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산티아고 순례기] Day 24. 내 안에 입력된 채널 편성표

글·이재훈 목사(청파교회 부목사)

아스토르가(Astorga) - 폰세바돈(Foncebadon): 7시간(28Km)

agggg
(Photo : ⓒ사진= 임현수 작가)
▲폰세바돈(Foncebadon)으로 향하다 마주친 순례자 기념품 가게이다. 이 가게에는 순례자들에게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단출한 복장’, 그 복장에 딱 맞는 만큼의 물품만 판매하고 있었다. 모자, 지팡이, 조개껍데기, 물병 등. 일상으로 돌아가서도 딱 이 정도 삶의 무게만 지고 싶다.

잠시 스친 인연이 있다. 그녀들은 대전에서 왔는데, 두 사람은 학창시절부터 알고 지낸 절친이라고 한다. 그러고 보니 산 세바스타안(San Sebastián)으로 떠난 현정이와 지혜, 오늘 함께 걸을 혜영이와 지영이 그리고 잠깐 마주친 몇몇 순례자들도 절친끼리 까미노에 왔다고 했다. 산티아고에 오는 목적은 여러 가지겠지만, 그 가운데 하나는 친한 친구들끼리 함께 걷고 싶은 버킷 리스트도 포함인가 보다.

하지만 이곳에서 자주 경험하듯, 절친이 아닌 새로운 멤버와 함께 걷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오늘 그녀들과 서로 어색한 듯 아닌 듯 자기만의 가면을 쓰고, 서로의 공간을 침범하지 않은 채 그렇게 걷고 있다. 역시 새로움과 익숙함 사이에는 늘 유격이 존재하는 법인가 보다.

출발하기 전, 오늘 걷게 될 지도를 살펴보니 '라바날 델 까미노(Ravanal del camino)'부터 경사가 높아졌다. 적당히 라바날까지 걸을까 생각도 했지만, 중간에 멈춰 서기 애매 해 '폰세바돈(Foncebadon)'까지 더 걸어볼 예정이다. 예상대로 라바날까지는 무난하게 왔다. 하지만 그곳을 벗어나 산 위의 마을 폰세바돈(Foncebadon)이 나타나기까지의 급경사는 실로 어마어마했다. 간 만에 땀을 흠뻑 흘렸다. 오르막에서도 평지에서와 같은 속도를 유지하려다 보니 혜영과 지영 두 친구와 멀어졌다. 오늘 그녀들과 묵게 될 마을이 같았기에 나는 먼저 숙소를 잡고 일행을 맞이하기로 했다.

agggg_02
(Photo : ⓒ사진= 임현수 작가)
▲이곳이 바로 오늘 에피소드를 제공하게 된 알베르게이다. 마을 가장 꼭대기에 있기에 그곳에 올라서 뒤를 돌아보면 마을 전체가 한눈에 들어온다. 앞만 보며 걸을 땐 시야가 좁기 마련이지만 뒤를 돌아보면 넉넉한 품으로 팔 벌리고 서 있는 세상이 있었음을 실감하게 된다. 자주 뒤를 돌아 지나온 시간을 떠올려보자.

폰세바돈은 높은 경사를 깎아 만든 산 위의 아담한 마을이다. 하필 어젯밤 미리 봐둔 알베르게가 경사의 꼭대기에 있었다니. 지친 몸을 이끌고 기어서 숙소에 도착한다. 그리고 미리 방 배정을 받은 후 곧 도착할 두 친구를 맞으러 다시 마을 입구로 내려갔다.

그런데 기분 탓일까, 아니면 기대가 컸기 때문일까? 그녀들이 나의 수고와 애씀을 기뻐해 줄 거라고 생각했는데, 어째 두 친구의 반응이 무덤덤하다. 나의 기대가 채워지지 않자 급격히 내 기분마저 가라앉았다.

콤포스텔라에 가까이 다가갈수록 숙소를 잡는 것도 하나의 일이 된다. 순례자들은 늘어나고 알베르게의 숫자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내가 어떤 의로움에 사로잡혀 있었기 때문일까 아니면 두 사람은 앞일에 관해 별걱정이 없던 사람들이었던 걸까? 두 사람의 무뚝뚝한 표정에 갑자기 서운함이 몰려왔다.

