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후 위기에서 어린이 생명 구하는 교회 돼야"

'기후 위기에 대한 WCC의 대응과 탄소 중립 정책' 컨퍼런스 열려

wcc
(Photo : ⓒWCC)
2019년 9월 뉴욕 거리의 기후 행진에서는 약 60,000명의 젊은이들이 정부 관리, 교회, 삶의 모든 성인에게 올바른 말을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의 변화를 시작할 것을 촉구했다.

지난 27일 한국기후위기신학포럼이 지역활동을 세계적 지평에 열결하는 방법에 관심있는 교회 지도자, 목회자 및 학생들을 양성하기 위해 '기후 위기에 대한 WCC의 대응과 탄소 중립 정책'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 컨퍼런스는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했다.

창조보전을 위한 한국기독교환경운동연대 공동대표 배현주 목사는 환경정의에 대한 세계교회협의회의 헌신에 대한 역사를 간략하게 소개했다. 배 목사는 기후 정의에서 한국 에큐메니칼 기독교의 역할을 탐구했는데 WCC 활동의 다른 많은 측면 중 그녀는 "기후 책임 은행 - 어린이를 위한 도덕적 의무"라는 이니셔티브를 인용했다.

이어서 WCC 아동 권리 수석 고문인 프레데리크 세이델(Frederique Seidel)은 교회와 기독교 단체가 개척한 지구 온난화에 맞서기 위한 투자 전략의 예를 인용하면서 '기후 해결을 통해 어린이의 생명을 구하는 교회'라는 주제로 개입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녀는 또한 지난 6월 파리 글로벌 파이낸싱 협약(Paris Global Financing Pact) 정상회담에서 교회 어린이들이 공유한 성명서를 발표했다.

세이델은 "녹색 금융의 힘에 대한 여러분의 관심은 현재 사각지대를 어린이의 미래를 위한 기하급수적인 로드맵으로 바꾸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실제로 2023년 기후 혼란에 대한 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60대 은행의 화석 연료 자금 조달은 파리 협정 채택 이후 7년 동안 5조 5460억 달러에 달했으며 2021년에만 화석 연료 자금 조달이 7,420억 달러에 달했다"고 밝혔다.

세이델은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은 지구 온난화를 멈추는 데 진전이 없어 겁을 먹고 낙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매년 약 3,800만 명의 어린이들의 교육이 기후 비상사태로 인해 중단되고 있다"며 "기후 변화로 인한 질병 부담의 거의 90%가 5세 미만 어린이들이 짊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기후 위기는 어린이의 위기이자 화석 연료 위기"라고 세이델은 덧붙였다.

세이델은 "우리는 생명을 위협하는 CO2 배출 증가를 막기 위해 어른들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점을 어린이들에게 확신시켜야 한다"며 "따라서 우리는 기후 솔루션 가속화를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 중 하나인 기후 책임 은행을 사용하는 전문가들과 함께 WCC 회원 교회들 사이에서 연구를 이끌었다"고 전했다.

그녀는 교회나 가족이 저축하는 돈이 어떻게 우리의 미래를 바쁘게 형성하고 있는지도 설명했다. 세이델은 "종종 우리의 돈은 우리가 직접 지원하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하는 활동에 자금을 지원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탄소 폭탄, 즉 화석 연료를 위한 새로운 시추 작업이 그 예다"라고 말했다.

점점 더 많은 교회가 금융 서비스 제공업체에 투자 관리 방법에 대한 투명성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힌 세이델은 "모든 교회, 개인, 기관, 기업은 은행 업무를 통해 탄소 폭탄을 해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며 "우리 은행 및 연금 기금과 협력함으로써 우리는 전 세계 수십억 명의 젊은이들이 그들의 어깨에서 너무 무거운 짐을 덜도록 도울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빠른 경제성장을 이룬 한국이 이 도전에 어떤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을까?"라고 물으며 "우리가 함께 모여 교회 돈, 가족 돈, 기관의 돈, 국가의 돈 등 돈이 투자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자. 우리 모두가 아이들을 위해 이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지수 기자 admin@veritas.kr

좋아할 만한 기사
최신 기사
베리타스
신학아카이브
지성과 영성의 만남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알쓸신학 3] 안디옥 학파를 반대한 것은 "민중의 종교 감정"이었다고 틸리히는 말했다

동방교회에는 알렉산드리아 학파와 함께 안디옥 학파도 있었다. 그러나 이 두 학파의 결은 사뭇 다르다. '그리스도인'이라는 호칭이 안디옥에서 처음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알쓸신학 2] 알렉산드리아 학파는 신플라톤주의를 어떤 식으로 수용하였나

알렉산드리아 학파는 그리스 철학의 영향 가운데서 배양되었다. 당시 철학은 단순한 학문의 한 분과가 아니었다. 폴 틸리히는 "고대가 끝날 무렵,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알쓸신학 1] 초기 그리스도교의 이단들이 그리스도교회에 남긴 것

"초기 교회는 크게 동방교회와 서방교회로 나누어진다. 동방교회는 알렉산드리아, 예루살렘, 안디옥과 소아시아, 콘스탄티노플까지 지역을 이르고,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예루살렘에 신이 있다는 믿음이 모든 불행의 시작"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11월 '사건과 신학'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전쟁'이라는 주제를 다룬 가운데 이상철 크리스챤아카데미 원장의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텍스트 사이에서 21] 비참한 바빌론 포로생활 중에 정교화된 이스라엘의 창조신앙

구약성서의 창조신앙은 오늘날 그리스도교 신앙고백의 직접적인 근거이다. 구약성서의 창조 이야기를 단순하게 진리로 받아들일 수도 있고, ... ...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선교는 자기 주권을 확장하는 행위 아냐"

예장통합 경서노회 노회원들과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한 호렙성경연구원 제2회 세미나가 오는 13일 오전 구미 하늘문교회에서 열립니다. 주강사로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팬데믹 이후 교회는 사회와의 유대 관계 소홀히 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교회가 보여준 태도는 내적인 방향으로 정체성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흘러 사회와의 유대 관계를 소홀히 여기는 경향을 ... ...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사회적 거리두기 뿐만 아니라 생태적 거리두기 필요"

「대학과 선교」 최신호(57호)에 장윤재 교수(이화여대, 조직신학)의 '기후위기 시대의 생명선교와 기독교대학의 사명'이란 제목의 논문이 ... ...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루터의 두 왕국론, 지배권력 합법화시키는 이데올로기 아냐"

'신학사상' 최신호(202집)에 루터의 두 왕국론 구도에서 그의 자연법과 그리스도 법의 상관성을 연구한 논문이 게재됐습니다. '마르틴 루터 신학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