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초 한신대 졸업식을 진행하고 있는 김정준 당시 한신대 학장(왼쪽)과 안병무 교수(오른쪽) |
2등은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다는 광고 문구도 있었지만, 아무리 퀴퀴한 삶에도 찬란하게 빛나는 햇볕 한 줄기쯤은 있음이다. 신학자 김정준(1914~1981)의 삶도 그랬다. 33세에 시한부인생을 선고 받고 졸지에 꼴등 인생으로 추락했지만, 기적적으로 67세까지 살았다. 이후로 그는 늘 어둠 속에 빛이 되시는 존재로서의 신을 찬양하며 살았다.
김정준. 한신대 학장과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 원장을 지낸 구약학자, 에큐메니컬 운동가, 기독교 연합기관 이사장, 편집위원장, 목회자. 이렇듯 다양한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지만 인생에 대한 해석은 간단명료했다. “나의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다.”
김정준의 빛나는 신앙이 도서 ‘한국 기독교 지도자 강단설교 – 김정준’(홍성사)으로 엮어져 나왔다. 책을 편집한 KIATS(한국고등신학연구원)은 김정준이 남긴 ‘믿음의 유산’을 발굴코자 했다며, “보수화되고 획일화되어 가는 한국교회에 그의 삶이 던지는 메시지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1부에서는 김정준이 지나온 길을 김정준의 육성으로 들을 수 있다. 노년의 김정준은 “권력이 인간을 강자로 만든다고 할 수 없습니다. 권력은 그보다 더 높은 권력 아래 굴종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한다. 또 서른 셋에 폐결핵을, 회갑 이래로 심장병을 앓아 온 자신의 삶을 “나는 하나님의 은혜의 손이 이 생명을 연장시켜 주시기 때문에 아직도 살아 있다고 믿습니다. 특히 올 한 해마도 몇 차례 죽을 고비를 넘기면서 나는 ‘인명人命은 재천在天’이란 말을 ‘명재命在는 신은神恩’이라고 고쳐 읽게 되었습니다”라고 노래한다.
육체의 약함 속에도 그는 저작과 연구를 멈추지 않았다. 연합신학대학원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신학-신학교육-신학적인 활동을 연결해 보려 한 노력을 “신학자로서 가장 자부하고 싶다”고 끼끗한 목소리로 말한다. 또 1966년 신학교육기금위원회 아주亞洲 지역 대표로 매해 런던에 가서 제 3세계 신학문제를 토의하는 등 여러 국제적인 활동을 통해 “한국신학과 신학교육을 국제사회에 소개하고 자랑할 수 있었다”고 한다.
해산되다시피 한 한신대 교수단을 재건하기 위해 연합신학대학원 원장직을 사임하고 한신대에 부임했을 때 그의 각오는 “죽으면 죽으리라”였다
2부는 폐결핵과 싸우는 중 가장 힘이 된 시평명상 일부를 발췌했다. 그의 시편 연구는 세계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 3부는 김정준의 목회관을 엿볼 수 있는 설교로 구성됐다. 성도들에게 그는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즐거워하며, 이 세상 고난과 슬픔을 이겨 나가는 것이 신자의 생활”이라고 말한다.
4부는 ‘한恨의 신학’, ‘목민牧民신학’ 등 김정준의 신학을 엮었다. 그는 늘 사회의 변두리에 있는 ‘민중’에 관심을 기울이고 이에 대한 사유를 신학화했다. ‘민중신학의 구약성서적 근거’라는 글에서 그는 “기독교 신학과 사상은 결코 일부 특권 계급의 사람이나 특권 계급의 혜택으로 권력과 부를 얻어 자유로운 삶을 사는 중산층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이 두 계층의 사람들의 억압과 압제에서 착취당하고 인권 유린 당하는 하층구조에 속한 사람들, 즉 일반 민중을 위한 것이 되어야 함을 민중신학의 제창으로 밝힐 수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민중을 변호하는 신학이 되어야 한다는 것.
김정준은 신학대를 졸업하고 목회의 일선으로 나가는 학생들에게 “목회정신은 목민정신에 뿌리를 내려야 합니다”라고 말한다. 목민정신에 기반한 목회란 “약하고 눌린 자, 갇히고 매 맞는 자, 탈취 당하고 고독한 자 편에 선 목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