물론 내가 본 두 사람의 반응은 내가 잘못 본 것일 수 있다. 아니면 몹시 지쳐서 반응할 힘이 없었을 수도. 그렇다면 뭔가 확실하지도 않은 이유로 내 기분이 상했다는 말인데, 대체 바로 보지 못하고 내가 보고 싶은 대로만 보게 하는 이 내면의 프로그램은 무엇이란 말인가? 예수회 신부인 '앤소니 드 멜로(Anthony de Mello)'는 이러한 낙담과 기분 상함은 다른 누가 준 것이 아니라 자기 선택의 몫이라고 말했다. 누군가와 나눈 그의 대담을 들어보자.

agggg_03
(Photo : ⓒ사진= 임현수 작가)
▲높은 산자락에서 출발하는 순례는 어느 때보다 밝고 청명한 태양의 맛을 볼 수 있다. 아침의 시원한 바람과 따스한 햇살이 오늘 순례를 떠나는 이들을 응원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힘듦이 없을 수 없다. 그러나 어려움을 이겨내고 극복하는 즐거움은 오로지 자신의 몫이다.

"'누군가 신부님을 경멸할 때 신부님은 낙담하지 않나요? 왜 낙담하지 않습니까?' 제 말은, 편지를 받지 않았을 때 편지는 편지를 쓴 사람에게 되돌아간다는 뜻입니다. 여러분이 받지 않으면 그건 되돌아가요. 여러분은 여러분이 왜 멸시를 당했는지, 왜 멸시를 당해서 낙담했는지 그 이유를 아십니까? 왜냐하면 여러분이 그것을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이유예요. 어리석은 일이지요. 왜 그것을 선택했습니까? 그것을 선택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인가요? 작은 원숭이처럼 살아가는 이러한 존재가 인간이란 뜻인가요? 누구든 배후에서 조금만 조정하면 뛰어오르는 그런 존재가?" (앤소니 드 멜로, 『깨침과 사랑』, 분도출판사, 2016, p.103-104)

앤소니 신부는 우리가 낙담을 하는 건 우리 안에 입력된 어떤 프로그램 때문이라고 말한다. 프로그램? TV 프로그램 같은 걸 말하는 건 아닐 테다. 이 말은 상대를 통해 왔지만, 그것을 흘려보내지 않고 붙잡고 있는 것은 내 안에 입력된 어떤 프로그램 때문이라는 말일 것이다. 그렇기에 어쩌면 내 기분을 상하게 한 것은 나를 화나게 한 그 상대 자체가 아니라 결국 내 안을 건드린 그 '무엇'이라는 말이 된다.

사람은 이 '무엇'을 알아채고 잘 돌봐주어야 치유가 되고 변화되기 시작한다. 내 실망감은 그 친구들에게서 온 것이지만 그들과는 무관한, 내 안에 입력된 어떤 프로그램이 작동한 것이다.

오늘 내가 너무 진지했나? 좀 쉬다 보면 괜찮아질 것이다.

좋아할 만한 기사
최신 기사
베리타스
신학아카이브
지성과 영성의 만남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의롭다 함을 얻은 백성은 이웃사랑에 인색해서는 안돼"

한국신학아카데미 2025년 봄학기 '혜암 이장식 교수 기념 학술세미나'가 11일 오후 서울 안암동 소재 세미나실에서 '구약 율법과 신약 복음의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16세기 칼뱅은 충분히 진화론적 사유를 하고 있었다"

이오갑 강서대 명예교수(조직신학)가 「신학논단」 제117집(2024 가을호)에 '칼뱅의 창조론과 진화론'이란 제목의 연구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 ... ...

Warning: addcslashes() expects exactly 2 parameters, 1 given in /home/hosting_users/veritasnews/www/views/main/inner2023/archive.php on line 16

정태기 영성치유집단이 가진 독특한 구조와 치유 의미 밝혀

정태기 영성치유집단을 중심으로 집단리더가 구조화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를 통해 영성치유집단이 가진 독특한 구조와 치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