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암신학연구소(소장 이장식 박사)는 24일(월) 오후3시 연구소에서 종교개혁500주년기념강좌 <종교개혁의 역사와 신학, 인문학적 연구>의 여섯 번째 강좌를 진행했다. 주제는 "종교개혁자들의 성례전 신학"이며 김균진 연세대 명예교수가 강의했다.
김 교수는 하나님의 정의와 인간의 자유에 대한 의지가 종교개혁의 직접적 기폭제였다고 강조했다. 루터의 종교개혁은 단지 칭의론 때문이 아니라 하나님의 정의를 회복하고자 했던 그의 의분 때문에 촉발된 것이다.
김 교수는 "종교개혁은 단지 자신의 구원의 문제에 대한 수도승 루터의 '두려움'과 '실존적 절망' 속에서 '갑자기' 발견한 칭의론(이른바, Turmerlebnis, 탑 속의 체험)으로 말미암아, 아니면 교황청으로 흘러들어가는 독일민족의 돈을 지키기 위한 경제적, 국수주의적 관심 때문에 일어났다고 생각한다면, 이것은 루터의 종교개혁의 의의를 축소 내지 왜곡시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종교개혁자들의 성례론 역시 성례에 관한 신학적 성찰의 산물이 아니라 당시 가톨릭교회의 불의를 극복하고, 인간과 교회의 자유와 하나님의 정의를 회복하고자 했던 개혁자들의 관심과 연결되어 있다. 김 교수는 성례론의 세부 문제들 중 '자동주의적 성례관'과 '그리스도의 임재'를 중점적으로 살폈다. '자동주의적 성례'란 성례 자체에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일으킬 수 있는 객관적 힘이 있기 때문에 성례에 참례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구원의 은혜를 받게 된다는 교의로서, 성례를 집전하는 성직자 계급의 독재와 전횡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해왔다. 성례가 구원의 은혜를 베푸는 자동기계처럼 이용되면서 사제직을 강화하고 평신도의 재산을 갈취하는 수단으로 전락되어버린 것이다.
'그리스도의 임재'는 성만찬에 그리스도가 어떻게 임재하느냐와 관련되어 있는데, 가톨릭교회는 화체설을 주장한다. 화체설은 "성직자가 성만찬 제정사를 말하는 순간 그 실체가 변화되어 그리스도의 몸과 피의 실체로 변화"된다고 믿는 교의인데, 빵과 포도주를 신격화시켜 경배하는 '우상숭배의 위험'이 있으며, 이 또한 성만찬을 집행하는 사제의 권위와 이 사제가 속한 교회의 권위를 강화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화체설에 대해 루터는 공재설을, 츠빙글리는 상징설을, 칼뱅은 성령론적 임재설을 주장하며 비판했다.
강의 말미에 김 교수는 이처럼 하나님의 정의와 인간의 자유에 대한 의지가 동인이 되어 종교개혁이 일어났기 때문에 오늘날 부패한 한국교회의 상황에도 이러한 개혁의지가 발동되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 개혁의 동력은 종교개혁자들의 성례전 신학이 제공할 수 있다. 주님과 연합하고 만찬을 함께 나눈 형제자매들이 하나가 되는 성례전 신학을 중심으로 할 때,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목숨을 내어준 것처럼 자신의 목숨을 내어줄 것을 고민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어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교회들도 서로 교리가 다르다 하더라도 성만찬을 중심으로 연합해야 한다. 한국교회가 분열됨으로써 사회의 신뢰를 상실했지만, 성만찬의 연합정신을 믿는다면 성만찬 신학을 근거로 연합해야 한다. 그래야 한국교회가 살아난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