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

WCC 울라프 트베이트 총무, 기장 한반도 평화통일 월요기도회 설교문

Welcome one another, therefore, just as Christ has welcomed you, for the glory of God.

 
그러므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받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심과 같이 
너희도 서로 받으라.
 
To the leadership and members of the PROK, guests, brothers and sisters, I greet you with the Peace of Christ.  I bring you greetings from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Thank you for this invitation to be with you and to preach for this important prayer service for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총회장님과 총무님, 온 성도들, 그리고 이 자리에 참여해 주신 형제, 자매 여러분께 그리스도의 평화가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 오늘 여러분께 세계교회협의회로부터 안부의 인사를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이 자리에 초대해 주심과 또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이 의미 있는 기도회에서 설교하게 됨을 감사 드리는 바입니다.
 
I have returned to Korea for the primary purpose of saying to the host churches how grateful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and the one ecumenical movement are to you for your example of extravagant hospitality and generosity demonstrated through the manner in which you hosted the recent 10th Assembly of the WCC in Busan. 
 
저는 지금까지 하나의 에큐메니칼 운동을 위해 노력해 왔던 세계교회협의회가 여러분께 진심 어린 감사의 말씀을 전해 드리고자 한국에 다시 방문했습니다. 특별히, 지난 해 부산에서 개최된 WCC제 10차 총회를 주관해 주시고 또한 아낌없는 대접과 아량을 베풀어 주심에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I continue to hear from persons who were blessed to be a part of the assembly how much this assembly profoundly influenced and inspired them.  So much of this overwhelmingly positive reaction is due to the commitment that the Korean churches made to ensure that the assembly was a success.  Thank you very much.
 
저는 총회의 일원으로 참여해 주셨던 많은 사람들로부터 이번 부산 총회가 얼마나 그들에게 진정으로 영향을 주고 감화를 주었는지를 지속적으로 들어왔습니다. 이렇게 주변의 넘치는 긍정적인 반응은 바로 한국 교회가 총회의 성공을 보증하는 헌신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리는 바입니다.
 
The sacrifice of your resources of time, energy, presence and finances has not been in vain.  The assembly has given us a mandate; and, in the days since then, we have been working and discerning how it is that we shall live out this mandate, embarking on a pilgrimage of justice and peace.  As we prepared for this assembly together, we all shared the common hope that the presence of the global fellowship of churches could and would make a difference in the lives and peoples of the Korean peninsula.  
 
여러분들의 시간과 노력, 참여와 재정적 후원, 이러한 값진 희생은 결코 헛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이번 부산 총회는 우리에게 하나의 명령을 주었습니다. 총회 이후 몇 일이 지나지 않아, 우리는 정의와 평화의 순례를 개진해야 한다는 이 명령을 실천에 옮기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파악하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이번 총회를 함께 준비해오면서, 우리 모두 교회의 전 지구적 친교가 한반도에 살고 있는 피조물과 사람들에게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또 차이를 낼 것임을 공통적으로 희망해 왔습니다.
 
We all hop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assembly would bring about even stronger ecumenical cooperation among the churches here.  We all hoped that through our common experience of the Busan Assembly the churches from various parts of the world would be drawn closer to each other and to the churches of Korean. Today, we are reminded of one of our greatest hopes for the Busan Assembly, that our coming together, learning together, discerning together, speaking together and our singing and praying together might lead us closer to a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우리는 모두 부산 총회의 준비가 한국 교회 가운데 훨씬 더 강력한 에큐메니칼 협력을 이끌어 낼 것임을 희망했습니다. 부산 총회라는 우리의 공통된 경험을 통해서 세계 도처의 다양한 교회들이 서로 가까워지고 또한 한국 교회와도 더욱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질 것을 희망했습니다. 오늘 이 자리에서 부산 총회에서 제기되었던 것 가운데 가장 위대한 희망 하나를 떠올려 봅니다.  그것은 바로 만남, 배움, 깨달음, 대화, 찬송과 기도 이 모든 것들이 우리로 하여금 한반도의 평화 통일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게 한다는 것입니다.
 
