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감신대에서 <2014생명평화 교회론 심포지엄>이 열렸다. ⓒ사진제공=생명평화마당 |
생명평화마당(공동대표 김정숙, 방인성, 이정배)은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작은교회박람회>를 계획하면서 박람회의 정신을 사전에 널리 알리기 위해 <2014생명평화 교회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심포지엄은 9월16일(화) 오후 7-9시에 감리교신학대학교 웨슬리관 1세미나실에서 진행되었으며 주제는 “세월호 이후의 작은교회론: 세 교회 이야기”이다. 이날 김종일 목사(동네작은교회)가 “동네작은교회의 공동체적 교회개척과 분립”을, 이원돈 목사(새롬교회)가 “작지만 다양하고 역동적인 카리스마로 생명망을 짜는 작은 교회”를, 임보라 목사(섬돌향린교회)가 “이웃과 함께 생명평화 일구는 작은 공동체 섬돌향린교회”를 발제했다.
김종일 목사는 하나님 나라의 가치가 “겸손과 섬김 그리고 약한 자와의 연대”라고 전제한 뒤 그러한 가치가 “자본중심, 가진 자 중심, 권력중심적 세상에서 대안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현장이 작은교회라고 정의했다. 이어 동네작은교회가 세워져 오는 과정에서 겪은 “항상 부족한 상황”이 신앙의 내성을 길러주었다고 회고하고 “예수와 바울의 개척은 어땠을까?”를 물으며 교회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겨야 한다고 말했다.
이원돈 목사는 작은 교회들이 다양하고 역동적인 카리스마를 가지고 집중적으로 해야 할 일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그것은 지역과 마을에서 새로운 흐름과 배치를 만들고 새로운 관계망과 생명망을 짜는 일이다. 우선, 지역사회 선교의 가장 강력한 성서적 근거를 필자는 예수님의 갈릴리 공생에 사역에서 찾고 그 내용을 병자 치유와 오병이어 사건과 같은 나눔 사건 그리고 하나님 나라 잔치로 보고 있다. 여기서 오늘 이 시대에 특별히 강조하고 싶은 것은 예수님의 지역 사역의 특징이 오늘과 같은 불안 증폭, 피곤, 허기의 사회에 일종의 ‘힐링캠프’를 만드시고 그곳에서 가르치시고 치유하시고 나눔의 잔치를 벌이셨다는 것이다.”
임보라 목사는 섬돌향린교회의 목회 지향을 4개의 핵심어로 설명했다. 첫째, ‘원탁형 목회’는“목사 한 사람에게 의존하는 구조가 아닌, 배제되는 사람들이 생기지 않도록 교우들도 서로를 두루 살필 수 있는 깊이 있는 품”을 지향하며 “‘스스로 하도록 힘을 불어넣어줌, 멘토(mentor)가 되어 후원해줌, 동반자가 됨’ 등의” 역할을 강조한다. 둘째, ‘대화의 목회’는 상명하달식 관계를 구성할 우려가 있는 직분제를 없앤 가운데 “해방공동체로서의 교회, 그리고 한사람, 한사람이 주체적으로 책임과 역할을 해나가는 구조”를 지향하며 “‘대화’로 확장되지 않으면 결국은 억압과 배제의 악순환만이 되풀이될 뿐”이라는 상황인식을 반영한다.
셋째, ‘개방성을 지향하는 목회’는 교회가 “교회 안에 있으나 배제와 억압을 경험하면서 교회 ‘밖’ 사람, 혹은 필요할 때 ‘봉사’하는 사람으로 여겨지던 여성들은 물론, 다양한 사회적 약자를 품는 공동체로 거듭나야 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넷째, ‘대안적 공간 (wo/men-church, ekklesia gynakion)을 위한 목회’는 그동안 차별 당해온 “여성을, 비정규직 노동자를, 이주 노동자와 이주 여성을, 장애인을, 성소수자를, 어린이를, 청소년을” 한 가족으로 받아들이고 그들이 한 가족에 포함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교회가 그들에게 ‘대안적’이고도 ‘안전한’ 공간이 되도록 재구성되고 변혁 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세 발제자들이 제시한 작은교회의 모형들은 모두 한국교회의 갱신을 도모하기 위한 대안에 해당한다. 세월호 참사를 통해 드러난 우리 사회의 총체적 부실과 이에 대처하는 “교회들의 안이한 인식, 공감능력 부재, 신앙이란 이름하에 마구 외쳐지는 상식이하의 발언들로 인해 한국 교회가 또다시 뭇매를 맞고 있는 현실”을 돌이켜 보면 그들의 발언은 한국교회의 회개를 촉구하는 외침이기도 하다. 그들이 지향하는 작은교회는 탈(脫)성장, 탈(脫)성직, 탈(脫)성별의 정신을 품고서 그리스도와 동시성을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에 해당한다. 그들의 노력은 “그리스도를 한 갓 신화나 이념으로 만들[지]” 않으려는 헌신에 값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