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묵상레터] 아합 왕과 고래

기독교환경교육센터_살림/ 구미정

creation_01
(Photo : ⓒ웹포스터)
▲아합 왕과 고래
creation_02
(Photo : ⓒ웹포스터)
▲아합 왕과 고래

"주님께서 구름 떠도는 창공을 저 위 높이 달아매시고
깊은 샘물을 솟구치게 하셨을 때에
바다의 경계를 정하시고 물이 그분의 명을 거스르지 못하게 하시고
땅의 기초를 세우셨을 때에
나는 그 분 곁에서 창조의 명공이 되어
날마다 그분을 즐겁게 하여 드리고 나 또한 그분 앞에서 늘 기뻐하였다"
(잠언 8:28-30)

허먼 멜빌의 소설 『모비딕』(1851)의 줄거리는 어찌 보면 단순하다
소설 속 에어허브 선장은 고래에게 한쪽 다리를 잃었다.
복수하 위해 평생 그 고래, '모디빅'을 찾아다니는 이야기다.
이 소설은 흔히 '위대한 미국 소설'로 불린다.
인간과 자연의 투쟁, 나아가
자연을 '정복'하려는 인간의 집념을 감동 있게 그렸다나?

『모비딕』이 다시 소환된 건 영화 <더 웨일>(2022)에서다.
'더 웨일'은 말 그대로 '고래'라는 뜻.
주인공 찰리는 사랑하는 이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섭식장애를 앓았다.
몸무게가 272킬로그램에 육박할 정도로 비대해졌다.
'고래'처럼 몸이 무거워진 그의 직업은 온라인 글쓰기 강사.
그는 딸 엘리가 쓴 『모비딕』 감상문이 최고의 에세이라고 믿는다.

"선장 에이허브는 다리 하나가 없고 어떤 고래에게 앙심을 품고 있다...
그는 평생을 그 고래를 죽이는 데 바친다. 안타까운 일이다.
고래는 감정이 없기 때문이다...에이허브도 참 가엽다
그 고래만 죽이면 삶이 나아지리라 믿지만, 실상은 그에게 아무 도움도 안될테니까."

엘리의 감상문은 '위대한 미국 소설'을 오독한 것처럼 보인다.
나아가 '위대한 미국 정신'을 모독하는 것 같다.
하지만 새겨들으면 틀린 말이 하나도 없다.
자연과 화해하지 못한 인간의 독선과 무능을 신랄하게 고발한다.

에이허브는 구약성경에 나오는 아합 왕의 영어식 발음이다.
아합 시대는 외견상 북이스라엘의 전성기였지만, 하나님의 평가는 달랐다.
우상 숭배를 일삼아 하나님의 진노를 샀다.
소설 속 고래가 문명을 파괴하는 일그러진 우상의 상징이라면
아합의 고래는 무엇이었을까?
또 오늘 우리가 허망하게 좇는 고래는 무엇일까?

주님,
고래를 좇다가 고래에게 잡아먹히고 만 인간의 어리석음을 곱씹어봅니다.
우리가 헛된 욕망에 영혼을 팔지 않게 하소서. 아멘

기획/글: 기독교환경교육센터_살림/ 구미정

※ 본 글은 기독교환경교육센터_살림의 2023 창조절 여덟째 주 묵상레터임을 밝힙니다.

좋아할 만한 기사
최신 기사
베리타스
신학아카이브
지성과 영성의 만남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알쓸신학 3] 안디옥 학파를 반대한 것은 "민중의 종교 감정"이었다고 틸리히는 말했다

동방교회에는 알렉산드리아 학파와 함께 안디옥 학파도 있었다. 그러나 이 두 학파의 결은 사뭇 다르다. '그리스도인'이라는 호칭이 안디옥에서 처음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알쓸신학 2] 알렉산드리아 학파는 신플라톤주의를 어떤 식으로 수용하였나

알렉산드리아 학파는 그리스 철학의 영향 가운데서 배양되었다. 당시 철학은 단순한 학문의 한 분과가 아니었다. 폴 틸리히는 "고대가 끝날 무렵,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알쓸신학 1] 초기 그리스도교의 이단들이 그리스도교회에 남긴 것

"초기 교회는 크게 동방교회와 서방교회로 나누어진다. 동방교회는 알렉산드리아, 예루살렘, 안디옥과 소아시아, 콘스탄티노플까지 지역을 이르고,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예루살렘에 신이 있다는 믿음이 모든 불행의 시작"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1월 '사건과 신학'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전쟁'이라는 주제를 다룬 가운데 이상철 크리스챤아카데미 원장의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텍스트 사이에서 21] 비참한 바빌론 포로생활 중에 정교화된 이스라엘의 창조신앙

구약성서의 창조신앙은 오늘날 그리스도교 신앙고백의 직접적인 근거이다. 구약성서의 창조 이야기를 단순하게 진리로 받아들일 수도 있고, ... ...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선교는 자기 주권을 확장하는 행위 아냐"

예장통합 경서노회 노회원들과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한 호렙성경연구원 제2회 세미나가 오는 13일 오전 구미 하늘문교회에서 열립니다. 주강사로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팬데믹 이후 교회는 사회와의 유대 관계 소홀히 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교회가 보여준 태도는 내적인 방향으로 정체성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흘러 사회와의 유대 관계를 소홀히 여기는 경향을 ... ...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사회적 거리두기 뿐만 아니라 생태적 거리두기 필요"

「대학과 선교」 최신호(57호)에 장윤재 교수(이화여대, 조직신학)의 '기후위기 시대의 생명선교와 기독교대학의 사명'이란 제목의 논문이 ... ...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루터의 두 왕국론, 지배권력 합법화시키는 이데올로기 아냐"

'신학사상' 최신호(202집)에 루터의 두 왕국론 구도에서 그의 자연법과 그리스도 법의 상관성을 연구한 논문이 게재됐습니다. '마르틴 루터 신학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