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예수 안에서 하나 되어, 세계 복음화의 길로

에큐메니컬 운동 이해(1)- 안재웅 저

에큐메니컬 운동은 무엇인가? 밑도 끝도 없는 질문에 선뜻 대답하기 어려운 것은 그 범주도 문제이거니와 그 다양성도 문제일 것이다. 에큐메니컬이란 말은 본래 그리스어인 오이쿠메네(Oikoumene)에서 비롯됐다. 신약성경에만 15회에 걸쳐 쓰인 오이쿠메네는 세계, 우주, 땅이란 뜻으로 여러 차례 사용됐다. ‘하나님의 선교’(Missi Dei)란 새로운 선교관으로 기존 보수·복음주의 선교관을 송두리째 흔들기도 했던 에큐메니컬. 때문에 에큐메니컬은 정의, 평화, 인권, 평등 그리고 통일 등의 다양한 사회 현안에 큰 관심을 갖고, 실제적으로 접근했다. 이 에큐메니컬 운동은 한국교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교회의 분열엔 ‘교회 연합과 일치 운동’으로 민족의 분단엔 ‘평화 통일 운동’의 형태로 그 모습을 드러낸 것.

혹자는 에큐메니컬 운동을 “(에반젤리컬과 함께)그리스도 몸의 한 지체”로 혹자는 “세계 전체를 하나님의 집안으로 만드는 일”이라고 했다. 하지만 아직도 에큐메니컬에 대한 소개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고, 이 때문에 에큐메니컬 운동이 80년대 민주화 운동을 선도했던 과거 금빛 영광을 잃고, 위축됐다는 말에도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본지는 7월 14일부터 매주 월요일 총 7회에 걸쳐 에큐메니컬 운동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에큐메니컬 운동 이해’(대한기독교서회, 2006)를 저자 안재웅 박사의 동의를 얻어 연재한다. 에큐메니컬 운동의 권위자 안재웅 박사는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KSCF) 총무와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원장을 역임했고, 홍콩에 주재하면서 세계학생기독교연맹(WSCF) 아시아 태평양지역 총무와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 총무를 역임하는 등 평생을 에큐메니컬 운동에 종사했다. 저자의 염원대로 위축된 에큐메니컬 운동이 이 연재를 통해 보다 널리 알려져 옛 활기를 되찾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 편집자주


 1. 예수 안에서 하나 되어, 세계 복음화의 길로


교회사학자들은 에큐메니컬 운동을 16세기의 종교개혁과 더불어 교회사의 양대 분수령으로 꼽고 있다. 일반적으로 에큐메니컬 운동은 1910년 에딘버러에서 개최된 “세계선교대회(World Missionary Conference)”를 그 출발로 삼는다. 에큐메니컬 운동은 한 세기 동안 많은 도전과 시련을 겪으면서 줄기차게 발전해왔다.

에큐메니컬운동은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가 되시며”(엡5:23), “교회는 몸의 지체가 많으나 한 몸인 것처럼”(고전12:12)갈라진 교회를 하나 되게 하는 일치운동에 무게를 두고 있다. 또한, “주도 한분이시요, 믿음도 하나요, 세례도 하나요, 하나님도 한분이라.”(엡4:5)는 성경의 말씀이 에큐메니컬 운동의 내용을 가득히 채워주고 있다.

세계교회협의회(WCC)는 에큐메니컬 운동을 일컬어 “전 교회(the whole church)”가 “전 복음(the whole gospel)”을 “전 세계(the whole world)”에 증거·한다고 적절하게 표현하였다. 에큐메니컬 운동은 우주 가운데 지구라는 곳에서 어울려 사는 인간, 동물, 식물, 광물 등 모든 피조물들이 한 식구처럼 살아가는 숙명적인 공동체에 관심을 갖는다. 이는 만물을 새롭게 하고, 인간의죄를 회개케 하며, 자연의 파괴를 뉘우치게 하는 하나님의 역사 개입을 확신하며, 하나님-인간-우주라는 상화 관계를 바르게 정립하는 것을 중요한 과제로 삼는다.

