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신학의 기원과 현대적 의미를 조망하는 책이 발간됐다. 1974년 민청학련 사건으로 1년간 옥고를 치른 권진관 성공회대 교수가 ‘예수, 민중의 상징 민중, 예수의 상징’이라는 제목의 책을 냈다.
권 교수는 머리말에서 민중신학과 사회운동의 관계에 대해 “기독교의 각성한 신앙의 눈으로 사회운동을 성찰하며, 사회운동은 다시 신앙을 각성시키는 상호관계를 갖는다”며 “특히 민중신학은 민중 해방을 위한 비전을 성서뿐만 아니라 한국과 아시아의 종교적 전통 속에서 찾는 만큼 서구의 어떤 신학보다 앞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민중신학을 재조명함에 있어서 ‘생명’에 역점을 둬야 한다며, “민중신학은 잘못된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구조 속에서 죽어가는 생명을 살리는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책에서 권 교수는 역사 속의 예수의 의미 등 기존의 여러 관점을 소개하고, 삼위일체, 악의 본질, 구원론 등 전통적 신학개념을 민중신학의 시각으로 분석한다. 아울러 기독교 근본주의와 이분법에 대한 해석, 동학과 기독교의 합류, 한국교회에 기독운동이 필요한 이유 등을 설명한다.
권 교수는 “기독교계는 흑백과 선악의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예수를 따라 자기를 희생하는 ‘자기 비움’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교회가 민중을 따를 때 예수는 민중의 상징이고, 이는 곧 민중이 예수의 상징이라는 것을 완성시켜준다”고 말했다.
동연 ㅣ 454쪽 ㅣ 1만 6천원
목차
들어가며
민중이 메시아다
제1부 민중신학의 새로운 문제의식
제1장 역사 속의 예수
1. 예수를 보는 몇 가지 관점들
2. 사회적 예언자 예수
3. 예수가 죽음을 당한 이유
제2장 민중을 보는 몇 가지 관점들
1. 사회과학적인 관점에서 본 민중
2. 역사에서의 민중 - 주체이면서 초월체
3. 계시적 ? 신앙적인 관점에서 본 민중
4. 상징으로서의 민중
5. 민중을 이해하는 몇 가지 신학적 상징들
제3장 예수, 민중의 상징 ? 민중, 예수의 상징
1. 민중신학이 말하는 민중과 예수
2. 민중, 예수의 상징(예수는 민중이다)
3. 예수, 민중의 상징(민중이 예수다)
4. 하나님의 나라 운동과 민중운동
제2부 신학의 전통적인 주제들
제4장 상징과 계시
1. 상징과 계시의 상관관계
2. 계시적인 자료들
3. 계시적 자료의 해석
4. 상징은 계시를 범하지 않는다
제5장 삼위일체
1. 왜 삼위일체인가?
2. 성령에 의한 삼위일체의 성립
3. 성령은 무엇인가?
4. 끊임없이 넓어지는 지평으로서의 성령
5. 유일신과 삼위일체
6. 우리의 영성은 무엇인가?
제6장 피조세계
1. 피조세계와 신과의 관계
2. 자연과 우주
3. 역사
4. 영에 의한 역사의 해방
5. 신의 역사 개입의 방식과 악
6. 포스트모던 시대의 생명 사회정치 운동
제7장 죄
1. 민중신학의 죄 이해와 관련된 문제들
2. 죄론의 의의
3. 성 어거스틴의 죄 이해
4. 악의 본질
5. 악한 영과 사탄
6. 보편적인 상황으로서의 죄
7. 악의 현실과 죄
8. 죄악과 정의의 문제
9. 비감수성(insensitivity)으로서의 죄
제8장 예수의 형태를 따름에 의한 구원
1. 약자들의 외침
2. 엠마오로 가는 제자들
3. 부활의 정의
4. 부활에 의한 구원
5. 십자가에 의한 구원
6. 예수의 형태를 따름에 의한 구원
제9장 영에 의한 구원
1. 그리스도의 형태(Gestalt)로서의 교회
2. 구원의 공동체적 측면
3. 소통과 관계의 영
4. 사회운동, 공동체, 영
제10장 바울의 구원 사상
1. 예수의 역사적 사건으로부터 보편적인 사건으로 전환
2. 바울의 “죽음, 속죄제물, 그리스도의 피”에 대한 해석
3. 바울의 구원론의 기본 패턴
제11장 속죄론과 한국 교회
1. 보수화된 한국 교회
2. 십자가에 대한 다양한 이해
3. 만족설이란 무엇인가?
4. 서사적 승리자 그리스도 모델
5. 종교개혁의 속죄론은 만족설인가?
6. 만족설과 기독교 보수주의, 근본주의
7. 근본주의자들이 폭력적이 될 수 있는 이유
8. 하나님의 지혜가 깃든 십자가
제3부 민중신학의 현재적 주제들
제12장 정치윤리 : 근본주의 vs. 민중신학
1. 기독교 근본주의
2. 한국의 기독교 근본주자들의 사회인식과 행동
3. 정치신학과 신학적 정치
4. 선악 이분법과 심사숙고(thoughtfulness)
5. 민중신학의 해석학
6. 근본주의와 제국주의, 그리고 민중의 저항
제13장 제국과 민중
1. 제국, 민족, 민중
2. 제국, 민족, 민중의 역학 관계에 대한 성서적인 검토
3. 제국의 모호성의 혼동을 넘어서
4. 예수의 하나님의 나라 운동은 반제국운동
5. 제국의 질서에 편입된 민족국가
6. 민중과 자연을 희생양으로 삼는 세계에 대한 심판과 구원
7. 희생양이 구원의 메신저이다
제14장 다른 종교의 경전과 성서 : 영과 기를 중심으로
1. 민중전통과의 합류
2. 동학과 기독교의 합류 - 영과 기를 중심으로
3. 상호 다름을 존중하는 자세
제15장 21세기 교회론과 기독운동의 방향
1. 기독운동이 다시 필요한 한국 교회
2. 오늘날의 상황과 기독운동의 다양한 유형들
3. 교회의 본질
4. 21세기 기독운동의 조직적 기반
5. 교회와 사회 사이의 연결고리 비교회적 기구
6. 기독운동의 구체적인 영역들
7. 기독운동은 하나님의 나라 운동이다
제16장 종말과 희망
1. 종말적 희망을 위한 상징언어들
2. 많은 사람들에게 부어지는 영
3. 민중의 역사의 주체됨은 종말적 희망이면서 현재에 구현되어야 할 것
4. 하나님의 나라, 성령의 나라
5. 새 하늘과 새 땅
6. 몇 가지 첨가
제17장 민중신학이란 무엇인가?
1. 민중과 민중신학
2. 민중신학의 시작
3. 민중신학의 활성화 시기(1979~1990년)
4. 2세대 민중신학과 변화된 상황
5. 민중신학의 과제
나가며
신학적 언어의 종말적인 재해석 작업
덧붙임
덧붙임 1 - 기독교사회운동, 1970~80년대 산업선교를 중심으로
1. 산업선교운동의 위상
2. 산업선교운동의 전개 과정
3. 배움의 과정으로서의 산업선교
4. 사회운동으로서의 산업선교
덧붙임 2 - 과정사상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나?
1. 민중신학과 과정사상의 관계
2. 민중은 주체이며 초월체(subject-superject)이다
3. 사건에 관하여
4. 신과 민중의 관계에 대하여
5. 서로 공헌할 수 있음을 확인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