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큐메니컬 운동은 무엇인가? 밑도 끝도 없는 질문에 선뜻 대답하기 어려운 것은 그 범주도 문제이거니와 그 다양성도 문제일 것이다. 에큐메니컬이란 말은 본래 그리스어인 오이쿠메네(Oikoumene)에서 비롯됐다. 신약성경에만 15회에 걸쳐 쓰인 오이쿠메네는 세계, 우주, 땅이란 뜻으로 여러 차례 사용됐다. ‘하나님의 선교’(Missi Dei)란 새로운 선교관으로 기존 보수·복음주의 선교관을 송두리째 흔들기도 했던 에큐메니컬. 때문에 에큐메니컬은 정의, 평화, 인권, 평등 그리고 통일 등의 다양한 사회 현안에 큰 관심을 갖고, 실제적으로 접근했다. 이 에큐메니컬 운동은 한국교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교회의 분열엔 ‘교회 연합과 일치 운동’으로 민족의 분단엔 ‘평화 통일 운동’의 형태로 그 모습을 드러낸 것.
혹자는 에큐메니컬 운동을 “(에반젤리컬과 함께)그리스도 몸의 한 지체”로 혹자는 “세계 전체를 하나님의 집안으로 만드는 일”이라고 했다. 하지만 아직도 에큐메니컬에 대한 소개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고, 이 때문에 에큐메니컬 운동이 80년대 민주화 운동을 선도했던 과거 금빛 영광을 잃고, 위축됐다는 말에도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본지는 7월 14일부터 매주 월요일 총 7회에 걸쳐 에큐메니컬 운동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에큐메니컬 운동 이해’(대한기독교서회, 2006)를 저자 안재웅 박사의 동의를 얻어 연재한다. 에큐메니컬 운동의 권위자 안재웅 박사는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KSCF) 총무와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원장을 역임했고, 홍콩에 주재하면서 세계학생기독교연맹(WSCF) 아시아 태평양지역 총무와 아시아기독교협의회(CCA) 총무를 역임하는 등 평생을 에큐메니컬 운동에 종사했다. 저자의 염원대로 위축된 에큐메니컬 운동이 이 연재를 통해 보다 널리 알려져 옛 활기를 되찾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 편집자주.
▲ 안재웅 박사 ⓒ베리타스 DB |
인도차이나 사회주의 국가에서의 활약
CCA는 베트남 전쟁이 계속되는 와중에서 아시아 기독교 봉사회라는 기구를 만들어 인도차이나 국가에 에큐메니컬 봉사활동을 하였다. 비록 전쟁의 포화가 끊임없이 터지는 가운데서도 그리스도의 사랑은 의료지원과 생필품을 비롯한 전쟁 북구 자재 등을 공급하는 일로 뜨겁게 타올랐다.
CCA의 전신인 EACC는 아이작이라는 인도의 지도자를 아시아기독교봉사회의 인도차이나 프로그램 디렉터로 임명하였고 아이작은 가족과 함께 라오스의 수도 비엔틴에서 1968년에서 1974년까지 주재하였다. 그는 주로 베트남 난민을 보호하고 서방 자유주의 국가로 정착시키는 일을 돕는 데 주력하였다. 또한 농업 기술 개발에 필요한 요원을 양성하고, 사회사업가들을 돕고, 의사와 간호사들의 의료 관계를 돕는 등 괄목할 만한 일을 펼침으로써 인도차이나 사회주의 국가들의 신망을 얻게 되어 인도적인 지원에 큰 성과를 얻은 바 있다.
전쟁으로 말미암아 인명 피해는 말할 나위도 없고 공공시설의 파괴와 기물의 파손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당하는 상황에서 EACC는 현장에서 일하고, WCC는 이에 필요한 재정과 물자를 공급함으로써 에큐메니컬 운동의 모범을 보였다.
아이작의 증언에 따르면, 170여 명의 실무자들이 ACS에 소속되어 일했는데 일본 사람인 야마시타는 베트남 지역 책임자로, 필리핀의 퀴스문도는 라오스 지역 책임자로 아이작과 함께 일하면서 인도차이나 현지인들과 함께 아시아 기독교봉사회 일을 했다.
