맥 1}, 한국신학연구소, 2003, pp.65-88. 18. [인격은 지성보다 더 위대하다]. {평화와 통일의 실천마당}, 홍근수목사퇴임 기념논문집, 2003. 5. 19. [장공 김재준의 복음이해와 한국민족], {장공 김재준의 신학세계}, 2006, pp. 295-316 20. [기독교 역사에서 본 종교권력], {종교권력, 무엇이 문제인가?} 동원, 2008년, pp.57-83
|
21.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의 비판], {지구화와 사회윤리}, 다산글방, 2003, pp. 9-40 22. [심원 안병무의 교회이해], {안병무 신학사상과 맥 1}, 한국신학연구소, 2003, pp.65-88. 23. [장공 김재준의 복음이해와 한국민족], {장공 김재준의 신학세계}, 2006, pp.
24.[디트리히 본회퍼의 신학사상연구] 동연출판사 2017년 12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