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트만 박사 ⓒ베리타스 |
먼저 대담에 참여한 이정익 목사(신촌성결교회)가 교회와 정치의 올바른 관계에 대해 묻자 몰트만 박사는 "독일과 한국 상황이 많이 다르다"는 점을 전제하고선 "독일교회는 기본적으로 정치나 사회 문제에 참여할 수 있었고, 늘 준비를 해왔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독일교회는 여러 분과들을 만들어서 여태껏 백서도 내고, 성명을 발표하면서 각종 사회 문제들에 목소리를 내왔고, 함께 고민해 왔다.
몰트만 박사는 그러나 "한국은 이런 상황이 아니기에 광범위한 차원에서 노력을 전개해야 한다고 본다"면서 "특히 한국교회가 진리의 문제로 접근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럴 때 차츰차츰 영향력을 발휘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호서대 강일구 총장이 생태위기, 경제위기 등으로 얼룩진 국제 사회적 절망의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면 좋을지에 의견을 구하자 절망 앞에 선 ‘희망의 신학자’ 몰트만 박사는 "자연현상에서 보자면 절망적이나 하나님의 은총의 입장에서 본다면 희망이다"라고 말했다.
몰트만 박사는 무엇보다 생태위기 문제와 관련해 산업화 이후 단 한번도 궤도 수정이 없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개발 지향성에 "사람들이 자기들이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는 것도 한편으론 문제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알고 있지만 행하지 않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전하며 끊임없는 의심의 해석학 내지는 의식화 작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또 다른 대담자 서울신대 유석성 총장은 몰트만 박사가 그의 자서전에서 눈물의 나라라고도 표현한 한국에 대한 평을 부탁했다. 몰트만 박사는 "1975년 3월 처음 한국을 방문했을 때, 한국은 독재의 상황이었고 한신대 학생들이 삭발하고 데모하다가 잡혀가는 현실이었다"면서 "그 때 암울한 현실을 경험하면서 한국은 그야말로 눈물의 나라라고 생각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몰트만 박사는 "하지만 이제는 달라졌다"며 "한국은 고도의 기술 국가로 자리잡은 것 같다"고 말했다.
독일교회의 한국교회를 향한 각별한 애정도 과시했다. 몰트만 박사는 "독일교회는 한국에 대해 공통분모를 늘 생각했는데 바로 같은 분단의 나라였다는 점"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교회의 성장 신화를 보면서 성장 침체기에 있는 독일교회도 새롭게 일어설 수 있겠다는 희망을 봤다"고도 덧붙였다.
대표작 ’희망의 신학’에 이어 ‘희망의 윤리’를 근자에 집필하게 된 동기도 밝혔다. 몰트만 박사는 "‘희망의 신학’을 쓰고난 후 ‘희망의 윤리’를 쓴 것은 전통적인 방식에 따른 것"이라며 "신학은 곧 윤리에 늘 속하고, 믿는다는 것은 행위의 문제로 직결되기 때문"이라고 역설했다. 아울러 "윤리학이 가지고 있는 장점으로 시간과 공간이라는 구체적인 상황에 밀접하게 쓸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몰트만 박사는 특히 집필 과정에서 누락된 경제 문제에 관한 집필의 필요성을 들며 "지금 현재 경제 논리라는 것은 양적 성정만 말하고 있는 것인데 이제 질적 성장을 말해야 한다고 본다"면서 "산업이라고 해도 재생 가능한 산업이 발전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전지구적으로 공유해야 할 재화들이 있고, 그 재화를 보존하기 위한 일들에 중요한 가치를 부여해야 한다고 본다"면서 "공기라든지 기후라든지 물이라든지 이런 것들은 전지구적으로 보존해야 할 중요한 자원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끝으로 한반도 통일 문제에 대해선 "근자에 있었던 아랍의 봄은 소위 인터넷을 통한 혁명이었다"라며 "북한 같은 경우도 휴대용 전화기와 인터넷을 통해 여러 사람들의 정보와 의견들이 교환, 전달되면 무기나 힘으로 통제하는 것이 불가할 것이다. 이런 방식들을 통해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본다"고 짧게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