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심광섭의 미술산책] 영광송(doxology)

심광섭·감신대 교수(조직신학)

▲성비탈레성당, <보좌에 앉으신 그리스도>외 생드니 성당의 장미창.
▲성비탈레성당, <보좌에 앉으신 그리스도>외 생드니 성당의 장미창.
▲성비탈레성당, <보좌에 앉으신 그리스도>외 생드니 성당의 장미창.
어떻게 거룩하고 아름다우며 은혜 충만하고 감동적인 예배가 가능할까? 예배의 기쁨, 감동, 설렘, 어떻게 이런 예배가 가능한가? 나는 요즘 토요일만 되면 이런 예배를 위해 고민한다. 기쁜 마음의 원인 제공 요인이 내 마음 밖에 있듯이 감동적인 예배의 요인도 예배자 밖에 있다. 그 요인이 목사의 설교인가? 성가대의 거룩하고 아름다운 찬양인가? 예배의 분위기인가? 아니다! 하나님의 영광(gloria Dei)이다. 우리는 영광송(doxology, 1-7장)을 부르며 하나님에게 나아간다.
 
고대와 중세 교회는 돔 천정에 모자이크의 “만유의 주”(Pantocrator)가 되신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보며, 그 분으로부터 스테인 그라스를 통해 눈부시게 비쳐오는 밝고 찬란한 빛을 온 몸에 휘감으며 영광송을 부르며 예배당 안으로 들어갔을 것이다.
 
하나님의 영광의 얼굴을 보는 것은 출애굽의 이유다. 모세가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하나님께 이런 간청을 올린다: “저에게 주님의 영광을 보여 주십시오”(출33:18). 주님께서 대답하시길, “내가 나의 모든 영광을 네 앞에서 지나가게 하고, 나의 거룩한 이름을 선포할 것이다. ... 내 영광이 지나갈 때에 내가 너를 반석 틈에 두고 내가 지나도록 내 손으로 너를 덮었다가 손을 거두리니 네가 내 등을 볼 것이요 얼굴은 보지 못하리라”(33:23) 그러나 모세는 하나님의 영광이 임재한 회막에 들어가지 못한다. “구름이 회막에 덮이고 여호와의 영광이 성막에 충만하매 모세가 회막에 들어갈 수 없었으니...”(출 40:34)
 
원래 성전은 하나님의 영광이 충만한 공간이어야 하지만 성전이 파괴된 이후... 그리고 무엇보다 예수는 성전된 자기 육체를 가리켜 말씀하신다(요 2:21).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았다”(요 1:14)
영성가 피터슨의 번역은 좀 건방떨지만 신통할 만큼 구체적이다.
“말씀이 살과 피가 되어 The Word became flesh and blood,
우리 동네로 이사 오셨다. and moved into the neighborhood.
우리는 그 영광을 두 눈으로 보았다. We saw the glory with our own eyes
단 하나뿐인 그 영광은, the one-of-a-kind glory,
아버지 같고, 아들 같아서 like Father, like Son,
안팎으로 두루 충만하고 Generous inside and out
처음부터 끝까지 진실하다.” true from start to finish.[피터슨, <메시지>]
 
변화산의 변모! 기도하실 때 예수의 용모가 변화고 그 옷이 희어져 광채가 난다. 모세와 엘리야의 나타나고 제자들이 깊이 졸다가 온전히 깨어나 예수의 영광과 및 함께 선 두 사람을 본다.(눅 9:28-36) 제자들의 깊은 졸음을 온전히 깬 예수의 영광, 아름다움!
 
예배란 인간의 심령이 하나님을 만나서 사귀는 거룩한 경험이다. “기독교 예배는 인간이 할 수 있는 것 중에서 가장 중대하고, 가장 긴급하며, 가장 영광스러운 행동이다”(칼 바르트)
 
예배는 하나님의 아름다움(영광)을 체험하고 사귀며 즐기는 거룩한 시간이다. 그리스도인들은 예술과 아름다움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표현하고 싶어 한다. 기쁨의 성례를 집전하는 이들이 아름다운 예복을 입고 나타나는 것은, 그는 지금 하나님 나라의 영광을 옷 입은 것이며 성육신 하신 그리스도가 우리에게 영광 중에 나타나시기 때문이다. 
 
우리는 예배를 통해 기쁨을 주신 하나님께 간다. 예배의 생명은 일상적 실재를 통해 표현하기에는 너무 높은 생명이기에, 오직 예술에서 자신에게 맞는 형태와 방법들을 취한다. 예배는 격식과 음율을 갖춘 말을 사용한다. 예배는 형식과 리듬이 있는 제스처를 취한다. 
 
예배는 일상생활에서와는 다른 색깔과 의상을 입는다. 최상의 의미에서 예배는 모든 것이 그림이고 멜로디이며 노래인 어린아이의 삶이다. 이것이 바로 예배가 보여주는 놀라운 사실이다. 예배는 하나님 앞에서의 초자연적인 아이스러움을 통해 행위와 실재를 하나로 연합시킨다.(로마노 과르디니)
 
인간의 중요 목적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이며, 그를 영원히 즐기는 것이다: Man's chief end is to glorify God and to enjoy him forever)-웨스트민스터 간추린 교리문답에서.
 
 

좋아할 만한 기사
최신 기사
베리타스
신학아카이브
지성과 영성의 만남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의롭다 함을 얻은 백성은 이웃사랑에 인색해서는 안돼"

한국신학아카데미 2025년 봄학기 '혜암 이장식 교수 기념 학술세미나'가 11일 오후 서울 안암동 소재 세미나실에서 '구약 율법과 신약 복음의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16세기 칼뱅은 충분히 진화론적 사유를 하고 있었다"

이오갑 강서대 명예교수(조직신학)가 「신학논단」 제117집(2024 가을호)에 '칼뱅의 창조론과 진화론'이란 제목의 연구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정태기 영성치유집단이 가진 독특한 구조와 치유 의미 밝혀

정태기 영성치유집단을 중심으로 집단리더가 구조화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를 통해 영성치유집단이 가진 독특한 구조와 치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