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수 박사(전 장신대 총장) |
고용수 박사(전 장신대 총장)가 “21세기 기독교교육은 생명 공동체를 지향해야 한다”고 14일 총신대에서 열린 한국기독교교육학회(회장 김도일) 추계학술대회 주제발표에서 밝혔다.
고 박사는 21세기 지구촌 위기가 ‘생명 공동체 위기’라는 말로 집약 표현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세계화라는 포장 속에 모든 것이 상품화되어 생명경시, 생명조작, 생명파괴가 무분별하게 자행되고 있다는 것. 이에 기독교인들도 지구촌 생명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생명 공동체 회복에 나서야 하며, 이러한 메시지가 기독교교육에서 강조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그는 ‘생명 공동체’ 중 ‘생명’의 기초개념을 성경에 의거해 설명했다. ‘생명’을 뜻하는 말로서 신약성경의 비오스, 프쉬케, 조에를 찾고 이 중 기독교적 생명의 본질을 드러내는 말은 ‘조에’라고 말하며 “’조에’는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주어지는 신성하고 영원한 생명”이라고 설명했다. 또 ‘영생’을 뜻하는 ‘조에 아이오니오스’는 시간적 의미로는 ‘영원’을 뜻하지만 공간적 의미로는 ‘세상과 우주에 대해 열려 있는 인간의 삶의 모습’을 의미한다며 인간의 생명뿐 아니라 만물과 역사, 나아가 피조 세계 전체의 생명까지 아우른다고 설명했다.
‘공동체’의 기초개념 역시 성경에서 찾으며 ‘인간 관계’에 대해 이른 창세기의 구절을 인용하여 “인간은 공동체적 존재”라고 주장했다. 또 ‘그들로 우리와 같이 하나가 되게 하옵소서’라는 성구를 들어 “예수님의 사역은 공동체회복을 위한 것이었다”고 전했다.
결론적으로 그는 기독교 교육이 ‘생명 공동체 회복’을 지향해야 함을 역설했다. 이를 위해 개별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정체성 위에서 지구촌 공동체와 관계 맺어야 한다고 말했다. “공동체의 생명력은 교회 울타리 안의 닫힌 환경에서 배태되는 것이 아니다”며 교회 밖의 학교, 지역사회, 세상, 그리고 자연 생태계 안에서 생명문화 형성에 참여해야 한다고 전했다. 구체적으로는 “생명을 죽이는 세상 문화 속에서 생명을 살리는 다양한 전문사역에 헌신할 일꾼들을 키워 내보내야 한다”고 전했다.
또 ‘교회교육’도 ‘영적 양육’으로부터 ‘전인(全人) 교육’으로 패러다임 시프트가 일어나야 한다며 “교회를 전인교육의 센터로 생각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덧붙여 전인교육이 목표해야 할 것은 “교육 공해를 포함한 각종 공해와 이에 따른 생명경시 풍조 속에서 멍들어가는 몸과 마음, 그리고 영혼의 통합된 인간성 회복”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