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로네제, <이삭의 희생>, c.1585. |
해괴망측하고 경악할 일이 아닐 수 없다. 아비가 곧 아들 목을 따려하고 아들은 목을 길게 뻗은 채 눈은 하늘을 바라보고서는 재가 되기만을 기다리고 있지 않은가. 몸과 목숨이 지극한 위험에 처해지는 이러한 일이 하나님에 의해 저질러지는 일이라는 것을 어찌 이해할 수 있겠는가?
하여 루터도 창세기 강의 중에 학생들에게 이런 엉뚱한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었는가보다. “하나님이 신심 깊은 자들을 가지고 죽이고 되살리고 하는 이 놀음을 하시는 것은 당신 자신과 천사들에게 흥겨운 구경거리를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베로네제(Paolo Veronese, 1528-1588)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파의 화가다. 그의 <이삭의 희생>(c.1585)은 땅의 제단이 대각선을 따라 하늘로 올라가는 듯하다. 화가는 이삭의 눈높이에서 위를 향하여 그렸다. 화가는 하나님의 놀음일지라도 심오한 믿음, 깊은 경건함으로 그려낸다. 그야말로 하나님에 대한 “절대 의존의 감정”(슐라이어마허)의 표현이다.
이삭은 체념한 듯,
아버지의 신앙을 통해 하나님의 언약을 믿는 듯,
무슨 영문인지 모르는 듯,
아버지의 행동을 무조건 믿는 듯
우리들이 과거에 기도하던 방식으로 얌전히
제단 위에 알몸으로 무릎을 꿇고 고개를 밑으로 떨구고 있다.
이삭이 묶이지 않을 것을 보면
이삭이 달아나거나 저항하지 않고
순종과 기도의 자세를 취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
이삭은 경건의 화신이다.
이는 동방 전통의 도상의 특징이기도 하다.
아브라함은 왼손으로 아들의 어깨를 잡고
오른 팔을 높이 쳐들었다.
허리춤에 꽃아 두었던 칼이 오른 손에 잡히자
하늘에서 칼춤을 춘다.
칼날이 수직으로 내려 꽂히려는 순간
천사가 가파르게 고꾸라지듯 나타나
아브라함의 필목을 낚아챈다.
동방전통에서는 아들의 목에 칼을 대는 아브라함의 위협적인 자세가 우세했고,
서방전통에서는 팔을 들어 칼을 크게 휘두르는 과시적 동작을 선호했다 한다.
왼쪽 덤불에는 다소곳이 어린양이 이삭을 바라보고 있다. 2세기 사르데스의 주교 멜리토는 ‘이삭의 희생’ 주제에서 숫양을 예수의 상징으로 해석했다. 성경이 알래고리적으로 해석되기 시작한 것이다. 어린양을 가둔 덤불은 예수의 십자가요, 제단이 차려진 곳은 예루살렘이다.
하늘빛이 마지막 순간을 태우는 노을처럼 온통 금빛이다.
그 노란 빛은 이삭의 어깨 위에서 더욱 밝고 투명하게 빛난다.
하느님의 놀이에 초대된 아브라함의 믿음에 이삭의 순종이 더해지지 않았더라면
그 빛어림은 이처럼 아름답지 않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