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YMCA 생명평화센터(소장 정지석 박사)는 7월 22일(화) 오후 서교동 소재 한국YMCA전국연맹 사무실에서 <팔레스타인과 한반도, 한국 기독교 평화운동의 과제>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이인기 기자 |
한국YMCA 생명평화센터(소장 정지석 박사)는 7월 22일(화) 오후 서교동 소재 한국YMCA전국연맹 사무실에서 <팔레스타인과 한반도, 한국 기독교 평화운동의 과제>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남부원 한국YMCA전국연맹 사무총장의 사회로 박성원 세계개혁교회 전 사무총장이 “제국들의 지구정치와 팔레스타인”을, 김용복 한일장신대 전 총장이 “팔레스타인과 한반도의 평화, 한국 기독교의 성찰과 과제”를 발제했고, 팔레스타인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인 이윤희 한국YMCA 생명평화센터 사무국장이 제안발표를 했다.
박성원 목사는 발제를 통하여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의 근본적인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제시했다. 그는 특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이 “제국의 전술적 틀에 의해서 진행되고 있다”고 했으며, 분쟁의 해결을 위해서는 “‘결자해지’로 갈 수 있는 압박전략(에큐메니칼 대응 포함)”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진정한 민주주의에 이를 수 있는 새로운 민주시민정치”의 시각으로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미국이나 유럽연합 등은 ‘경제적 지배를 지속시키기 위해 군사력을 활용’하는 제국주의적 전술을 국제 분쟁에서 전형적으로 사용해 왔으며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이에 국제사회는 미국이나 유럽연합 등에 대해서 정의에 입각한 압박을 전방위적으로 가해서 분쟁을 결자해지의 원칙에 의해 해결하도록 종용해야 한다. 그리고 분쟁의 과정에서 희생되는 것은 양국의 민간인들이기 때문에 분쟁의 궁극적인 해결책은 세계 민중사회의 연대를 통해 제국주의적 이익에 봉사하는 권력집단의 작위를 제어하는 길밖에 없다. 이에 그는 세계기독교시민운동을 통해 권력의 부당한 작위를 적발하는 데 있어서 교회의 역할을 주문했다.
이어진 김용복 목사의 발제에서는 “모든 전쟁은 학살적이므로 모든 전쟁을 불법화하여야 한다”며 “전쟁을 합리화하는 이론, 법, 윤리 모드를 해체”하고 “전쟁을 위한 생산체제를 거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그래서 이스라엘에 대해 BDS운동(Boycott[불매운동], Divestment[투자철회], Sanction[제재])을 전개하는 것이 “반(反)학살 행동”이 된다. 이외에도 ‘국가기관이나 국가연합기관에게 전쟁을 실행할 권리를 부여할 것이 아니라 민이 직접 참여하여 모든 생명체와 상생하면서 생명과 평화를 지키는 참여운동을 전개하여야 한다,’ ‘팔레스타인 민족의 수난을 함께 나누면서 서로 지혜를 배우고 생명평화의 지구적 연대를 엮어가야 한다,’ ‘모든 어린이와 젊은이들을 평화의 창조자로 일으켜 세우는 Peace Pedagogy를 실천해야 한다’ 등의 주장이 제기됐다.
세미나 말미에 이윤희 사무국장은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평화를 위한 한국 그리스도인 제안”을 발표했다. 제안에는 1. 이스라엘의 인종청소(ethnic cleansing)와 군사점령 그리고 인종차별정책(apartheid)의 철폐 촉구; 2. 사태해결을 위한 미국과 유럽연합(현 상황의 실질적 책임자로서)의 즉각적인 개입과 이스라엘 지원 중단 촉구(UN과 미대사관, 유럽연합에 항의 서신 전달); 3. 한국 정부에 이스라엘 대사 소환 촉구 및 이스라엘 무기 구입 중단 촉구; 4. 팔레스타인의 요청에 따라 BDS(보이콧, 투자철회 및 제재조치)한국위원회 조직 및 운동 전개; 5. 한국 교계의 BDS 참여 촉구(각 교단 및 교회의 연기금 등 교회 재원이 사회정의를 도모하고 윤리적으로 투자되도록 촉구하며 감시하는 캠페인 실시); 6. 가자지구 복구 지원과 팔레스타인 어린이 수감자 지원을 위한 모금 캠페인 전개, ‘팔레스타인 어린이 친구모임’ 등 조직; 7. 이스라엘 중심의 성지순례에서 평화를 만들어가는 대안성지순례 캠페인 추진; 8. 팔레스타인과 한반도 평화 촉진과 협력을 위한 올리브나무 캠페인에 지속적으로 참여(2014년 10월 방문 예정); 9. 동쪽의 끝 한반도와 서쪽의 끝 팔레스타인의 평화협력을 위한 신학교류 및 청년리더십 육성, 공동의 행동 조직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