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큐메니컬 운동은 무엇인가? 밑도 끝도 없는 질문에 선뜻 대답하기 어려운 것은 그 범주도 문제이거니와 그 다양성도 문제일 것이다. 에큐메니컬이란 말은 본래 그리스어인 오이쿠메네(Oikoumene)에서 비롯됐다. 신약성경에만 15회에 걸쳐 쓰인 오이쿠메네는 세계, 우주, 땅이란 뜻으로 여러 차례 사용됐다. ‘하나님의 선교’(Missi Dei)란 새로운 선교관으로 기존 보수·복음주의 선교관을 송두리째 흔들기도 했던 에큐메니컬. 때문에 에큐메니컬은 정의, 평화, 인권, 평등 그리고 통일 등의 다양한 사회 현안에 큰 관심을 갖고, 실제적으로 접근했다. 이 에큐메니컬 운동은 한국교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교회의 분열엔 ‘교회 연합과 일치 운동’으로 민족의 분단엔 ‘평화 통일 운동’의 형태로 그 모습을 드러낸 것.
혹자는 에큐메니컬 운동을 “(에반젤리컬과 함께)그리스도 몸의 한 지체”로 혹자는 “세계 전체를 하나님의 집안으로 만드는 일”이라고 했다. 하지만 아직도 에큐메니컬에 대한 소개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고, 이 때문에 에큐메니컬 운동이 80년대 민주화 운동을 선도했던 과거 금빛 영광을 잃고, 위축됐다는 말에도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본지는 7월 14일부터 매주 월요일 총 7회에 걸쳐 에큐메니컬 운동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에큐메니컬 운동 이해’(대한기독교서회, 2006)를 저자 안재웅 박사의 동의를 얻어 연재한다. 에큐메니컬 운동의 권위자 안재웅 박사는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KSCF) 총무와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원장을 역임했고, 홍콩에 주재하면서 세계학생기독교연맹(WSCF) 아시아 태평양지역 총무와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 총무를 역임하는 등 평생을 에큐메니컬 운동에 종사했다. 저자의 염원대로 위축된 에큐메니컬 운동이 이 연재를 통해 보다 널리 알려져 옛 활기를 되찾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 편집자주
그들 모두가 하나가 되기를
▲ 안재웅 박사 ⓒ베리타스 DB |
에큐메니컬 운동의 특성을 묘사하는 것은 마치 눈면 사람이 코끼리를 만지고 난 후의 느낌을 말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하겠다. 그만큼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하지만 많은 에큐메니컬 운동의 지도자들과 신학자들은 그들 나름대로 에큐메니컬 운동의 성격을 밝혔는데, 이를 간추리면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겠다. “성경에 기초를 둔 운동”으로 본 사람은 템플, 디트리히(Suzanne de Dietrich), 바르트, 포터(Philip Potter), 카스트로(Emilio Castro)와 웨버(Hans Ruedi Weber)이다.
“영성 운동의 한 축”으로 이끈 사람은 템플, 올덤, 포터, 그레고리오스(Paulos Mar Gregorious)와 아람 1세라 하겠다. 또한 “인간 또는 자연과의 관계”를 중시한 사람은 블레이크(Eugene Carson Blake), 웹(Pauline Webb), 다케나카(Massa Takenaka)와 홀만(David G. Hallman)이며, “회개를 통한 갱신 운동’으로 묘사한 사람은 모트, 죄더블롬, 나일스, 카스트로와 니비(Reinhold Niebuhr)이다. 그리고 “기독교 신앙 운동 자체”로 본 사람은 템플, 비서트 후프트, 토마스, 강원용, 팅, 초탄, 콕스이며 “상황과의 대결을 뚫고 나가는 신앙적 자세”로 본 사람은 토마스, 산타 아나(Julio de Santa Ana), 박상증, 퍼킨스(Harvey Perkins), 라이저(Konrad Raiser)라 하겠다.