아이작은 그 중에서 특히 인상에 남는 한 사람을 소개했는데 터라는 베트남 여성이다. 그는 프랑스에서 화학을 전공한 후, 미국에서 원자력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둘이나 소지한 학자로서 전쟁 중인 조국으로 돌아와 성심성의껏 난민과 환자들을 도왔다. 그녀는 고통 받는 동족을 겸손하게 돌봄으로써 ACS에 돋보이는 실무자로 단연 모범이 되었다.
그런데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에 지원한 물량의 규모가 워낙 방대했기 때문에 1975년 베트남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인도차이나 국가의 복구를 위한 에큐메니컬 기구의 협력은 지대했다. 일단 내용적으로 ACS 프로그램은 베트남 전쟁이 끝나며서 문을 닫았다. 그러나 현지인을 통한 전쟁 복구 사업은 에큐메니컬 기구와 파트너 협력기관들이 꾸준하게 도왔고, 다시 CCA 안에 VLC 프로그램을 만들어 지속해 오다가 요즈음은 인도차이나 국가와 태국 미얀마, 중국을 포함한 메콩 강 유역국가들을 묶은 메콩 에큐메니컬 협력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낙후된 이 지역의 개발을 위해 힘쓰고 있다. 에큐메니컬 운동은 이처럼 이념이나 체제라는 장벽을 뛰어넘어 인도적인 차원에서 그리스도의 사랑을 봉사라는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서 일하는 개척자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동 티모르 독립을 위한 노력
에큐메니컬 운동은 동 티모르 독립을 위해서 여러모로 노력을 기울였다.
티모르는 1520년부터 400여 년 가량 포르투갈의 식민 통치를 받아왔는데 1945년 인도네시아가 독립하면서 티모르를 강점하게 된다. 그러나 동 티모르만은 계속해서 포르투갈이 통치해 오다가 1975년 7월 이 지역에 자치권을 부여하게 되고, 같은 해 11월 28일 동 티모르 독립혁명전선은 마침내 독립을 선포하게 된다. 그러나 9일이 지난 12월 7일 인도네시아 군대가 동 티모르를 강점하면서 무수한 사람들이 희생되었고 결국 1976년 7월 인도네시아의 한 성으로 편입되고 만다.
1998년 수하르토가 하야하고 하비비가 대통령이 되면서 동티모르에서 인도네시아 군대를 철수시켰고, 마침내 1999년 1월 하비비는 동 티모르에 자치권을 주면서 독립으로의 절차를 밟았다. 국제연합(UN)은 1999년 8월 국민투표를 통해서 78.5%의 지지를 얻어 독립을 결정하였고, UN은 동 티모르 임시 통치사무국을 설치해 독립의 기틀을 마련했다.
동 티모르는 2002년 5월 20일 독립국가로 태어났는데, 독립 당시의 인구는 약 8만 명 정도이고, 로마 가톨릭 교인이 96.5%를 차지하고 있으며 개신교는 2.5%, 기타 종교는 1%쯤 된다. 그들의 언어는 자국어인 테툼어와 식민통치를 받은 포르투갈어 그리고 바하사 인도네시아어 등 세 종류의 언어를 쓰고 있다.
그 동안 동 티모르의 독립을 위해 WCC와 CCA는 물론 WSCF와 YMCA 등 많은 에큐메니컬 운동의 기구들이 인도네시아 정부와 교회에 협력을 요청했다. 여러 차례에 걸쳐 에큐메니컬 방문사절단을 동 티모르와 인도네시아에 번갈아 보내면서 꾸준히 독립을 위해 노력을 계속했다. 또한 에큐메니컬 파트너 기구에서는 물심양면으로 동 티모르의 독립을 뒷받침했다.
우리의 기억에도 생생한 1985년 CCA 서울 총회에 앞서 청년 대표들이 동 티모르 청년을 초청해 청년대회에서 독립을 호소한 바 있다. 이 일로 인하여 CCA 총회 기간에 인도네시아 교회 대표들이 항의의 표현으로 총회를 퇴장하고 자국으로 돌아갔다. 그 후 CCA의 박상증 총무와 CCA 지도층의 꾸준한 노력으로 말미암아 인도네시아 교회는 다시 CCA에 복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에큐메니컬 기구들은 지속적으로 동 티모르의 독립을 도왔는데, 이런 노력을 인정받아 동 티모르 독립과 구스마오 대통령 취임식에 WCC를 대표해서 포르투갈 개신교 총회장 살바도르와 오스트레일리아 NCC 회장 헤어 및 CCA 총무인 필자가 수도 딜리의 타시 톨로 운동장에서 거행된 식전에 참석한 바 있다. 동 티모르는 Timor Lorosa' e로 불리다가 공식적으로 Timor Leste라 부르고 있는데 모두 East Timor이라는 뜻이다.