그렇다면 에큐메니컬 운동은 무엇이며, 그 공과는 어떠하고, 앞으로의 과제는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하게 되어 그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에큐메니컬”이란 말의 뜻


비서트 후프트(Wihlem Adolf Visser't Hooft)는 에큐메니컬(Ecumenical)이란 말을 “예수 그리스도 교회의 일치와 선교”라는 뜻으로 넓게 이해하였는데, 좀 더 세분해서 일곱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사람이 살고 있는 전 세계(the whole earth)

-전 로마제국(the whole of the Empire)

-전 교회(the whole of the Church)

-전 세계에 편재해 있는 교회

-전 세계로 선교하는 교회

-둘 또는 셋 이상의 교회가 연합했을 때 서로 연관 맺기

-크리스천의 일치를 열망하는 태도와 관심

위의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의미는 그리스-로마 시대에 널리 알려진 개념으로 신약성경에 이미 잘 나타나 있고, 세 번째와 네 번째는 초대교회 때인 일세기쯤의 교회생활상을 통해서 쉽게 알 수 있으며, 나머지 셋은 근대에 흔히 쓰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는 내용이다.

에큐메니컬이란 말은 본래 그리스어의 오이쿠메네(Oikoumene)에서 비롯되었는데, 오이쿠메네는 신약성경에서만 15회에 걸쳐 쓰였고, 70인 역(譯)에서는 세계, 우주, 땅이라는 뜻으로 여러 차례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오이쿠메네는 사라이 사는 세상 또는 개화된 문명세걔, 즉 그리스-라틴 문화를 즐기는 당시 분위기를 통틀어 말한다. 마치 로마 제국이 전 세계를 지배하듯이 온 세계를 통틀어 말할 때 오이쿠메네란 말을 썼다. 가령, 복음서에서 “이 천국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증언되기 위하여 온 세계에 전파되리니”(마24:14)라는 구절에서 보듯이 온 세계에 속해 있는 나라들(the nations)과 그리스도의 왕국을 이루어나가는 일이나 그리스도가 지배하게 될 “장차 올 세상”(히2:5)까지도 오이쿠메네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형기 교수도 에큐메니즘(ecumenism)을 설명하면서 그 어원을 그리스어인 “오이케오(oikeo)”거주한다는 뜻과 명사형인 “오이코스(oikos)” 즉, 집, 거처, 가족을 말한다고 설명했다. 다시 말해서 “사람이 살고 있는 땅(the inhabited earth)”이라는 의미의 오이쿠메네는 그리스 사람에게는 그리스 세계이고 로마 사람들에게는 로마 제국을 뜻하기 때문에 그리스-로마 세계가 곧 오이쿠메네이며 이것이 전 세계라고 이들은 인식했던 것이다.

즉, 에큐메니컬 운동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남자나 여자나 다 그리스도예수 안에서 하나”(갈3:28)라는 성경의 보편적 가치를 온 세계적으로 실현하는 것을 이상으로 삼는다고 하겠다.


에큐메니컬 운동의 역사 이해


초대교회의 하나인 고린도교회를 보게 되면 “나는 바울에게, 나는 아볼로에게, 나는 게바에게, 나는 그리스도에게 속한 자라한다는 것이니”(고전1:12)라는 바울의 서한을 통해서 교회의 분파를 걱정하는 그의 심정을 엿볼 수 있다. 교회의 분파적 경향은 초대교회 때에도 이미 상존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초대교회는 예루살렘, 안디옥, 알렉산드리아, 콘스탄티노플, 그리고 로마 등 5대 교구로 나뉘어 있었다. 그러나 1054년 교회는 대분열을 일으키게 되고, 앞의 네 교구는 동방정교회와 서방가톨릭 교회로 갈라서게 되었다. 이렇게 갈리진 교회는 1517년 루터(Martin Luther)가 종교개혁을 함으로써 로마 가톨릭 교회는 다시 개신교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그리스도 교회는 로마 카톨릭 교회와 동방정교회 그리고 개신교 등 크게 셋으로 갈라져 있다.

초대교회는 당시 교리와 치리문제는 물론 교회와 국가의 관계 등을 다루기 위해서 앞서 말한 5대 교구 대표들이 모임을 주선하게 되는데 이를 에큐메니컬 공의회(Ecumenical councils)라 부른다. 그 첫 번째 회의가 바로 AD 325년의 니케아 회의이며 그 후 이와 같은 공의회는 일곱 차례나 열렸다. 하지만 위의 세 교회, 즉 로마 카톨릭과 동방정교회 그리고 개신교는 니케아 회의(325년), 콘스탄티노플 회의(381년), 에베소 회의(431년), 그리고 칼케돈 회의(451년)만을 에큐메니컬 공의회로 규정하고 있다. 다른 세 차례의 회의를 기어이 배제한 것은 동방정교회가 교리문제에 이견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에큐메니컬 공의회는 이른바 니케아 신조를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에서 보완 확정해서 이를 오늘날까지 신앙고백의 전형으로 통상 사용하고 있다.

