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복음 6장 3절에 따르면 예수는 목수의 아들이었고 어머니 마리아와 형제인 야고보, 요셉, 유다, 시몬 외에 몇몇 누이들이 있었으며(=마태 13:55), 그 아버지는 요셉이었다고 한다(누가 4:22 이하). 또한 예수의 고향 사람들이 그의 가족을 ‘우리 동네 사람들’이라 부른 점(마태 13:56)을 미루어 볼 때, 이곳저곳 떠돌아다닌 예수와는 달리 모두 고향 나자렛에 눌러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예수의 가족 관계와 관련해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한 가지 문제가 되었던 것은 어머니 마리아가 평생 동정을 지켰는가? 인데, 만일 그랬다면 예수의 형제자매들은 모두 이복異腹(혹은, 사촌)이 될 터이고, 만일 예수 이후로 동정을 풀었다면 친자매, 친형제가 될 것이다. 비록 오늘날에는 그리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지는 않지만, 한때는 개신교와 가톨릭 사이에서 치열한 논쟁을 벌이게 만들었던 주제였다.
가족에 대한 예수의 태도와 관련해 마가 3:20-21,31-35에 중요한 언급이 나온다. 예수가 (출가한 후) 미쳤다는 소문이 난 까닭에 그의 어머니와 형제들(21절에는 ‘친척’)이 예수를 (고향으로 데려오려고) 찾아왔다. 그러나 군중이 워낙 빈틈없이 들어차 있어 도저히 예수에게 다가갈 수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할 수 없이 군중 속으로 전갈을 보내 가족이 왔음을 예수에게 알렸다. 그러자 예수는 뜻밖에도 “누가 내 어머니며 형제들이냐?”는 놀라운 말씀을 한다. 우리네 정서에 따르면 보통 불효자가 아닌 셈이다. 천리를 멀다 않고 찾아온 어머니를 버선발로 나가서 맞지는 못할지언정, ‘도대체 누가 내 어머니냐’고 반문을 하다니...이해하기 힘든 예수의 태도이다.
그런가 하면, 예수가 자신이 세상에 온 이유를 밝히면서, “나는 아들은 아버지에 맞서고 딸은 어머니와, 며느리는 시어머니와 맞서게 하려고 왔다. 집안 식구가 바로 원수다”(마태 10:35-36)라고 했으며, 아버지의 장례를 치르고 돌아오겠다는 어떤 제자를 만류하면서 “죽은 자들의 장례는 죽은 자들에게 맡겨 두라.”(누가 9:60)는 말씀도 한다. 모두 기존의 가족 관계를 강력하게 거부하는 말씀들이다. 그러나 가족이라는 인연을 그처럼 가볍게 여긴 예수의 말씀은 어디까지나 하느님 안에서 이루어지는 진정한 가족 관계, 곧 종말론적인 가족 관계를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어머니가 오셨다는 전갈이 들어오자 예수는 “누가 내 어머니며 형제들이냐?”고 반문한 뒤에, 바로 주변에 둘러앉은 군중을 둘러보며 “바로 이 사람들이 내 어머니며 형제들이다. 하느님의 뜻을 행하는 사람이 곧 내 형제요, 자매요, 어머니다”(마가 3:34-35)고 말씀한다. 비록 피와 살을 나누지는 않았지만 하느님을 따르는 이들로 새로운 가족 관계가 형성된다는 의미이다. 하나님의 뜻이라는 절대 가치 앞에서 혈연이라는 세상 가치가 힘없이 무너지는 순간이었다
박태식 박사(서강대, 가톨릭대, 성공회대 신학 외래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