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재서남동기념사업회(이사장 서광선)는 청소년 사역으로 유명한 ‘들꽃피는마을’의 대표 김현수 목사를 초청해 28일 정기월례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는 서광선 교수(이화여대 명예), 권진관 교수(성공회대), 김은규 교수(성공회대) 등 민중신학 연구자들이 참석했다.
▲죽재서남동기념사업회 정기월례세미나에서 '들꽃피는마을'의 김현수 대표가 청소년사역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이지수 기자 |
‘들꽃피는마을’은 일종의 돌봄기관이다. 민중교회가 사회의 변두리로 내몰린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듯, '들꽃피는마을'도 사회에서 소외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다.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교사들이 제 집에서 제 자식처럼 청소년들을 기른다. ‘잔디네’, ‘코스모스’, ‘백합’ 같은 이름으로 이들 대안가정을 부르는데, 총 13가정이 있다.
김현수 목사는 한국신학대학(현 한신대)을 졸업하고 1986년 안산노동교회를 창립하며 민중목회에 뛰어들었다. 청소년 목회를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8년 뒤인 1994년, 길가로 떠도는 청소년들이 교회에 '스며든' 것을 보면서부터다. 교회를 아예 아지트 삼아 잠 자고 어지럽히자 교회 문을 잠그기도 했지만, 어느 날 아이들의 구구절절한 사연을 접하게 되면서 김 목사 부부는 청소년 사역에 발목을 잡히고 만다. 그 해 10월부터 아이들과 함께 살았고, ‘예수가정’이라는 이름으로 그룹홈을 시작하여 지금의 공동체 ‘들꽃피는마을’에 이르렀다.
가출, 담배는 기본이고 본드흡입도 서슴지 않았던 그들을 보며 김 목사는 막막했다. 약물 전문가를 좇아 다니며 해결책을 강구하기도 했지만 무용지물이었다. 그는 당시를 회상하며 “대책 없이 아이들의 바다에 끌려 들어갔다”고 말했다.
10명 남짓한 아이들은 거대한 가출 청소년 세계의 일각일 뿐이었다. 그러나 그들과 2년 동안 동고동락하다보니 아이들이 무슨 생각을 하며 어떻게 사는 지가 보이기 시작했다. “대책이 있다”는 생각이 든 것도 그 때부터였다.
그는 “가슴 속에서 소리가 났다”고 당시의 심정을 표현했다. “아이들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지 알게 되니 너무 기뻐 소리 치고 싶을 정도였다.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따뜻한 가정, 그리고 가르침을 줄 교사들이었다”고 말했다.
사람들과 신념을 나누기 시작했고 “함께 하겠다”는 사람들도 생겨났다. ‘동네 분위기 망친다’며 멱살 잡는 사람들이 더 많았지만 한편으로는 김치며 쌀이며 갖고 오는 사람도 있었고, 무엇보다 ‘아이들을 맡겠다’는 사람들이 나타나 1가정이 13가정으로 늘어났다.
청소년 사역을 시작한 지 올해로 16년. 그에 비해 13가정은 초라한 성적표일 수 있다. 그러나 들꽃피는마을을 거쳐간 청소년들이 가정의 온기 속에서 따뜻한 심성을 가진 존재로 성장해가는 것을 보며, 김현수 목사는 청소년 사역의 ‘제 2기’를 마련하려고 한다. 과거와 현재에 청소년 사역을 하던 그의 미래 또한 청소년에 가 있었다.
2가지 목표가 있다. 청소년들의 세계에 좀 더 깊숙이 뛰어드는 것과, 아시아로 사역 반경을 넓히는 것이다.
그는 “청소년 사역의 핵심은 ‘그들의 세계로 투신’하는 것이다. 아이들의 바다를 잃는 것은 이 사역의 모든 것을 잃는 것이기 때문”이라며 교사들, 아이들과 함께 거리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덧붙여 정부가 시행하는 청소년 정책은 돈 들여 시설 짓고 자신들이 나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아이들더러 ‘오라’고 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아시아 나라들에 지부를 세우며 청소년을 사역을 위한 ‘아시아 네트웤’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청소년문제는 사회경제적인 여러 요소가 복합되어 생겨난 인류사적인 문제"라며 "우리나라뿐 아니라 해외의 지평에서 이 사역이 전개되기를 소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