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대 채수일 총장이 한국의 신학교육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채수일 총장은 한국의 신학교육기관(신학대, 신대원 등)이 교과 과정에 종교간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채수일 총장은 25일 한신대 신대원 추계학술대회 ‘종교다원사회 속의 신학교육’에서 “다종교 사회인 한국에서 목회를 하기 위해서는 불교, 유교, 샤머니즘 등 타종교에 대해 최소한 알아야 할 것들이 있으며, 이에 대한 교과목이 (각 신학교육기관에) 개설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종교 과목이나 종교간 대화 과목은 신학 교과과정에 개설되지 않거나 아주 적은 수가 개설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 신학의 발전사 속에서 문제를 검토하기도 했다. 그는 “아시아의 신학 교육은 대부분 서구 선교운동의 부산물이어서, 그 내용과 접근방식 등이 선교사 신학의 산물”이었으나,” “이후 막대한 변화가 일어나 민중의 시각에서 선교역사를 재해석하고 아시아적 전망에서 한국의 교회사와 현실을 조망하는 작업이 있어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교리사나 조직신학 영역에서 정교회 및 가톨릭교회의 교리와 예전 등에 대한 관심이 거의 반영되어있지 않은 것은 여전히 개신교 신학교육의 폐쇄성과 한계를 보여준다”는 지적이다.
그는 한신대 신대원의 교과목 중 ‘다원문화와 선교’, ‘비교종교학’, ‘종교간 대화와 선교’ 등을 소개하며 “비록 충분하지는 못하더라도 다종교 사회의 현실 문제와 종교간 대화를 다루는 에큐메니칼 교과목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채수일 총장은 한국의 신학교육기관들이 ‘한국의 교역자 양성’을 목적으로 하면서도 “한국교회의 콘텍스트에 대한 교과목을 극히 적게 반영하고 있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며 교과과정의 재검토가 필요함을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