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나를 묻다
공석진
그대는 누구인가
나와 나 사이에 놓여 있는
강을 건너기 위하여
필사적으로 악어 소굴로
뛰어드는 누우입니다
그대여 사랑을 아는가
나만을 사랑하려
철옹성을 구축하여
다가오는 사랑에
화살을 퍼붓는 겁보입니다
그대여 길을 가는가
까마득한 숲에서
언제나 같은 길
가도 가도 끝이 없는 길을
헤매고 있는 바람입니다
어서 가보게
그대의 집으로
어서 가보게
그대의 가슴으로
시인(1960- )은 참 자아를 탐색하고 있다. 그는 자신을 상대화하여 "나에게 나를 묻[는다]." "그대"가 된 그가 답한다. 그 답은 필경 반성적 성찰을 담고 있다. 탐색 중에 그가 제기한 세 개의 질문은 주체적 존재로서의 개인과 사회관계망 속의 일원, 그리고 전반적인 인생의 차원과 각각 상관한다. 각 차원은 참 자아의 모습을 포괄적으로 파악하는 데 기여한다. 그 과정에서 그는 자신을 누우, 겁보, 바람이라 부른다. 누우처럼 필사적으로 탐색하지만 겁보처럼 자기에만 집착하다가 바람처럼 떠돌고만 있다는 회한인가? 그러하다면, 그의 참 자아는 자신의 경험이나 교육 때문에 짐승처럼 겁쟁이같이 떠돌기만 하는 모습으로 왜곡되었다. 그는 그 왜곡을 감지한 듯하다. 그 반성의 귀결점은 "그대의 집," 즉 "그대의 가슴"이다. 왜냐하면, 왜곡되지 않은 참 자아가 그곳에 있기 때문이다.
먼저 그는 자신의 존재 자체에 대해 질문한다. "그대는 누구인가"? 자기를 대상화했으므로 그는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려고 시도하는 중이다. "나와 나"는 질문하는 나와 답해야 하는 나, 즉 교육과 경험의 복합체인 나와 본래적인 나를 가리킨다. 물론, 질문하는 나는 현재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의문을 품은 상태이다. 그는 본래적인 나의 대답을 듣고자 한다. 형성된 자아와 참 자아의 간극을 넘고자 한다. 형성된 자아란 일종의 자아의식이다. 참 자아를 정체성이라 지칭한다면, 자아의식은 환경과 경험에 반응함으로써 형성된 이차적 정체성이다. 그 사이의 간극이 얼마나 되는지를 파악하려면 형성된 자아의 틀을 벗어나야 한다. 이미 의문을 품었으므로 그 자아의식은 벗어남, 즉 죽음의 경계까지 왔다. "그대"가 참 자아를 모색하는 과정이 필사적일 수밖에 없다. 그 모색의 과정에서 "그대"는 "나와 나 사이에 놓여 있는/ 강을 건너기 위하여/ 필사적으로 악어 소굴로/ 뛰어드는 누우입니다." 누우가 참 자아를 모색하는 필사적인 노력의 형상이라면 강과 악어는 참 자아를 찾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요소들이다.
사랑은 그러한 방해에 저항하는 힘일 수 있다. "그대여 사랑을 아는가"라고 물었을 때, 그 사랑은 전 존재가 투여되는 조건을 전제한다. 그래야 자아의식의 껍질을 깰 기회를 얻게 되기 때문이다. 타인의 존재는 자신을 상대화할 수 있는 실질적 계기이자 사랑을 통해 그에게서 도리어 자신의 형상을 발견하고 자아의식의 철옹성을 허물게 한다. 그러나 그것이 말처럼 쉽지는 않다. 대개의 경우, 나는 "나만을 사랑하려/ 철옹성을 구축하여/ 다가오는 사랑에/ 화살을 퍼붓는 겁보입니다." 자기가 상대화되면서 자아의식의 철옹성이 깨지게 되나 그때 그 의식은 존재의 위기를 느끼게 된다. 그 위기 때문에 겁을 먹고서 "다가오는 사랑"을 거부할 수 있다. 그 사랑이 자아를 확장하기 위해 "다가[와서는]" 깨진 껍질의 상처조차 회복시킬 것을 믿지 않는 것이다. 어쨌든, "겁보"가 무엇을 두려워하는지를 알게 되면 자신의 한계를 깨달은 셈이므로 "그대"는 자기 정체성에 대한 인식에 한 발 더 다가가기는 할 것이다.
하지만, 자신의 참된 자아를 찾는 과정에 시행착오는 무수하다.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을뿐더러 내다보더라도 그 적절성을 장담할 수 없는 것이 인생이고 보면, 인생은 하염없이 걷기만 하는 과정일 수 있다. 그래서 길을 가기는 가는 것인지 아리송할 때도 있다. "그대여 길을 가는가/ 까마득한 숲에서/ 언제나 같은 길/ 가도 가도 끝이 없는 길을/ 헤매고 있는 바람입니다." 자아의식을 갖고 인생의 길을 걷기는 하지만, 그 길이 자신의 참 자아에 이를는지는 알지 못한다. 어쩌면 바람처럼 정처 없이 떠도는 것이 인생인지도 모른다.
이러한 탐색이 자아의식의 주도로 진행된다면, 여전히 그 경로에는 "악어 소굴," "철옹성," 그리고 바람길이 기다릴 뿐이다. 참 자아는 그 자아의식을 포기할 때 그 모습을 보여준다. 자아의식이 참 자아인 양 행세할 때는 모색의 필요를 느끼지 않는 반면에, 그 사이에 괴리가 있다면, 자아의식은 자체를 회의하게 되어 있다. 참 자아가 내면에서 그러기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 자아가 결국 그것을 찾고자 하는 자를 부르는 것이다. 아마도 이렇게 말할 듯하다. "어서 가보게/ 그대의 집으로/ 어서 가보게/ 그대의 가슴으로." 가슴에 참 자아가 있다. 물론, 가슴은 해부학적 용어가 아니라 참 자아가 존재하는 상상과 의지의 공간이다. 가슴이 부를 때 그 부름에 응하면, 그대는 강을 건너고 철옹성을 깨트린 뒤 바람길을 가로질러 그 바람마저 머무는 울창한 숲속의 빈터에서 하늘을 바라보게 될 것이다.
자아의식을 깨트리고 참 자아를 발견하는 일은 신앙생활에서도 중요하다. 우리의 참 자아는 하나님께서 태초에 우리에게 심어놓으신 그분의 형상에 상응한다. 신앙생활이란 다름 아니라 그렇게 이미 주어진 참된 자아의 형상을 현실화하는 노력이다. 하나님의 뜻에 따를 때 신앙인은 참 자아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뜻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그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그 뜻을 찾는 과정에 시행착오를 겪게 된다. 이 때문에 자신의 참된 자아에 반영된 그분의 뜻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질문해야 한다. 그분께 묻고 강을 건너고 철옹성을 깨트리며 바람길을 가로지르는 시도를 해야 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 그분께서 다음과 같이 부르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어서 가보게/ 그대의 집으로/ 어서 가보게/ 그대의 가슴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