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9 여성평화 대토론회가 ‘여성이 바라본 동북아 평화와 남북사회문화 통합’이란 주제로 5일 오후 2시 서울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열렸다 ⓒ베리타스 |
한반도와 동북아평화를 위한 국내 여성운동의 역할을 모색하는 장(場)이 열렸다.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이하 이하 민화협)는 5일 오후 2시 서울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2009 여성평화 대토론회’를 가졌다.
‘여성이 바라본 동북아 평화와 남북사회문화 통합’이란 주제로 열린 이번 토론회에는 정현백 교수(성균관대 사학과, 시민평화포럼 공동대표)와 전미영 교수(동국대 북한학연구소)가 각각 △한반도·동북아의 평화와 여성의 역할 △남북 사회문화 통합과 여성의 참여 를 주제로 발표했다.
정현백 교수는 한반도의 평화운동에 국내 여성들의 활약이 누구보다 컸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여성들은 민족민주운동이 열정적으로 추진하였던 통일운동에도 적극적으로 동참해 왔고, 시민운동과 함께 새로이 한반도 및 동북아평화실현을 위한 다양한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정 교수는 여성이 한반도에서 평화운동을 가장 먼저 주창했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우리는 여성이야말로 한반도 내에서 가장 먼저 평화운동을 시작한 집단이며 정치적 접근에 못지 않게 일상생활을 통한 평화실현을 고민해온 주체였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부연 설명했다.
이어 평화운동에 여성들이 관심을 갖고 참여한 이유를 분석했다. 정 교수는 “이런 여성들의 앞 선 통찰력과 실천은 바로 자신이 일하는 사회적, 환경적 조건을 통해 누구보다도 평화를 사랑하게 된 여성들이 평화운동에 대한 감수성과 실천력을 가지게 되었음을 확인케 하는 대목”이라고 전했다.
▲ 정현백 성균관대 교수가 주제발제를 하고 있다 ⓒ베리타스 |
그러면서도 여성 평화운동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도 했다. 정 교수는 “여성들 대다수는 비정치적”이라며 “그래서 여성평화운동의 대중화작업을 위해서 개별적으로 고립된 여성들을 끌어들이는 힘겨운 작업보다는 관변조직이건 여성주의 지향이 약한 조직이건 간에 기왕에 어떤 조직된 틀 속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들의 의식을 변화시키는 작업에 먼저 착수해야할 것 같다”고 했다.
또 여성평화운동의 실천방안도 제시했다. 정 교수에 따르면 그 실천방안은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사업에 여성이 적극 참여해 한반도 평화공동체 달성에 적극 참여한다 ▲군축과 복지사회제도 정착을 위해 노력하고 이를 통해 평화공동체를 만들어 간다 ▲평화연구와 평화교육을 강화해 국민에게 평화의식을 심어준다 ▲남북한 여성들의 만남과 교류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평화로운 상호공존의 방법을 터득해간다 ▲평화문화운동을 전개해 평화공동체를 만들어간다 등이다.
이밖에도 지난 10월에 있었던 동북아여성평화회의의 성과에 관한 발표도 이어졌다. 정 교수는 “회의에 참석한 5개국 여성들은 이틀에 걸쳐서 내부 전략회의를 통해 미국 정부에 전달하는 정책 제안서와 성명서를 작성했다”며 “성명서를 통해 우리는 세 가지 매우 구체적인 요구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요구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한반도 비핵화·정전협정의 평화협정으로의 전환 및 북미 관계 정상화를 포함하는 동북아시아의 평화를 위한 포괄적인 접근을 지지하고, 둘째로 동북아에 관한 다자협상에서 공식협상대표나 워킹그룹 혹은 옵서버로 여성대표성을 인정할 것을 촉구하고, 나아가 6자회담을 지원하는 트랙 Ⅱ 활동을 인정하고 지원하기를 요구했다. 마지막으로는 북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계획과 경영에 여성의 동등한 참여를 보장할 것을 촉구했다.
이어 전미영 교수는 미래 통일 후 야기될 남북문화 차이와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먼저 통일과정에서의 사회문화통합의 실패가 가져올 부작용을 설명했다.
전 교수는 “남북문화통합의 실패는 극심한 사회갈등을 야기시키며, 사회의 불안정성 속에서 여성불평등의 문제는 더욱 심화된 형태로 나타나게 될 것”이라며 “역사적으로 볼 때 전쟁고 폭력, 갈등 상황이 야기한 피해는 그대로 여성에 중첩적으로 부과됐다”고 했다. 독일통일과정에서 구동독여성이 가장 불리한 입장에 처했던 사실도 주목해 볼 것을 제안했다.
남북한 사회문화통합의 과정에 관해선 두 가지 경우로 나눴다. 전 교수는 먼저 통일 이전단계에서는 “남북한 사회문화 교류협력을 통해 남북한 신뢰회복과 문화적 동질감 회복을 추구한다“고 했고, 통합단계에서는 “사회경제적 계층간의 갈등해소 및 생활기회의 형평성 또는 기본권 보장 등을 중심으로한 사회적 통합과 함께 남북주민들이 ‘우리’라는 정체성을 구축하고 문화·심리적으로 일체감을 형성하는 내적통합이 추구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