 In the days leading up to and during our assembly in Busan, you fervently prayed as did we, “God of Life, lead us to justice and peace.”  And the God of Life is indeed leading us on this path toward justice and peace already.  We can even begin to see stations and sign posts on our way.  In this same spirit, I am humbled that I can join you in prayer this evening for this long hoped for unity.
 
지난 해 부산 총회를 앞두고, 아울러 부산 총회를 진행하는 동안, 여러분께서는 저희가 했던 것처럼 열과 성을 다해 “생명의 하나님, 우리를 정의와 평화로 이끄소서”라고 기도 하셨습니다. 실제로 생명의 하나님께서는 이미 정의와 평화를 향한 길로 우리를 인도하셨습니다. 심지어 지금 우리는 정의와 평화를 향한 길 위에 놓여져 있는 정거장들과 이정표들을 보기 시작했습니다. 이렇게 하나된 염원 속에서, 저는 겸손한 마음으로 평화통일이라는 오랜 희망을 위한 이번 저녁 기도회에 여러분께서 함께 하시길 바라는 바입니다.
 
In the letter to the Romans, the 15th chapter, we read this appeal from Paul to welcome one another as Christ has welcomed us.  It is through this embrace and mutual recognition that the God of life is glorified.  Here relationship is paramount.  Through Christ’s welcoming embrace, mercy and salvation have been made available to all the nations.  The God of life is not a God of partiality—choosing one nation or one region over and at the expense of another.  This God of Life, represented by this messianic welcome, invites and embraces Jew and Gentile, in fact ALL as one people—God’s people.  
 
오늘의 말씀 로마서 15장에서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받아들이신 것처럼, 서로 받아들이라는 사도 바울의 권면을 읽게 됩니다. 생명의 하나님께서 영광을 받으시는 것은 바로 이렇게 서로 품고 인정함을 통해서 비롯합니다. 여기서 특별히 중요한 사실은 바로 “관계”입니다. 그리스도의 받아들임을 통해서 자비와 구원이 모든 나라들 가운데 주어지게 됩니다. 생명의 하나님은 결단코 편애하시는 분이 아닙니다. 즉, 그분께서는 다른 것을 희생시키면서까지 특정한 나라나 지역을 선택하시지 않습니다. “메시아적 환영”으로 나타내시는 이 생명의 하나님께서는 유대인이나 이방인이나 “모두”를 한 백성 즉, 하나님의 백성으로 초대하시고 품으십니다.
 
This passage offers theological footing for the mission and work of ecumenism.  The letter to the church in Rome does not advocate for a unity of the least common denominator but one that is deep, rich and wholly relational.  Unity is a flower that perhaps grows best in deep soil.  How does our ecumenical embrace resemble the messianic embrace?  The mutual welcome, for which Paul’s advocates, allows prayer and worship to be shared amidst great diversity, all to the glory of God.  Such prayer and worship serve as food for pilgrim people, traveling together along the way of peace and justice.
 
오늘의 성경 구절은 에큐메니칼 운동의 선교와 사역을 위한 신학적 토대를 제공합니다. 오늘의 로마서 서신은 비슷한 점을 찾아내는 식의 일치가 아닌, 보다 깊고, 풍부하며, 온전히 관계적인 일치를 권면하고 있습니다. 일치는 아마도 깊은 토양 속에서 가장 알맞게 자라나는 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가 행해온 에큐메니칼적인 포용은 메시아적 포용과 얼마나 닮아 있습니까?  사도 바울이 권면한 그 상호간의 환영은 거대한 다양성 가운데 모든 사람들이 기도와 예배를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누리도록 허락합니다. 이러한 기도와 예배는 평화와 정의의 길을 따라 함께 순례하는 백성들을 위한 양식이 됩니다. 
 