한편, “타종교와의 대화와 협력”을 강조한 사람은 그레고리오스, 사마트라, 아리아라자, 에크이고, “온갖 속박의 굴레로부터의 해방”을 주장한 사람은 보니노, 투투, 쇼울, 서광선, 고야마, 콘이라 하겠다.
또한 “선교의 당위성”을 내세운 사람은 모트, 뉴비긴, 크레머, 카스트로, 송과 용어네일이고, “종말론적 신앙적 자세”를 말한 사람은 포터, 웹, 오두요에라 하겠다. 이렇게 여러 사람들이 서로 다른 측면에서 에큐메니컬 운동을 조명한 것은 그만큼 이 운동이 다양하고 폭넓은 까닭이라 할 것이다.
많은 에큐메니컬 운동의 지도자들은 성경의 다음 구절에 특별한 관심을 갖는다. “아버지께서 내 안에. 내가 아버지 안에 있는 것 같이 그들도 다 하나가 되어 우리 안에 있게 하서 세상으로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을 믿게 하소서”(요17:21) 즉, “그들 모두가 하나가 되기를”(that they may all be one) 원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기도가 에큐메니컬 운동의 비전인 동시에 과제라 하겠다. 모두 하나 됨은 모두 갈라져 있음을 극복하는 일이며 “하늘에 있는 것이나 땅에 있는 것이 다 그리스도 안에서 통일되게 하려 하심이라”(엡1:10)는 말과 같이 “세상으로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을 믿게 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래서 사람과 사람 사이와 교회 와 교회 사이를 가로막는 온갖 불신과 반목의 벽을 헐어 버리기 위해서 “마음으로 뜨겁게 서로 사랑하라”(벧전1:20)는 구절이야말로 에큐메니컬 운동이 지켜야 할 덕목이라 하겠다.
에큐메니컬 운동의 특성
에큐메니컬 운동의 특성은 크게 다음의 둘로 요약할 수 있겠는데, 복음 중심(Gospel-centred)이요, 생명 중심(Life-centred)이 바로 그것이다. 또한 에큐메니컬 운동은 선교 지향적(mission-oriented)이며, 평화 지향적(peace-oriented)이요, 정의 지향적(justice-oriented)이고 봉사 지향적(service-oriented)이라 하겠다. 이 말은 곧 모든 크리스천과 교회는 공동의 친교를 통해서 공동의 증거와 공동의 봉사를 함으로써 공동의 갱신을 이루어 나가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에큐메니컬 운동의 성장 배경에는 참된 예배와 성경 연구가 그 밑거름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로 다른 인종의 사람들이 한데 어울려 드리는 예배는 창조주 하나님과 인간과 모든 피조물이 하나 됨을 경험하는 신비스런 의례요 축제이다. 게다가 감동적인 음악과 영혼을 맑게 하는 공동기도문, 그리고 우리의 생각을 새롭게 하는 성경 연구와 훌륭한 선교 등은 에큐메니컬 운동을 통해서 맛볼 수 있는 백미라 하겠다.
이렇게 하나 됨을 경험한 에큐메니컬 운동은 마침내 그리스도의 평화를 이 땅에 실현하는 전위대 역할을 하고자 온갖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의 세계는 아직도 인종과 신분, 성차별은 물론 정치, 경제, 사회 및 종교적 갈등으로 말미암아 긴장이 감돌고 있다. 그러므로 에큐메니컬 운동은 하나님의 평화가 온 세상을 충만케 하기를 바라는 이 마음에서 하나님의 은총을 간구하고 있다. 마치 “너희 몸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 산 제물로 드리라”(롬12:1)는 말씀을 지상 명령으로 삼듯이 이를 몸소 실천하고자 애쓰는 것이다.
에큐메니컬 운동에서 자주 인용하는 “거룩한 하나님”을 고백하며 크리스천의 친교를 넓혀가는 것이 에큐메니컬 운동의 신앙적 자세이다.
