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르겐 몰트만 박사는 3.1운동을 한국 민중의 외침이라고 규정했다.
'희망의 신학자' 위르겐 몰트만 박사(독일 튀빙엔대 명예교수)가 3.1운동은 '민중의 외침'이자 '한국민족 공동의 미래를 위한 정치적 약속'이라고 규정했다. 몰트만은 칼 바르트와 히틀러에 맞섰던 신학자 디트리히 본회퍼를 계승한 에큐메니컬 신학운동의 선구자로 꼽힌다.
몰트만 박사는 25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3.1운동 100주년 기념 국제컨퍼런스 - 3.1운동의 의미와 동북아 평화를 위한 한반도 미래구상'(아래 컨퍼런스)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몰트만 박사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헝가리, 체코 등지에서 일었던 소비에트 제국주의 저항운동이 외견상 실패로 보였지만 의미가 없지 않았다며 3.1운동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 1919년 3월 1일 한국 민중들은 하나의 목소리로 외쳤고 ▲ 자신의 자긍심을 증명하고 자유와 연대를 위해 희생했으며 ▲ 한 민족의 문화적 기억에 있어 실패와 고난은 승리로서 각인되기에 의미가 있다는 게 몰트만 박사의 지적이다.
몰트만 박사는 비슷한 사례로 1956년 헝가리와 1968년 체코 ‘프라하의 봄'을 들었다. 몰트만 박사는 두 봉기 모두 옛 소련의 탄압으로 무산됐지만 헝가리 봉기는 '소련 침략에 맞선 국가적 저항'으로, '프라하의 봄'은 문화혁명으로 자리매김했다고 강조했다.

본지 서광선 회장이 몰트만 박사와 인연을 이야기하고 있다.
컨퍼런스에 참석한 서광선 본지 회장은 1974년 몰트만 박사가 처음 한국을 찾았을 때 일화를 소개했다.
몰트만 박사는 당시 시국사건인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돼 재판을 받고 있던 그리스도인 학생과 민주화 운동을 벌이던 민중신학자 안병무, 문익환, 서남동 등을 위로하고자 방한했다. 이때 한신대 박봉랑 교수는 서 회장에게 몰트반 박사와 시내 관광을 해줄 것을 부탁했고, 이에 서 회장은 종로 2가 탑골공원으로 안내했다.
서 회장은 이 일화를 소개하면서 "몰트만 박사는 탑골 공원에 있던 3.1운동 조형물을 세심하게 살펴봤다. 그리곤 ‘내가 정치신학을 말하기 훨씬 이전에 한국 그리스도인들은 정치신학을 실천했다'라는 말 한 마디를 남겼다"고 당시를 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