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한신대 서울캠퍼스 채플실에서 한신대 학술원 신학연구소 주관으로 ‘동아시아의 종교와 과학의 대화’란 주제의 학술대회가 열렸다. ⓒ사진=지유석 기자 |
▲발제자의 발제가 끝난 뒤 참석한 사람들과 질의 응답하는 시간이 이어졌다. 김경재 한신대 명예교수가 손을 들고는 해당 발제자에게 질문을 던지고 있다. ⓒ사진=지유석 기자 |
한신대학교는 27일(화) 오전 서울캠퍼스 채플실에서 한신대 학술원 신학연구소 주관으로 “동아시아의 종교와 과학의 대화”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신학과 과학간 소통을 위한 모색이 활발히 전개됐다.
채수일 한신대 총장은 인사말을 통해 “신학은 언제나 학문과 대화해왔다”며 “철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여성학, 생태학 등 대화의 대상이 시대마다 달라지긴 했지만 대화는 그리스도교 신학의 본질”이라고 강조했다.
인사말에 이어 장회익 서울대 명예교수는 <종교와 과학의 대화 - 동아시아 문명의 맥락에서>라는 주제로 주제강연을 했다. 장 교수는 이 자리에서 “동아시아에서는 적어도 상층문화권을 중심으로 지극히 추상화되고 세련된 성리학적 가르침이 오랜 기간 사회의 지배적 이념으로뿐만 아니라 정신적 삶의 한 지침으로 숭상되어 왔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장 교수에 따르면 이런 가르침은 근대화와 함께 퇴조해 지금은 종교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상태다. 그렇다고 기독교, 그리고 과학이 그 자리를 대체한 것도 아니다.
장 교수는 “한국의 기독교는 유교 중심의 상층문화 계층을 중심으로 수용된 것이라기보다는 기복종교의 색채가 짙은 기층문화 계층을 중심으로 급격히 전파됐다”고 꼬집었다. 한편 과학에 대해서는 “이것(과학) 또한 기독교와 거의 같은 시기에 주로 선교사들이 설립한 학교와 병원 등을 통해 도입된 외래 문물의 일부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면서 이것은 기존의 상층문화가 자리잡고 있던 정신문명의 일부로 수용, 정착되기 보다는 오히려 기술의 한 형태로 이해되면서 현실적으로 동아시아의 정신세계에 그리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한국 기독교가 놓인 이러한 정황들을 고려할 때 과학과 종교 사이에 자연스런, 그러면서도 건설적인 대화가 이루어지리라 기대하기는 매우 어렵다”면서도 “오히려 그러하기에 더욱 이러한 대화가 요청되는 일면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총 5개의 세션으로 구성됐으며 각 세션 별로 이병학 교수(신약신학), 송순열 교수(신약신학), 전철 교수(조직신학) 등 저명 신학자들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문호 교수가 발제자로 나섰다.
한편 이번 학술대회를 주관한 한신대 학술원 신학연구소는 지난해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학술대회지원사업의 수혜 대상자로 선정되어 국제석학초청 심포지엄 및 다양한 학술연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