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특별법 제정 촉구를 위한 예장 기도회에 참가한 목회자들이 세월호 특별법 입법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지유석 기자 |
▲세월호 특별법 제정 촉구를 위한 예장 기도회에 참가한 목회자들이 세월호 특별법 입법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지유석 기자 |
▲세월호 특별법 제정 촉구를 위한 예장 기도회에 참가한 목회자들이 세월호 특별법 입법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지유석 기자 |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 여론이 높아가는 가운데 기독교계는 8월 7일(목) 잇달아 집회를 열고 특별법 입법에 한 목소리를 냈다.
우선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통합)는 이날 교단 소속 목사들과 신도들 약 1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기도회를 열었다. 마침 기도회가 진행되는 가운데 여야가 오는 13일(수) 국회 본회의에서 특별법을 처리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복수 언론 보도에 따르면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새민련)은 세월호특별법을 포함해 안산 단원고 3학년생들에 대한 정원 외 특례입학을 허용하는 ‘세월호 침몰사고 피해학생의 대학입학 지원 특별법’을 처리하기로 합의했다. 여야는 핵심 쟁점이던 진상조사를 위한 특별검사 추천권은 지난 6월 발효된 ‘상설특검법’ 규정을 따르기로 했다. 새민련이 특검 추천권을 야당이나 진상조사특위에 달라는 요구에서 한 발 물러선 것이다.
이에 주최 측은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의 입장을 듣는 시간을 마련했다. 이 자리엔 안산 화정교회(기감) 전도사인 박은희 씨가 나와 유가족의 심경을 전했다. 박 전도사는 현 유가족 대책위 유경근 대변인의 아내다.
박 전도사는 “세월호 참사 수습은 일주일이면 끝날 줄 알았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유가족들은) 정치인들이 대안을 제시해주기 바랐다. 그러나 여야 정치인들은 이번 사건을 정쟁의 도구로 이용한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했다. 그리고 “특별법의 ‘가족참여’라는 조항에 많은 오해가 있는 것 같다. 지난 국정조사에서 여야 정치인들은 터무니없는 말장난으로 일관했고 제대로 조사가 이뤄질 수 없는 법안을 들고 나왔다. 유가족들이 참여를 요구하는 건 이런 이유에서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박 전도사는 “유가족들이 원하는 건 ‘진실’이라는 두 단어”라고 강조했다.
박 전도사는 한국 교회를 향해선 “한국 교회가 ‘우는 자와 함께 울라’는 성경의 가르침을 놓쳤다. 이웃의 아픔을 보듬는 살아 있는 교회가 되었으면 한다”는 바람을 내비쳤다.
설교를 맡은 김일재 목사(총회 인권위원장)는 “현재 한국 교회는 목사가 강단에서 정의를 설교할 수 없는 분위기”라면서 “도덕이 없는 교회는 피난처가 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선 “이번 사건은 그리스도인의 모습을 냉정하게 드러낸 자화상”이라고 규정한 뒤 “기독교인이 진실과 도덕성, 정의를 상실하면 심각한 문제가 생긴다. 무엇보다 있는 그대로의 진실을 규명하고 유가족의 입장이 온전히 반영된 특별법 제정에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예장 목회자 기도회에 이어 기독교대한감리회 정의평화위원회, 세월호 특별법 제정 촉구 예장대책위원회, 한국기독교장로회 교회와사회위원회가 공동주최하고, 민주쟁취 기독교행동이 주관하는 연합기도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도 특별법 입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비등했다.
한편 여야가 국회에서 처리하기로 한 특별법에 대해 유가족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세월호 참사 유가족대책위원회는 성명을 내고 “여야 원내대표가 합의한 내용은 가족과 국민의 요구를 명백하게 거부한 합의이기 때문이다. 7.30 재보선 이후 세월호 국면을 노골적으로 탈출하려는 새누리당의 움직임에 날개를 달아 준 것이다”고 규탄했다.
네티즌들도 여야 합의에 부정적이다. 특히 야당인 새민련이 수사권, 기소권이 빠진 특별법에 합의한 데 대해 성토하고 나섰다. 백찬홍 씨알재단 운영위원은 자신의 트위터에 “세월호 특별법에 수사권과 기소권도 없이 새누리당과 새민련이 밀실야합으로 합의해버렸다. 한마디로 유가족들의 22일간의 단식이 허공으로 날아가 버렸다. 이것이 130석 거대야당의 실체다”고 꼬집었다.
정치권이 세월호 특별법에 미온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유가족들은 여기에 강력히 반발함에 따라 향후 교계가 어떤 방식으로 대응해 나갈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