교회는 중세 암흑기를 지나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을 경험하였고, 18세기 계몽주의 시대를 거쳐 19세기 경건주의와 복음주의시대를 지나 마침에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에큐메니컬 운동의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

비스트 후프트는 에큐메니컬 운동의 발전 과정을 넷으로 구분했는데, 이를 인용하면서 운동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를 추가로 간략하게 보완 설명코자 한다.


1910-1934년


이 시기 동안에는 모트(John R. Mott)의 주도로 “국제선교협의회(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가 창성되었고(1921년), 브렌트(Charles Henry Brent)는 “신앙과 직제(Faith and Order)”운동(1927년)을, 그리고 죄더블롬(Nathan Soderblom)은 “삶과 사업(Life and Work)”운동(1925년)의 초석을 놓았다.

모트는 “우리 세대에 세계를 복음화하자(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in this Generation)”라는, 시대를 깨우치는 명쾌한 슬로건을 내걸고 세계의 복음화가 바로 에큐메니컬 운동의 사명이요 과제라는 입장을 천명하였다. 그는 지금이야말로 “크리스천의 선교의 적정기(The Decisive Hour of Christian Mission)”라고 외치면서 선교의 긴박성을 호소한 바 있다.

브렌트는 “신앙과 직제”운동을 “교회의 가시적 일치(The Visible Unity of the Churches)”를 이룩하는 것이 에큐메니컬 운동의 핵심이라고 강조함으로써 일치 운동의 사도라는 명성을 얻고 있다.

죄더블롬은 “삶과 사업” 운동의 목표는 “Serve Together”라고 규정하고 1914년 제 1차 세계대전으로 말미암아 모두 자국의 이익에 따라 대립과 갈등으로 치닫는 현실을 보고 “Life Together” 그리고 “Work Together”를 그리스도인의 이상으로 내세우고 기독학생들과 기독청년들이 주축이 되어 이를 실천하도록 촉구한 바 있다.


1934-1948


이 시기는 독일의 전체주의가 기승을 부리던 때로 올덤(J.H.Oldham)과 템플(William Temple)등이 삶과 사업" 운동을 “영성운동”의 방향으로 이끌면서 패악한 현실을 이겨내고자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독일의 니묄러(Martin Niemoller)나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그리고 여러  교회 지도자 들이 "고백교회(The confession Church)"를 만들어 나치(Nazi)정권에 저항했던 것도 이와 같은 운동과 맥락을 같이한다고 하겠다. 하지만 대다수의 교회 세력은 순순히 나치 정권을 추종하였는데 이 무리를 싸잡아 “독일크리스천(German Christians)”이라고 부른다. 이처럼 독일 고백교회는 에큐메니컬 운동의 성격을 극명하게 보여준 한 예라 하겠다.

이런 혼란과 위기상황 속에서 당대에 명성을 날리던 신학자들 가운데 바르트(Karl Barth), 니버(Reinbold Niebuhr), 브루너(Emil Brunner), 틸리히(Paul Tillich)그리고 베르자예프(Nicholas Berdyaev)등은 “위기신학” 또는 “변증신학”과 같은 담론으로 참담한 현실을 헤쳐 나갈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해 주었다.

또한 도드(C.H.Dodd)와 크래머(Hendrik Kraemer)는 “성서신학(Biblical Theology)”를 표방하고 성경을 상황에 따라 새롭게 재해석할 것을 촉구하는 실천적 신앙생활을 강조했다. 에큐메니컬운동은 전쟁과 살상, 박해와 착취, 갈등과 인권침해 등을 이겨내기 위해서 “삶과 사업”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했다.


1948-1960


1948년 암스테르담에서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가 창설될 무렵에는 두 차례나 세계대전을 겪은 터라 허무주의가 전 세계를 휩쓸고 있었다. 게다가 동서 냉전의 사상적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던 세계는 에큐메니컬 운동의 심장부가 될 WCC의 탄생을 크게 환영하였다. 바르트는 “내 신학 서재가 그대로 이 모임에 와 있다.”라는 말로 WCC창립총회의 깊은 인상을 솔직하게 피력한 바 있다. WCC 창립총회의 유일한 여성 주제 강사인 블리스(Kathleen Bliss)는 “우리는 함께 있기를 원한다(We intend to stay together.)”라는 유명한 말을 남김으로써 에큐메니컬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자주 인용하는 글귀가 되었다.

