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오리지날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 방영 이후 JMS 등 이단 사이비의 충격적인 실태를 접한 소위 K-교회 목회자들의 반응은 크게 두 갈래로 나뉘었다. 먼저 기독교 간판을 달고 있는 문제의 단체들로 인해 기독교가 도매금으로 비난 받을 것을 우려하며 정통과 이단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당면한 종교적 이슈를 회피하는 방법을 채택했다.
이러한 방법을 채택한 목회자들은 문제를 일으킨 집단은 정통 교회가 아니라 이단 사이비 단체라는 점을 분명히 하며 이단 집단과 선을 긋고 정통 교회는 반사회적 범죄를 저지르는 이단 사이비와는 다르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얼마 전 이 문제를 놓고 공식 기자회견을 연 예장합동 산하 이단사이비 대책위원회의 발표 내용도 이러한 입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다만 이들은 이단 세력의 준동을 막아내지 못한 점에 책임을 통감하며 이단 세력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추가적으로 보탰을 뿐이다.
반면 소수이긴 하지만 이번 종교적 이슈를 둘러싸고 K-교회의 회개와 반성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낸 목회자들도 더러 있었다. 골자는 소위 '정통'이라고 불리는 기성 교회가 성도 개인의 영혼의 목마름을 채워주지 못하자 갈증을 느낀 가여운 성도들이 이단 사이비 단체의 유혹에 넘어가 피해를 당했다는 주장이었다. 정통과 이단으로 구분해 책임을 회피하는 태도와는 사뭇 다른 방식의 반응이었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오늘날 대중문화 콘텐츠를 통해 교회와 목회자들이 희화화되고 조롱 받고 있는 현실에서 콘텐츠 제작자들이 물어 뜯을 만한 먹잇감을 제공하는 등 종교적, 사회적 문제의 빌미를 제공해 온 K-교회 목회자로서 책임을 통감하는 자세이기도 해서 깨어있는 성도들의 공감을 사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이러한 입장 조차 이단 문제는 정통 교회가 제대로 서지 못해서 발생하는 문제라는 명제의 기초 위에 서 있었기에 일련의 사태에 대해 소위 '정통'이라는 입장에서 책임을 통감하는 수준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이 즈음에서 우리는 정통과 이단의 경계가 무엇이고 구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정재현 교수는 <종교신학 강의>란 저서에서 모르몬교와 안식교의 이단성을 특징짓는 것이 무엇인지를 논하며 정통과 이단을 이렇게 구분했다. "이들에게서 이단성을 발견할 수 있다면 그것은 바로 '우리 교회에만 구원이 있다'는 주장에서 찾을 수 있고 찾아야 할 것입니다. 모르몬교는 여전히 모르몬교에만 구원이 있다고 말하며, 안식교는 안식교에만 구원이 있다고 말합니다." 다시 말해 자기 교회에만 구원이 있다는 자기 교회중심주의야말로 이단의 온상이라는 지적이 아닐 수 없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또 한번 물을 수밖에 없다. 오늘날 '정통'이라고 부르는 한국 개신교회는 가톨릭의 교황 중심주의, 교회 중심주의를 혁파하겠다고 저항하며 나온 종교개혁자들의 후예라는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는가? 아니면 미워하면서 닮는다고 가톨릭의 잘못을 답습해서 목회자 중심주의, 개교회 중심주의를 꾀하면서 개혁의 주체가 아닌 대상이 되어가고 있는가? 더 나아가 구원 뿐 아니라 생사여탈권을 쥐고 흔드는 중세교회의 권력에 견줄 만한 교회 권력에 오히려 군침을 흘리고 있지는 않은가?
종교개혁을 통해 교직주의와 교회주의를 넘어서려 했지만 작금의 한국 개신교회는 다시 과거로 회귀하는 경향이 도처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만인사제설을 내세운 종교개혁의 전통을 비웃으며 교직주의로 돌아가 목사를 사도요 제사장이라 호칭하고 치켜 세우며 우상화 한다. 하나님 다음으로 목사를 추앙하도록 부추기며 충성 경쟁을 부채질 하고 제자훈련이라는 명목으로 예수의 제자가 아니라 교회의 제자이자 목회자의 제자를 양성한다.
교회주의 문제는 또 어떤가? 개교회 이기주의에 사로잡혀서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는 종교개혁 이전의 구호로 돌아가 구원에 관한 한 하나님의 자리를 표방하는 교회들이 서로 경쟁하며 교세를 확장한다. 교회가 구원을 붙들어 매는지 여부가 이단을 구분하는 결정적인 방법이라는데 이 구분법에서 자유로운 교회가 대체 얼마나 될까? 정통과 이단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는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