This same chapter of Roman speaks of Christ as servant for the fulfilment of God’s promise to the ancestors of the faith and for the salvation of the Gentiles, bringing about unity.  The church, we as pilgrims, are then called and united to serve.  I was just in my home country of Norway and spoke to my church’s synod around the celebration of the 200 years of the Norwegian constitution.  We reflected together on what does it mean to be church in that context for today.  How shall the Church of Norway, once the state church, now make its witness in present day society to partner with all those of goodwill for a just and peaceful country and world?  What does it mean to believe in and glorify the God of life who shows no partiality?  What does it mean for churches on the Korean peninsula to be freed and liberated to serve for the freedom and liberation of others?  How then does our mutual embrace lead to the building of bridges so that our pilgrimage may continue on the path of peace and justice?  
 
로마서의 같은 장에서, 사도 바울은 하나님의 언약을 신앙의 조상들에게 성취하시기 위한 종으로서 그리고 연합으로 이끄는 이방인들의 구원을 위한 종으로서 그리스도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교회인 우리는 순례자들로서 그 사역에 봉사하도록 부름 받고 연합하게 됩니다. 제가 얼마 전 제 모국 노르웨이에 있었을 때, 노르웨이 헌법 제정 200주년을 기념하는 노르웨이 교회의 총회 자리에서 저에게 말할 기회가 주어졌습니다. 그 자리에서 저희는 오늘을 위한 상황 속에서 교회가 된다는 것이 진정 무엇인지 다 함께 성찰해 보았습니다. 한때 국가교회였던 노르웨이 교회가 오늘의 사회 속에서 정의롭고 평화로운 국가와 세계를 위해 모든 선의의 사람들과 협력하도록 증인을 어떻게 세울 수 있을까? 공평하신 생명의 하나님을 믿고 또 그 분을 영화롭게 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한반도에 있는 교회가 자유롭게 되고 해방되기 위해서 다른 사람들의 자유와 해방을 위해 봉사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우리 순례의 여정이 평화와 정의의 길 가운데 지속하기 위해서, 우리가 서로 품고 이해하는 것이 어떻게 멀어진 관계에 다리를 놓을 수 있을까?
 
In the statement on peace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Busan assembly said, “Division, war and the suffering contradict God’s will for the fullness of life.  Therefore, we call upon the churches of the world, and upon those holding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governmental power, to pursue a lasting and sustainable peace with justice that will reunify and reconcile the people of Korea.”  It goes on to say, “The peace we envision is a condition of justice embracing the whole of life and restoring harmony among neighbours.”  Grounded in our faith, the assembly said, “We hereby join the Christians in Korea in their confession of faith in Jesus Christ, who came to this world as our Peace (Ephesians 2:13-19); who suffered, died upon the Cross, was buried, and rose again to reconcile humanity to God, to overcome divisions and conflicts, and to liberate all people and make them one (Acts 10:36-40); who as our Messiah, will bring about a new Heaven and new Earth (Rev. 21-22).”  The statement called for many actions and steps forward to be taken by the churches together and with other partners toward this reality.
 
지난 부산총회는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에 대한 성명서에서 다음과 같이 선언했습니다: “분단, 전쟁, 고통은 생명을 온전케 하시는 하나님의 뜻과 상충된다. 따라서, 우리는 전 세계의 교회들과 사회, 경제, 정치 그리고 정부를 이끄는 권력자들에게 한국인들을 재 연합하고 화해시킬 수 있는 정의를 수반하는 지속가능 한 평화를 추구하도록 요청한다.” 또한 선언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마음속에 그리는 그 평화는 모든 생명을 품고 이웃 가운데 화합을 회복할 정의의 조건이다.” 부산 총회는 우리가 믿는 신앙에 근거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습니다: “이로써 우리는 한국 기독교인들과 함께 평화로서 이 세상에 오셨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의 고백에 참여할 것이다(에베소서 2장 13-19절).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인간성과 하나님을 화해시키시기 위해, 분열과 갈등을 회복시키시기 위해, 그리고 모든 사람들을 해방시키시고 하나가 되게 하시기 위해 고통 받으셨고, 십자가에 달리셨으며, 땅에 묻히시고 부활 하셨다(사도행전 10장 36-40절). 그 분은 우리의 메시아로서 새 하늘과 새 땅을 가져오실 것이다(요한계시록 21-22장).” 이 선언문은 교회가 평화를 갈망하는 다른 협력자들과 함께 오늘의 현실을 위해 많은 행동과 조치들을 개진하도록 요청하고 있습니다.
 
