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학과 신학이 만나면 ‘생태신학’이다. 생태학과 여성학 만나면? 경제학, 심리학, 과학이 생태학과 만나면?
연세대 신과대 부설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가 생태학(ecology)의 간(間) 학문적 대화를 시도하고 나섰다. 생태학 전문 연구소도 아닌데 이렇게 생태학을 화두로 들고 나온 데에는 생태학이 신학의 새로운 화두가 되어야 한다는 뜻이 반영됐다.
▲생태학과 신학, 과학의 만남.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전현식 소장(좌)이 연세대 대기과학과 이태영 교수의 발표 '에콜로지와 과학'을 경청하고 있다. ⓒ이지수 기자 |
전현식 소장은 “기독교인들은 자신이 개인적, 사회적 존재이자 ‘생태적 존재’라는 인식을 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구원의 개념을 확장시켜 나가야 한다는 것. 특히 생태계가 급속도로 파괴되어 인간의 삶의 터전마저 상실되고 있는 오늘날에, 이러한 인식의 전환은 절실하다고 밝혔다.
그런데 과학, 심리학, 여성학과의 만남은 어떤 연유에서일까? 이 학문들이 생태학과 만나는 접점이 많기 때문이다. 17~18세기 과학혁명 이후 지구를 생명이 아닌 기계로 보는 기계론적·환원주의적 패러다임이 노골화되면서, 지구환경은 생태학을 얼마나 요청하게 됐는가? 여성학자들이 비판하는 남성 중심적 세계관은 자연을 멋대로 파괴하는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얼마나 닮아 있는가? 이런 논의는 기독교에 기반한 생태 담론을 공고히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과학과의 만남은 이태영 연세대 교수(대기과학)가 맡았고, 심리학은 정석환 연세대 교수(목회상담학), 신학은 전현식 소장(연세대연합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경제학은 신의순 연세대 교수(자원경제학), 여성학은 김현미 연세대 교수(문화인류학)가 맡았다. 각 발표의 논찬은 신학자들이 한다.
28일 첫 강좌에서 이태영 교수는 생태계 파괴의 구체적인 사례를 들고, 이러한 파괴의 배경이 된 자연과학의 인식론을 반성했다. 또 환경 문제 극복을 위해서는 자연에 대한 인식 방법이 생태적으로 전환되야 한다고 강조하고, “환원주의에 근거한 과학적 사고는 여전히 확고부동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전체론적 관점에서 사고할 수 있는 능력도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논찬한 이용주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은 이 교수의 발표 내용이 “인간과 자연, 부분과 전체의 유기적 관계에 집중하는 현대 철학 및 신학의 시도와 정확히 일치한다”며 “자연과학과 인문학은 긴 길을 돌아 드디어 생태라는 큰 이름 아래 다시 만나고 있는 것”이라 평했다.
앞으로 강좌는 11월 18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4시 연세대 서울캠퍼스 신학관에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