WCC는 “책임사회(Responsible Society)”를 하나의 핵심 의제로 내걸고 교회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였다. 많은 에큐메니컬 운동의 지도자들이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와중동 등지에서 배출되었고 이들의 활약은 에큐메니컬 운동의 커다란 활력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동서의 사상적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서 시도한 “Christian-Marxist Dialouge”의 성과는 에큐메니컬 운동이 보여준 훌륭한 선례로 남게 되었다.

또한 아시아기독교협의회(Christian Conference of Asia)전신인 동아시아기독교협의회(East Asia Christian Conference)가 1957년 인도네시아 프라팟에서 창설되었고, 이 기구의 지도력은 1961년 뉴델리에서 개치된 제 3차 WCC 총회를 성공적으로 치루는 일에 큰 못을 하였다.


1960-현재


이 시기에는 에큐메니컬 운동의 중대한 획을 긋는 일들이 줄을 잇게 된다. 먼저 제 3차 WCC총회가 비 서방 세계인 아시아에서 최초로 개최 되었고, 국제 선교협의회(IMC)가 WCC로 통합되었으며 또한 러시아 정교회는 동유럽 정교회들과 함께 대거 WCC회원으로 가입한 일 등이다.

세계학생기독교연맹(World Student Christian Federation)은 1960년 스트라스부르크에서 “교회의 생명과 사명(The Life and Mission of the Church)”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는 에큐메니컬 운동에 커다란 파장을 일으켜다. 이 프로젝트의 지도자들은 나일스(D.T.Niles), 뉴비긴(Lessile Newbigin), 비서트 후프트, 그리고 바르트 등인데, 이들은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신학적으로 잘 다듬어 낸 문건을 발표함으로 WCC총회에 지대한 공헌을 한 바 있다.

WCC는 로마 카톨릭 교회와 함께 크리스천의 일치를 추구하기 위하여 공동사무국을 개설하여서 신앙과 직제의 문제를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이는 제2차 바티칸공의회(1962-65)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결과이다.

WCC는 다양한 이슈를 폭넓게 다르고 있다. 가령 에큐메니컬 신학, 교회와 사회, 인종차별 철폐와 화해, 지속가능한 개발, 오늘의 구원, 세례 성만찬 사역, 복음과 문화, 타종교와의 대화와 협력, 정의 평화 창조질서 보전, 기후변화, 교회교육, 인권, 원주민, 난민, 외국인 근로자, 성 평등과 여성지도력 개발, 기독청년지도력개발, 공정한 교역, HIV/AIDS와 보건, 긴급구호와 봉사, 나눔과 섬김, 신앙과 과학 등의 모든 교회들이 관심을 가지고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에큐메니컬 운동의 신학 이해


에큐메니컬 신학은 교회의 일치를 돕고 복음이전 세계에 증거 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는 일에 역점을 두고 있다. “교리는 갈라졌지만 봉사는 함께한다.(Docrrine Divides, Service unites.)”는 구호야 말로 에큐메니컬 신학과 운동의 성경을 잘 묘사한 대목이라 하겠다.

에큐메니컬 신학은, 예수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요 교회는 그 지체이므로 교회는 “하나(One)”이며 “거룩(Holy)”하고 “공교회적(Catholic)”인 반면 “사도의(Apostolic)”전통을 지닌 그리스도인의 공동체라는 사실로 간결하게 정리되고 있다.

에큐메니컬 신학은 어떤 특정 교회의 신학적 전통이나 신학자의 학설에 구애받지 않고 오히려 서로 다른 교파 신학자들이 함께 모여 중지를 모아 다음에 내는 “과정신학(Process Theology)”이며, 삶의 생생한 현장을 그대로 반영하는 “상황신학(Contextual Theology)”이고 정의와 평화를 건설해 가는 “행동신학(Doing Theology)”또는 평화신학이요, 모든 죄와 속박으로 부터 해방을 선포케 하는 “해방신학(Liberation Theology)”인 동시에 복음을 땅 끝까지 증거 하려는 “선교신학(Mission Theology)"의 성격을 두루 갖춘 학문이라고 하겠다.

특히 세례 “성만찬 사역” 에 관한 문건은 에큐메니컬 신학이 다듬어낸 하나의 훌륭한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요즘은 로가 가톨릭과 정교회 그리고 개신교의 신학자들이 주기적으로 모여 폭력과 갈등을 극복하고 평화 건설을 위한 신학 화 작업을 꾸준히 하고 있는데, 이를 통하여 에큐메니컬 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에큐메니컬 운동의 현 단계


에큐메니컬 운동이 배출해낸 걸출한 지도자 등 지금까지 이 운동이 축적해온 지적 자산은 무척 크다 하겠다. 특히 에큐메니컬 운동은 그 시대의 흐름을 예리하게 판단하고, 새로운 신학적 대안을 제시하는 탁월한 역량을 발휘해왔으며 “하나님의 선교(missionDei)”와 “교회의 선교(missio ecclesiae)” 그리고 “인간의 선교(missio hominum)”를 골고루 실천함으로 그리스도인들에게 맡겨진 선교적 사명을 성실하게 감당해 왔다고 본다.

