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월) 오후 8시 34분 경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11km 지점에서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다. 5.8규모 지진이 발생한지 일주일만이다. 경주에서는 지난 지진 이후 일주일 동안 370여 차례의 여진이 이어졌다. 더구나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학과 교수, 오창환 전북대 지구환경학과 교수 등 전문가들이 YTN, CBS, JTBC 등과 인터뷰를 통해 이번 지진이 더 큰 규모의 지진을 예고하는 전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지진 공포는 날로 커져가는 상황이다.
지진 공포와 정비례해 원전 안전성 여부에 대한 관심도 증폭되고 있다. 첫 지진 발생지는 월성핵발전소와 27km 떨어진 곳이다. 무엇보다 경주 지역은 고리핵발전소, 울진핵발전소 등 핵발전소가 밀집해 있는 곳이어서 지진 여파가 미치면 결과는 파국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기상청과 서울대와 부산대 부경대 등 3개 국립대 지질학과 교수들로 구성된 여진분석TF팀이 분석한 결과 진원이 양산단층이라고 중간 결론을 내렸다는 점이다.
양산단층은 경주∼양산∼부산에 이르는 170km의 단층으로, 원전 밀집지역인 고리·월성 지역에서 멀지 않다. 또 현대자동차, 울주 변전소, 울산화력발전 등 산업시설도 지근거리다. 이런 양산단층이 활성단층, 즉 지각활동이 활발해 지진이 발생했거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곳이라는 결론이 발표됐으니, 이제는 제2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 대비태세를 갖춰야 하게 생겼다.
환경단체, 앞다퉈 원전 안전 우려 목소리 제기
일단 환경단체들은 일제히 원전 가동을 촉구하고 나섰다. 환경운동연합(사무총장 염형철)은 20일(화) 성명을 내고 "이번 지진이 여진이 아니라 전진일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하면서 "선제적인 대응, 가장 보수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포항, 울산, 부산의 연안에 있는 화력발전소, LNG 기지, 정유시설 등도 비상 경계를 유지하는 한편 동남부 일대 가동 중인 원전을 정지할 것을 요구했다.
한국YWCA연합회도 이날 "그동안 ‘한국은 지진 안전지대'라는 정부 주장과 달리 이번 경주 지진으로 우리나라가 더 이상 지진에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며 "지진위험 지대에 노출된 오래된 핵발전소 월성 1~4호기는 정밀 안전점검 내용을 공개하고, 앞으로도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뿐만 아니다. "세계 최대 핵발전 밀집지역인 우리나라에서 지진으로 인한 핵사고로 국민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최선의 안전은 ‘탈핵'"이라고 구체적인 정책 방향까지 제시했다. 핵없는사회를위한공동행동은 서울, 부산, 양산, 청주, 김해, 창원, 대구 등 6개 지역에서 동시다발로 경주 지진 발생 핵발전소 안전대책 요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원전 안전을 경고하는 목소리는 환경단체들이 주도하고 있지만, 사실 이 문제는 이 땅에 사는 모든 시민들의 생존과 직결된 사안이다. 원전 사고에 따른 피해는 가늠조차 하기 어렵다. 체르노빌과 후쿠시마가 좋은 예다. 게다가 이 나라는 세월호 참사에서 드러났듯 재난 대비 시스템은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지진으로 인한 원전 사고가 난다면, 그야말로 이 나라는 회복불능의 지경으로 떨어질 위험이 크다.
다시 언급하지만 원전 사고는 우리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다. 어쩌면 이번 지진이 생명평화의 가치를 되돌아 볼 계기일 수 있다.
만약 이 같은 전조를 무시한다면? 그 결과는 불가역적인 파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