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재 한신대 명예교수 ⓒ베리타스 DB |
김경재 교수는 한국교회가 영성의 문제를 지나치게 이원론적으로 다룬 결과, 한국교회가 “너무 감정적이고, 반지성적이고, 비지혜적”인 이미지를 갖게 됐다며, “이원론적 영성을 넘어 전일론적 영성으로 성숙해야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성경을 근거로 ‘전일론적 영성’의 특성을 설명했다.
‘영성’에의 강조, 시작은 좋았지만…
‘영성’이란 어휘가 한국 개신교에 회자되기 시작한 시기는 1980년대. 여러가지 배경이 있었지만, 무엇보다 오순절교회 은사주의운동의 영향이 컸다. 이 운동은 신유, 방언, 중생체험 등의 강조를 통해 한국교회 성장에 큰 공헌을 했지만, “교회 울타리 안에서의 심령부흥 운동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성령운동의 원형처럼 여겨지는 초대교회 오순절 사건은 그렇지 않았다. 각지로부터 온 사람들이 그들의 방언을 할 때, 그것을 듣는 사람들이 자기 나라 말로서 알아들었던 이 사건의 본질은 “차이와 다양성 안에서의 일치와 교제”였다. 서로의 물건을 나누는 “공생의 기적”과 그들의 친교를 본 외부인들로부터 칭송을 듣는 “경외감의 기적”도 동반됐다.
김경재 교수는 한국교회에 “다양성 안에서의 일치를 지속할 수 있는 총체적 영성 이해가 절실하다”고 주장하고, 이는 곧 “내재성/초월성, 존재론적/구원론적, 자연신학적/계시신학적 대립항에 사로잡히는 이분법적 신학구조를 초극”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전적 영성이 필요하다”
그는 이러한 영성을 “통전적 영성”이라 이름하고, 이 영성의 “7가지 스펙트럼을 성경을 근거로 설명했다. 우선, 통전적 영성의 사람은 “다양성 안에서의 일치(unity in diversity)”를 이룬다. 초대교회 오순절 사건의 언어 소통이 그렇고, 사도 바울이 편지에서 “은사는 같으나 성령은 같고, 직분은 여러가지나 주는 같으며”라고 말한 것도 마찬가지다.
‘다양성 안에서의 일치’를 포스트모던주의 담론과 연계시키기도 했다. “포스트모던 사회가 차이를 존중하며 문명, 인종, 언어, 종교의 다양성에 눈 뜰 것을 강조했는데, 정통적 기독교는 다양성 가운데의 일치성을 강조하려는 조급증으로 인하여 영성의 풍요로움이나 성령활동의 다채로움을 훼손해 왔다”는 것.
예를 들어 성령의 임재 체험을 ‘불 체험’의 이미지로만 강조한 나머지 ‘미풍처럼’, ‘미세한 음성으로’ 오시는 성령 임재에 둔감해져 갔고, 성령의 활동 공간을 기도원, 교회당, 부흥회, 그리고 기독교에 국한하는 오류를 범해왔다.
또 통전적 영성은 “연대성(solidarity) 강화”를 그 특징으로 한다고 밝혔다. “영성은 서로를 통하게 한다 … 개체를 구성하는 삼투막을 유지하면서도 서로에게 자기 존재를 내어주고 받음으로써 생명은 ‘개체이자 전체로서 하나’라는 높은 자각에 이른다.” 초대교회 오순절 사건 때 일시적으로나마 ‘원시공산사회’가 실현되었다는 데서 근거를 찾았다.
또 성령의 사람은 “우주 만물의 유기적 관계성을 깨닫고 만물을 사랑한다”고 밝혔다. 그는 “(서구의) 기독교의 실재관은 공간개념보다 시간개념이 압도적이어서 구원사 신학이 발달하였으나, 이러한 시간중심적 사유가 창조계의 신비함을 다 표현했다고 볼 수 없다”며 “21세기의 영성적 사람은, 하나님이 하늘에 응답하고 하늘은 땅에 응답하는 … 상호 네트워킹적 관계성에 주목하게 된다”고 말했다. 기존 서구 신학의 공백을 보충할 상호인과적 통찰을 강조한 것이다.
이 외에도 그는 통전적 영성의 특징으로 ◇역동적인 창조성 수용적 순면성을 동시에 지닌다 ◇해방과 치유의 사건을 일으킨다 ◇사물의 이치를 꿰뚫어 이해하는 통찰적 지혜를 지닌다 ◇고난을 회피하지 않고 생명 속량의 창조적 계기로 삼는다 등을 꼽았다.
통전적 영성으로의 전환 위한 한국교회의 과제는?
그는 통전적 영성으로의 전환을 방해하는 한국교회의 가장 큰 장애물로 “이원론적 실재관”을 꼽았다. 또 한국교회의 영성이 대체적으로 “감정적, 지식적 영성”에 머물러 있다고 보고, “감성적, 지혜적 영성”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 TV의 종교방송 매체들(기독교방송, 평화방송, 불교방송, 원음방송 등)을 시민들은 종종 채널을 돌려가며 비교하는데, 그들은 한국 개신교의 영성이 너무나 감정적이고, 반지성적이라고 평가한다. 이러한 ‘불편한 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