에큐메니컬 운동은 동서 냉전의 대립과 갈등의 소용돌이 속에서 발전해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오늘의 세상은 그 지정학적 상황이 전혀 딴판으로 바뀌고 있다. 미국 중심의 경제적 세계화는 양극화를 부추기고 있고, 생태계의 파괴로 말미암아 지구는 자정 능력을 잃어가고 있다. 생명공학과 첨단 과학의 미래는 윤리의 규범마저 통제하기 힘들 것이며, 핵무기를 포함한 온갖 종류의 대량살상무기는 어떤 재앙을 불러올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온 천하보다도 귀중한 생명들이 무참하게 쓰러져가고 있는데 신종 조류인플루엔자까지 출현하는 그야말로 온 세계가 죽음의 공포에 떨고 있다.

그러나 인간이 존재하는 한 종교는 인간과 더불어 함께 갈 것이며, 교회는 에큐메니컬 운동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하게 인식하게 될 것이므로 에큐메니컬 운동의 미래가 그리 어둡지만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에큐메니컬 운동은 21세기가 당면하고 있는 시대적 사명을 감당하기 위하여 새로운 르네상스 운동을 일으켜야 한다고 본다. 행여 일어날지도 모를 “문화전쟁(Culture Wars)”을 예방하는 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에게 주는 아래의 성경 말씀은 그 뜻이 더욱 크고 새롭다 하겠다. “좋은 나무마다 아름다운 열매를 맺고 못된 나무가 나쁜 열매를 맺나니. 그들의 열매로 그들을 알리라.”(마7:18-20)

 

좋아할 만한 기사
최신 기사
베리타스
신학아카이브
지성과 영성의 만남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16세기 칼뱅은 충분히 진화론적 사유를 하고 있었다"

이오갑 강서대 명예교수(조직신학)가 「신학논단」 제117집(2024 가을호)에 '칼뱅의 창조론과 진화론'이란 제목의 연구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정태기 영성치유집단이 가진 독특한 구조와 치유 의미 밝혀

정태기 영성치유집단을 중심으로 집단리더가 구조화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를 통해 영성치유집단이 가진 독특한 구조와 치유의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김학철 교수, "기독교 신앙인들이 진화론 부정하는 이유는..."

연새대 김학철 교수(신학과)가 상당수 기독교 신앙인들이 진화론을 부정하고 소위 '창조과학'을 따르는 이유로 "(진화론이)자기 신앙의 이념 혹은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의 모호성을 극복하는 원효의 체상용의 삼위일체론

아우구스티누스 사상과 원효의 체상용의 불교철학 사상을 비교 연구한 글이 발표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손호현 교수(연세대 신과대학)는 얼마 전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개인 구원만 지나치게 강조해 창조 신앙 무력화돼"

창조 신앙을 고백하는 한국교회가 개인 구원만 지나치게 강조하다 보니 신앙이 사사화 되면서 연대 책임을 물어오는 기후 위기라는 시대적 현실 앞에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마가복음 묵상(2): 기독교를 능력 종교로 만들려는 번영복음

"기독교는 도덕 종교, 윤리 종교도 아니지만 능력 종교도 아님을 추론해 볼 수 있습니다. 성령 충만한 자의 실존적 현실이 때때로 젖과 꿀이 흐르는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특별기고] 니체의 시각에서 본 "유대인 문제"에 관하여

""무신론자", "반기독자"(Antichrist)로 알려진 니체는 "유대인 문제"에 관해 놀라운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의 이야기를 소개함으로써 "유대인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영적인? 무종교인들의 증가는 기성 종교에 또 다른 도전"

최근에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무종교인의 성격을 규명하는 논문이 발표됐습니다. 정재영 박사(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종교와 사회」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신의 섭리 숨어있는 『반지의 제왕』, 현대의 종교적 현실과 닮아"

『반지의 제왕』의 작가 톨킨의 섭리와 『반지의 제왕』을 연구한 논문이 발표돼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숭실대 권연경 교수(성서학)는 「신학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