에큐메니컬 운동의 배경
에큐메니컬 운동이 발전하게 된 배경에는 다음 몇 가지 큰 흐름이 자리잡고 있는데, “국제 선교 운동”, “기독청년학생 운동”, “신앙과 직제 운동”, “삶과 사업 운동”그리고 “교회학교 운동” 등이 그것이다.
1921년 창설된 국제선교협의회(IMC)의 배경은, 유럽의 여러 나라들이 저마다 선교단체를 만들어 각 대륙으로 선교사를 파송하였는데, 보다 효율적인 선교를 위해서 서로 협의하기 위한 기구를 만든 것이 바로 IMC이다. 세계 선교의 열정은 이미 1792년 영국 침례교선교회(BMS)를 시작으로 런던선교회(1705년), 영국교회선교회(1799년)와 그 밖에 여러 선교단체들이 영국에서 조직되었다. 그리고 네덜란드선교회와 독일, 프랑스, 스위스, 덴마크, 스웨덴 등지에서도 여러 종류의 선교 단체들이 조직되어 선교사를 파송하였으며, 미국과 캐나다와 오스트레일리아도 세계 선교의 불길이 타오르게 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예비 모임을 가진 각국의 선교 단체들은 마침내 1910년 에딘버러에서 세계선교회를 개최함으로써 에큐메니컬 운동의 실질적인 출발에 초석을 놓게 된다. IMC는 1961년 뉴델리 WCC 총회 때 WCC로 통합된다.
1925년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삶과 사업” 국제협의회는 1937년 옥스퍼드 대회로 이어졌다. 또한 1927년 로잔에서 시작된 “신앙과 직제” 국제협의회는 1937년 에딘버러 대회를 치르게 된다. 마치 쌍둥이와도 같은 이 두 운동은 마침내 1938년 유트레흐트에서 합동으로 대회를 치르게 되었고, 1948년 WCC 창설을 계기로 자연스럽게 WCC로 흡수되고 만다.
1844년에 시작한 YMCA와 1854년 YWCA, 그리고 1895년에 출범한 WSCF는 평신도 운동단체들로서 에큐메니컬 운동의 지도자를 배출해낸 대표적인 기구들이다. 특히 WSCF는 “에큐메니컬 운동의 요람”으로 불릴 만큼 특출한 에큐메니컬 운동의 지도자들을 많이 배양해냈다. 이들은 에큐메니컬 운동의 친위대로서 그 역할을 충실히 감당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협력자 노릇까지 톡톡히 해내고 있다.
1907년 로마에서 시작된 세계기독교교육협회(WCCE)는 1950년 토론토 대회와 1962년 벨퍼스트 대회를 거쳐 1968년 웁살로 총회 때 WCC로 통합되었다. 이렇게 해서 하나가 된 국제기구인 WCC는 에큐메니컬 운동의 정신을 유감없이 발휘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아시아 에큐메니컬 운동의 독특성
에큐메니컬 운동은 교회의 일치와 갱신을 중요한 과제로 삼는다. 아시아의 교회는 이와 같은 명제를 잘 실천한 교회라 하겠다. 1947년 남인도교회가 연합한 교회로 탄생하게 되는데 성공회, 감리교, 장로교 등의 중심 교단이 하나가 되었다. 또한 북인도교회도 뒤를 따라 비슷한 형태로 통합하였고, 파키스탄 교회와 태국교회도 하나의 교회가 되는 일치의 기쁨을 맛보게 되었다.
하지만 일본기독교단이나 필리핀연합교회는 교회 외부 세력 즉, 정부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교회 연합을 이룬 경우라 하겠다. 오스트레일리아는 계속해서 연합해 간다는 뜻으로 연합교회의 이름을 ‘Uniting Church Australia(UCA)로 부르고 있으며 통합을 위한 문호를 항상 열어 놓고 있다. 중국은 교파주의를 극복했다는 의미에서 중긱기독교협회로 교파 후기 교회의 모델을 만들었다. 아사아의 교회는 연합한, 연합해가는, 그리고 CCC와 같이 교파 후기 교회를 모두 갖고 있는 교회의 일치와 갱신의 모범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