중국 교회의 경우
중국은 문화혁명이 끝나면서 개혁 개방이 자리잡게 되었다. 오랫동안 고립되어 있던 중국 교회가 세계교회와 만날 수 있었던 것도 에큐메니컬 운동의 노력의 결과라 하겠다. 또한 삼자애국운동의 정신을 살리면서도 애덕기금회와 같은 기구를 만들어 중국의 지역사회개발운동을 돕고, 순회 의사를 지역에 파송하며, 영어, 독일어, 일본어 등을 가르칠 외국인 교사를 선별적으로 중국 내의 여러 학교에 배치한 것도 에큐메니컬 운동이 일구어 낸 성공 사례의 하나이다. 그 동안 폐쇄되었던 신학교가 전국저그로 서서히 문을 열게 되자 에큐메니컬 운동의 파트너들은 신학교육에 필요한 건물과 교재나 도서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는데, 이 또한 에큐메니컬 운동이 이루어 낸 공헌이라 하겠다.
중동의 경우
중동 지역은 팔레스타인과 레바논 등지로부터 떠나온 난민들이 인접한 국가로 유입해온 터라 난민 보호가 최우선 과제였다. 에큐메니컬 운동은 세계교회와 협력함으로써 난민의 정착과 보호 운동에 주된 관심을 보여왔다. 중동교회협의회의 프로그램 가운데 또 다른 관심은 이슬람교도와의 대화와 협력에 주력하는 일이다. 이렇게 해서 에큐메니컬 운동은 난민문제와 이슬람과의 협력을 꾸준히 해오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유럽의 경우
크리스천과 마르크시스트의 대화는 유럽 교회가 주도한 색다른 에큐메니컬 운동의 면면이다. 동서로 갈라진 이념의 내부에는 크리스천과 마르크시스트와의 갈등이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신앙을 바탕으로 상호 이해와 협력을 통해서 동서의 냉전을 이겨내려는 위와 같은 시도는 유럽 교회가 보여준 에큐메니컬 운동의 크나큰 공헌이라 하겠다. 또한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겪은 유럽의 국가들이 난민 문제로 골치를 앓는 가운데, 난민의 보호와 정착을 위한 유럽 교회의 노력은 전 세계 에큐메니컬 운동의 귀감이 되고 있다.
아프리카의 경우
남 아프리카 공화국의 격심한 흑백간의 인종차별은 세계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백인 소수정권이 만델라를 27년 동안 감옥에 가둔 일이나, 흑인을 비참하게 죽이고, 차별하고, 굶주려 죽게 하고, 온갖 질병으로 죽어가도 이를 방관하는 백인들의 인종차별주의는 에큐메니컬 운동은 물론 외세로 말미암아 결국 손을 들고 말았다. WCC는 "인종차별 철폐 프로그램” 부서를 신설하고 모든 에큐메니컬 운동의 힘을 모아 남 아프리카의 백인 인종차별주의를 철폐하는 일을 도운 결과 성공적으로 백인통치를 끝마치게 되었고 결국 만델라가 이끄는 새 정권이 탄생했다.
남 아메리카의 경우
한때 남 아메리카 대륙은 군사정권들로 말미암아 인권의 침해가 극도에 달했다. 에큐메니컬 운동은 남미의 인권탄압 사례를 파헤치는 일을 지속적으로 하였고 이를 전 세계에 알렸다. 남미에 관한 한 에큐메니컬 운동은 인권운동의 챔피언이었고 여러 군사정권들로부터 미움을 사기도 했다. 남미의 민주화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기구는 에큐메니컬 운동임은 말할 나위도 없다. 2006년 브라질에서 개최되었던 WCC 총회 때 룰라 대통령은 연설을 통해서 남미의 민주화를 위해 힘써 준 에큐메니컬 운동에 특별 감사를 표명함으로써 온 세계에 이를 확인해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