In the ecumenical prayer cycle for the week beginning Sunday, 13 April, churches around the world will be praying for the people and churches of Japan,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aiwan.  In the assembly’s statement on peace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fellowship committed to pray with the peoples and churches of Korea by designating the Sunday before 15 August as the “Sunday of Prayer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gain, I am grateful for this opportunity to pray with you tonight.
 
오는 4월 13일 주일부터 한 주간 동안 진행될 에큐메니칼 기도 가운데, 전 세계의 교회들은 일본, 북한, 남한, 그리고 대만의 교회와 사람을 위해 기도할 예정입니다.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에 대한 부산 총회의 성명서에서, 8월 15일 전까지 주일을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위한 주일 기도”로 지정해 한국 교회와 한국인들과 함께 기도하도록 결의했습니다. 저는 다시 한번 오늘 밤 여기 모인 여러분들과 함께 기도할 기회를 갖게 되어 기쁘게 생각하는 바입니다.
 
During my visits to both Koreas, I have seen and experienced many wonderful things that have inspired and challenged me—the generosity and warmth of the Korean people, masses of people volunteering to host thousands of international guests during our time in Busan, the DMZ, and worshippers with hands lifted up, crying out to the God of Life in fervent prayer just to name a few.  Perhaps what has moved me the most since the assembly, have been the images of family members from North and South Korea having just a few precious moments to reunite—being able, if only for a short while, to cross the divisions and embrace one another.  May we work so that it may be so for all.  May we continue to pray so that all may experience this embrace to the glory of God.  AMEN.
 
이전에 제가 북한과 남한 모두를 방문하면서, 저의 마음을 자극하고 도전을 준 많은 놀라운 것들을 보고 경험했습니다. 그것은 바로 한국인들의 너그러움과 따뜻함이었습니다. 몇 가지 예를 들자면, 부산과 DMZ에서 시간을 보내는 동안 수 천명의 해외 손님들을 자발적으로 접대한 수 많은 한국인들, 그리고 손을 들고 생명의 하나님께 열성을 다해 기도하는 예배자들은 저에게 큰 도전과 놀라움을 안겨주었습니다. 무엇보다, 부산 총회 이후 저를 가장 감동케 한 것은 아마도 남한과 북한의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이미지가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이 사건은 남한과 북한의 통일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매우 가치 있는 순간이었습니다. 비록 짧은 시간이었지만, 이산가족 상봉은 남북한의 분단을 가로지르며 서로 품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우리는 이것이 모두에게 그렇게 되도록 노력하길 소망합니다. 또한 모두가 하나님의 영광에 품는 경험을 하도록 지속적으로 기도하길 기원합니다. 아멘.
 

좋아할 만한 기사
최신 기사
베리타스
신학아카이브
지성과 영성의 만남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본회퍼의 성찰적 신앙은 '사회성 신학'으로부터"

독일 나치 정권에 저항하며 행동하는 신앙의 전형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본회퍼의 삶을 다룬 영화가 상영 중인 가운데 신학계에서 본회퍼에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의롭다 함을 얻은 백성은 이웃사랑에 인색해서는 안돼"

한국신학아카데미 2025년 봄학기 '혜암 이장식 교수 기념 학술세미나'가 11일 오후 서울 안암동 소재 세미나실에서 '구약 율법과 신약 복음의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니체는 인간은 똑같지 않다고 말했다"

한국신학아카데미 김균진 원장이 10일 새해 칼럼을 발표했습니다. 김 원장은 이 글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정국을 바라보는 한 신학자로서의 자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