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시민들이 기독교를 비판하는 태도가 매우 공격적이다. 때로는 노기를 띤 경우도 있다. 서초동 S교회의 목사직과 관련된 소송, 그리고 명일동 M교회의 교회세습은 일반 언론에서도 보도했는데, 각 사건의 기사 아래에 달린 댓글들을 보면, 가히 저주와 악담이라고 볼 수밖에 없는 말들이 줄을 잇고 있다. 그 글들의 까칠한 피륙은 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어떤 경우는 무엇이 이들을 이 같이 분노하게 만들었을까를 생각하며 눈을 감게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이 같은 반응은 위의 대형교회들에게만 향하고 있지 않다. 평범한 목사나, 혹은, 기독교인으로 알려진 유명인사들의 비리가 보도되기라도 할라치면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기독교 전체를 매도하는 댓글들이 쇄도한다. 현재 기독교에 대한 비판적 정서가 그만큼 편만해져 있는 것이다.
이런 반응이 반복되고 있기 때문에, 일반시민들이 일부 인사나 일부 교회의 문제를 기독교 전체의 문제로 성급하게 일반화하고 있다고 간주해서도 안 되고, 사탄의 세력이 교회를 공격한다고 일반화시켜서도 안 된다. 그렇게 하면, 문제의 원인을 교회 바깥으로 돌리게 해서 상황의 본질을 호도하게 된다. 댓글이 뿜어내는 공격성은 분명히 과도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그런 이유에서라도 교회는 그것을 자기성찰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그런데 종교의 자유를 운위하면서 사회가 교회의 일에 '간섭'하는 일을 멈추라고 요구하거나 사악한 세력이 교회를 파괴하려고 한다는 식의 주장을 하게 되면, 그것은 교회가 사회를 계도해야 하는 영적 수준에서 도태되었음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변화와 성숙의 기회를 놓치는 것이다.
일반시민들이 교회비판에 이 같이 적극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그들의 눈으로 볼 때, 교회는 '궁극적 관심'에 매달리는 집단이다. 현실 너머의 세계를 소망하면서 현실의 불안정성과 모호성을 의연히 인내하는 데에는 분명 궁극적인 관심이 있을 터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폴 틸리히(Paul Tillich)는 그 관심의 속성을 존재론적으로 무조건적이며 총체적이고 무한하다고 보았는데, 제약이 많고 파편적이며 유한한 현실에 매여 사는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 그처럼 현실에의 집착을 벗어난 모습은 자신들과는 구별되도록 거룩하게 보이기도 할 것이다. 그래서 그 자리에 가지는 못하지만 그럼에도 그렇게 사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에 인간의 가치가 고양되는 느낌을 무의식적으로 품게 된다. 그런데 알고 봤더니, 그 궁극적 관심이 돈과 권력이었고, 그것들에 기대서 현실의 불안정성과 모호성을 견뎌내려고 하는 것이 자신들과 다를 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자기들처럼 땀 흘리지도 않고 말만 번지르르하게 내세운다! 그러니까, 본질적으로 말해서, 일반시민들의 공격적 비판은 궁극적 관심의 의미와 그것을 지켜갈 것에 대한 기대를 훼손한 것에 대한 배반감 때문이다. 교회도 돈과 권력에 매여 살기는 매 한가지인데 영적인 자리에 서 있으려는 태도가 위선적이라는 것이다. 그들은 이것에 분노하고 있다.
이 분노를 가라앉히는 길은 무엇인가? 그 궁극적 관심이 그들의 주장과 다르다는 사실을 교회가 알려주는 것밖에는 없다. 교회는 진정으로 궁극적 관심을 추구하고 있음을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 백번을 양보해서, 목사직과 세습에 관해서는 말 못할 사정이 있다고 치고 이래라저래라 요구할 일이 아니라고 전제하더라도, 적어도 해당교회는 니느웨처럼 전 성도들을 상대로 금식을 선포하고 함께 기도한 뒤에 결단을 내려야 한다. 교회의 궁극적 관심이 돈과 권력이 아니라 광야생활을 기꺼이 선택하는 것임을 드러내 보여야 한다. 종교제도의 안보를 넘어서는 영적 고결성임을 행위로써 증명해야 한다. 자기 교회만 지키면 된다고 생각하면서 언제까지 이토록 편만해진 비판의 풍조를 방임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