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오후 1시 30분 서울 안암동 소재 한국신학아카데미 세미나실에서 2024 가을학기 학술세미나가 열렸다. '칭의론의 사회적 해석'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세미나에서는 김영한 박사(기독교학술원 원장)가 발표에 나섰고, 김동춘 박사(현대기독연구원 원장), 김균진 박사(한국신학아카데미 원장)가 논평했다.
'칭의와 정의: 사회학적 칭의론에 대한 신학적 평가'라는 주제로 발표한 김영한 박사는 먼저 사회학적 칭의론이 △"죄인의 칭의"를 말한 바울과 루터의 칭의론을 "죄의 정의"로 변질시킨 기독교의 문제점을 지적한다는 점 △칭의를 받은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내면적 관계는 이웃과의 정의로운 관계로 표출되어야 한다는 점 △칭의를 받은 그리스도인들이 수행해야 할 사회적 책임과 정의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킨다는 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김 박사는 그러나 하나님의 의와 인간의 정의를 결부시키는 사회학적 칭의론에 대해 "로마서1:17이 말하는 "하나님의 의"는 사회윤리적 차원의 정의(justice)와 구별되는 구원론적 의(righteousness)라 보아야 하지 않는가? 사회적 칭의론은 개인이 하나님 앞에서 인격적으로 변화하여 새 사람이 되는 측면을 간과하지 않는가?" "하나님의 구원은 자신의 정의로운 행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상품과 같은 것이 되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하며 신학적 입장 차이를 보였다.
더 나아가 김 박사는 사회학적 칭의론에 대해 "오직 믿음으로, 오직 은혜로 얻을 수 있는 하나님과 인간의 수직적인 인격적 관계를 간과하고 사회적 약자들의 삶의 권리를 회복하는 정의로운 행위를 통해 하나님의 의를 얻을 수 있다고 본다"며 "그래서 "칭의론의 본질"은 죄 용서가 아니라 사회적 약자들의 권리를 회복하는 데 있다고 말한다. 이것은 기독교의 구원론을 "구약적 율법행위의 구원론으로 변모"시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바울이 말하는 "오직 믿음"은 야고보서가 말하는 "행함이 있는 믿음"과 대립하지 않는다"며 "믿음으로 칭의를 받은 사람은 칭의의 동력으로 행함이 있는 믿음으로 성화되기 때문이다. 사회적 약자들의 삶의 권리를 회복하는 정의로운 행위는 칭의의 결실이지 칭의의 전제가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도 김 박사는 사회학적 칭의론이 고전적 칭의론이 간과하고 있는 사회, 역사적 구원의 중요성을 환기시켜 주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긍정했다. 그는 "그리스도의 구원은 개인 구원 뿐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물질적 차원의 구원을 포함한다"며 "하나님의 이ㅡ는 사회적 약자의 권리를 세워주는 사회적 정의로 연결된다"고 밝혔다.
논평에 나선 김동춘 박사는 고전적 칭의론이 구원론을 개인구원모델로 한정, 축소하여 파생되는 문제점들에 대해 언급하며 현대신힉의 생태학적 구원은 이미 "개인구원의 한계를 넘어선다"고 반박했다. 이 맥락에서 구원을 인격적 관계의 시선으로 한정하고 있는 전통적인 구원론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자연은 인격적인 믿음을 고백할 수 없다"며 "인간화, 해방으로서의 구원, 건강으로서 구원, 치유로서 구원, 만물의 새창조로서 구원 역시 개인적 신앙고백을 통한 개인구원의 틀로 해석하기란 어렵지 않은가?"라고 반문하기도 했다.
칭의론을 죄사함과 연결하지 않고 사회적 차원의 정의와 결부짓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맥락에서 죄란 '실체론적 죄'였다. 이것은 죄의 본성을 문제삼는 원죄론이었으며 이는 다름 아닌 본질주의에 기반한 죄론이었다. 이제 오늘의 죄는 실존주의에 기반한 죄를 말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틸리히는 죄를 실존적으로 파악해 비존재의 위협, 유한성으로부터 오는 불안과 소외를 죄의 실재라고 말했다. 여기서 더 나아가 해방신학은 죄를 역사화하여 가난, 비인간화, 구조악을 죄로 보았다. 월터 윙크는 악을 문화와 사회구조 속에 비인격적으로 실재하는 '지배체제'로 설득력 있게 설명했고 또 한나 아렌트가 악을 '평범성'이라고 규정했다. 이제 현대 사회에서 일어나는 죄란 타인의 고통에 둔감한 죄, 무감각의 죄, 무지의 죄를 말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논평자 김균진 박사는 김영한 박사의 주장에 대해 "기독교의 고전적 칭의론과 사회학적 칭의론이 서로 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둔다"며 "'개인 구원'과 '사회적, 경제적, 물질적 차원의 구원'이 하나님의 구원에 포함된다면 개인의 내면적, 영적 칭의와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정의는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통합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김 박사는 "하나님의 구원은 사회적 약자들을 억압과 착취에서 해방하고 그들의 삶의 권리를 회복하는 인간의 정의로운 행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십자가에 달린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에 대한 믿음과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 얻을 수 있다는 기독교 신앙의 기본 전제를 그는(김영한) 포기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글/기사가 마음에 드신다면 베리타스 정기구독 회원이 되어 주세요. 회원가입 방법은 하단 배너를 참조하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