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신학자’ 위르겐 몰트만 박사. ⓒ베리타스 |
먼저 ‘희망의 신학자’ 몰트만 박사는 ‘희망의 하나님과 우리의 미래’를 주재로 한 강연에서 신앙의 요소 중 ‘희망’이 갖는 중요성을 새삼 강조했다. 왜 중요할 수 밖에 없는지에 대해선 종말론적 공동체로서의 그리스도인의 삶에 잇대어 설명했다.
몰트만 박사는 "기독교 신앙은 온전하고 완전한, 확실한 희망이다. 앞으로 향하는 것이고 오고 있는 것에 대한 기대 속에 있는 삶"이라며 "미래는 기독교와 관계된 것이 아니라 그 신앙의 핵심 요소다. 모든 성화(聖畵)들이 그려지는 곳에 쓰이게 되는 새벽 여명의 황금색과도 같은 것이다. 왜냐하면 부활 희망이라야 기독교 신앙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몰트만 박사는 이어 "우리는 기다리면서 나아간다. 우리는 희망하고 인내한다, 우리는 기도하면서 깨어있다"면서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가 기다려지고 있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매일 새 아침을 맞으면서, 매번 찾아오는 새해를 맞으면서, 매번 새로 나이를 먹으면서 우리는 기다려진다. 그리고 우리가 죽을 때에는, 우리는 예수께서 맞은 편 냇가에 서 계신 것과 우리를 영원한 생명의 축제에 초대하실 것을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다림과 소망을 품고 사는 기독교인이 종말의 한 날을 그리며 사는 것은 필연적이란 설명이다.
그러면서도 몰트만 박사는 ”지금 종말이” “장차 올 그날” “아마겟돈 계곡에서 하나님과 사탄의 마지막 살육” 등의 유행처럼 번지며 종말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음에 관심을 두면서도 묵시론적 상 그리기에는 우려를 표했다. 그는 "우리가 종말에 대해서 그려보는 상과 상상들은 종교적이든 비종교적이든 경악할만한 묵시론적 상들인데 문제는 그러한 것들이 과연 기독교적인가 하는 것"이라며 "단적으로 말하면 그것은 기독교적이지 않다"고 단언했다.
▲실천신대 설립자 은준관 박사. ⓒ베리타스 |
몰트만 박사는 또 "원초적이고, 정통성 있는 기독교인의 미래 기대는 그러한 종말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며 "(오히려)기독교의 종말은 시작과 관계가 있다. 참 생명의 시작과, 하나님 나라의 시작과, 모든 피조물이 그 영원한 모습으로서 새롭게 창조되는 시작과 관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몰트만 박사는 "나는 ‘희망의 신학’을 말하기 시작한 1954년 이래로, 우리가 멀리 있는 ‘그리스도의 재림’ 뿐만 아니라 현존하는 ‘그리스도의 미래’에 대해 말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해 왔다"면서 "그리스도의 재림이란 우리에게 이미 현존하는 미래를 의미한다. 언젠가 과거가 되어버릴 미래가 아닌, 그 미래가 현재로 머무르게 되는 미래다. 우리 가운데 계신 성령님은 오고 있는 그리스도 나라의 실재인 것"이라고 부연했다.
또 다른 강연자 은준관 박사는 ‘세상에 희망을 여는 공동체-한국교회 희망의 프로세스’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치명적 오류에 빠진 한국교회 실상을 파헤쳤다. 앞서 그는 종말론적 과정을 거치지 않은 교회는 "엄밀한 의미에서 교회가 아니라고 보아야 한다"며 거듭남과 응답이라는 "종말론적 ‘장’"이야말로 교회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교회가 풀어야 할 과제도 제시했다. 두 가지 치명적 오류를 극복해야 한다고 말한 그가 언급한 것들은 “문화선교, 소그룹 운동, 열린 예배 등의 이름으로 ‘예배-교육-교제-선교’로 이어지는 성서적 신앙 체계를 훼손했다” “예배와 교육 사이 신앙의 끈을 오래 전에 끊어 놓았다” 등이었다.
은 박사는 그러면서 "오늘 한국교회에는 파편화된 프로그램들만 즐비하다. 한국 기독교 신앙은 많은 상품 중에 하나만 선택하는 분열된 신앙으로 전락했다"며 "그래서 우리는 모두 ‘영적 문맹’이 되고 말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교회의 미래는 초대교회가 우리에게 물려준 예배, 교육, 교제, 선교라는 성서적 신앙체계를 다시 하나님의 백성이 만나고 응답하는 종말론적 통로로 신학화하는 데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