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흡영 강남대 교수 ⓒ베리타스 DB |
김 교수는 "유교문화권의 중심인 한국에서 WCC가 개최된 것은 그리스도교(기독교문화권)와 지구상에서 그리스도교 선교의 마지막 변방이라고 할 수 있는 유교(유교문화권)의 만남(또는 문명의 충돌?)을 대비한다는 중요한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불행하게도 WCC 총회는 하나님의 섭리일 수 있는 이러한 중차대한 역사적 사명을 간과하고 긴급한 단기적인 기제들과 씨름하기에 급급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어 "WCC 지도자들은 그리스도교의 사촌종교라고 할 수 있는 유일신 종교들을 믿고 있는 중근동인들과 오랜 대화의 동반자인 남아시아의 종교인들과는 달리, 아직 그리스도교가 유교문명권에서 살아온 동아시아인의 마음과 영혼에 감동을 주고 있지 못함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 것 같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김 교수는 WCC 부산총회의 외적 성과마저 과소평가하는 것은 아니라고 전제하며 "그러나 한국 신학자로서 이 총회가 함의하는 시대적 사명을 신학적으로 충분히 감당했느냐 하는 질문은 꼭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앞서 김 교수는 WCC 부산총회 진행 중 마당에서 펼쳐진 종교간 대화 프로그램의 강사로 초청돼 자신이 주창한 ‘도의 신학’을 소개해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이끌어 내기도 했었다. 이에 김 교수는 "세계 어느 곳 교회와도 뒤지지 않고 오히려 미래의 신학을 열어주는 신학을 우리가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고, 다행히 그 작은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고 소감을 전한 바 있다.
앞서 김 교수는 WCC 부산총회 진행 중 마당에서 펼쳐진 종교간 대화 프로그램의 강사로 초청돼 자신이 주창한 ‘도의 신학’을 소개해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이끌어 내기도 했었다. 이에 김 교수는 "세계 어느 곳 교회와도 뒤지지 않고 오히려 미래의 신학을 열어주는 신학을 우리가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고, 다행히 그 작은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고 소감을 전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