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언론위원회는 12월의 「(주목하는) 시선 2016」 으로 '청소년 행동'을 선정했다. 아래는 선정 이유이다.
'청소년 행동'은 한국 사회에서 어둠이 빛을 가릴 때마다 앞장서서 광장으로 나아가 시민의 주권회복을 위한 토론을 점화시키는 불씨였다. 촛불은 빛이 사라진 세상에서 희망을 잃을 수 있는 모두에게 어둠을 이길 수 있는 출구를 가리키는 방향타이다. 민족의 등불이 꺼졌다고 절망했던 일제강점기 1919년 3월 1일 시작된 독립선언을 앞서서 이끌었던 것도 중고생이었으며, 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 시작된 항일운동도 중고생들이 어둠을 가르는 등불을 들었던 것이었다. 이 땅에서 민주주의를 부정하고 독재체제를 영구히 하려던 이승만 정권을 무너뜨린 1960년 4월 19일 학생혁명도 3월 15일 마산에서 최루탄에 맞아 희생된 청소년 김주열 열사로부터 시작되었다. 촛불을 든 청소년의 행동은 어둠이 이 땅을 덮을 때면 언제든 다시 타올랐다.
2002년 미군이 장갑차로 중학생이었던 효순이와 미선이를 죽였음에도 한국은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에 의해 그들을 재판할 권한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자기 땅에서 유배되어야했던 국민은 억울한 죽음 앞에 촛불을 들 수밖에 없었다. 그 선두에는 벗의 죽음에 통곡했던 청소년이 있었다. 첫 촛불은 인터넷을 통해 효순이와 미선이의 영혼이 반딧불이 되어 하늘로 날아오를 수 있도록 함께 불을 밝혀주자는 제안에서 시작되었다. 광장에서 밝혀진 촛불은 상처받은 모든 영혼이 치유받을 수 있도록 세상을 밝히는 불씨였다.
2008년 광우병 사태가 벌어지자 청소년들은 하나둘 다시 광장으로 모여들었고 촛불을 밝혔다. 국민건강권마저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는 정부의 무능과 부패한 정권을 견제조차 못하는 나약한 의회에 국민은 분노했다. 그럼에도 기성세대는 비겁했기에 다시 반딧불을 모은 건 수업을 끝마치고 청계광장에 모인 중고생들이었다. 촛불을 든 청소년들의 행동은 자식의 미래를 걱정하는 엄마들이 아이들을 유모차에 태워서 촛불집회에 참석하는 '유모차 부대'를 모이게 했다. 2002년 촛불이 광장의 공동체를 열었다면, 2008년 촛불은 연대의 공동체를 열었다.
2014년 4월 16일 오전, 진도 앞바다에서 아무런 설명도 없어 '가만히 있으라'는 어른들의 이야기에 따랐던 선량한 단원고 학생들은 세월호와 함께 바다 속에 가라앉고 말았다. 전 국민은 그 모습을 실시간 방송을 통해 지켜봐야했다. 청소년들이 가장 앞장서서 무능한 정권, 부도덕한 사회, 비겁한 기성세대에 맞선 진실규명을 요구하는 촛불을 들었던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였다. 정권의 억압과 사회의 무관심속에서 고립된 유가족과 가장 오랫동안 함께 울어주고 곁에 머문 것은 246명의 벗을 잃은 청소년이었다.
2014년 봄에서 2016년 겨울로 이어진 청소년 행동은 자신들이 처한 현실의 부조리가 민주주의를 되찾아야 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그 많은 벗들이 쓰러져갔음에도 여전히 광장에서는 경찰이 발포한 물대포로 선량한 농민이 죽음에 이르고, 경찰이 방패를 들고 시민을 폭행하는 폭력이 난무하였다. 이제 공적 폭력을 이기는 힘은 그들로부터 권력을 되찾는 것이었다. 2016년 11월 13일 촛불을 든 청소년 행동이 청소년혁명위원회를 소집한 이유였다. 2016년 청소년 행동은 현재의 미완상태인 '시민혁명,' '주권자혁명,' '민주주의 혁명'을 완결할 때까지 추동하는 힘이 되고자 한다. 20-30세가 된 2002년 촛불세대와 2008년 촛불세대가 2014-2016년 촛불세대와 결합하면서, 한국 사회는 4.19학생혁명이후 지금까지 완성하지 못했던 주권자가 주인이 되고, 시민이 권리를 행사하는 진정한 민주주의 혁명을 향한 길로 가고 있다.
촛불을 치켜든 청소년들은 거대한 골리앗에 맞서 돌팔매를 들고 담대히 앞서 나가는 다윗과 같이 억압에 맞서 주권을 되찾기 위해 앞서고 있다. 지금 청소년들이 든 촛불은 횃불이 되고, 다시 들불이 되어 전국에 번지고 있다. 청소년 행동은 거짓 앞에 두려워 무릎 꿇지 않고, 진실을 지키려는 용기를 가장 앞장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 행동은 단순히 촛불을 밝히는데 머물지 않고, 사회를 변혁하기 위한 주장을 거침없이 토해내고, 주변을 중심으로 연대해 내는 동력이다. 그들의 담대하고 건강한 의식이 한국 사회에 다시 빛을 전해주고 있다. 청소년 행동은 진실은 침몰하지 않고 거짓은 참을 이길 수 없다는 염원을, 아니 그래야만 주권회복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행동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것이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언론위원회가 2016년12월의 「(주목하는) 시선 2016」 으로 '청소년촛불'을 선정한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