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설교의 홍수’ 시대를 살고 있는 오늘날 성도들은 강단에서 선포되는 말씀의 다양한 주제와 설교자들의 화려한 말솜씨를 매주 목격한다. 기독교 방송이나 유튜브 등 인터넷 매체에서는 마치 설교의 뷔페식당에 들어온 느낌이 들 정도로 많은 설교 영상들을 접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많은 설교를 통해서 매주 ‘은혜가 강물처럼’ 흘러가는데 사회가 바라보는 기독교인들의 영성이 참혹하리만치 쪼그라들어 있는 것은 왜 일까? 한국교회의 현실을 진단하는 시각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지는 설교의 문제를 조명해보기로 했다. <설교를 말하다> 기획은 설교의 내용과 방향 및 설교자의 영성 등에 대해 성찰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이번은 전주화평교회 이영재 목사님을 예방했다. 이 목사님은 현재 CBS성서학당과 한신대 및 기장연구소에서 구약학을 강의하고 있기도 하다. 대담은 본지 지유석 기자가 담당했으며, 대담 내용은 3부에 걸쳐 연재한다.
▲<설교를 말하다> 기획 두 번째 대담자로 전주화평교회 이영재 목사를 예방했다. 이영재 목사는 설교 준비에 관한 한 본문 묵상 등 일주일 내내 상당 시간 공을 들인다고 말했다. ⓒ사진=지유석 기자 |
지유석 기자(문): 바쁘신데, 이렇게 시간을 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대담은 설교의 홍수 시대에 참다운 설교의 모범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습니다. 그래서 질문은 설교와 관련되어 집중적으로 제기될 것입니다. 실제적인 질문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주일마다 설교는 몇 차례 하십니까?
이영재 목사(이): 주일날에는 오전 공동예배와 오후2시 예배에서 설교합니다. 그 외 새벽기도회와 수요일 예배에서도 설교를 하지요. 수요일 예배에서는 기도회를 중심으로 하고 찬양도 많이 해서 길게 설교하지는 않습니다.
문: 주간 중에 설교 준비를 어떻게 하시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특히, 성경 본문은 어떻게 결정하시는지요?
이: 주일 공동예배 설교는 월요일부터 준비합니다. 일주일 내내 준비한다고 보면 됩니다. 성경 본문은 우리 교단에서 나누어주는 성서일과표에 따라 선택합니다. 성서일과표는 시편, 구약, 서신서, 복음서 등 네 개 본문이 일년치로 구성되어 있지요. 저는 이것을 신년 첫 주에 온 교인들에게 프린트해서 나눠줍니다. 일 년 동안 할 설교의 성경본문이 1월 첫 주에 공지가 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 주에 1000원 짜리 공책을 사서 교인들에게 나눠 줍니다. 주일을 기다리면서 이 네 본문을 손으로 쓰는 숙제를 주는 거지요. 성경본문을 손으로 쓰면서 묵상하고 오라고 이릅니다. 이렇게 일 년 내내 고정된 본문을 가지고 설교를 하지요.
저는 시편, 구약, 신약의 서신서, 그 다음, 복음서 등으로 차례차례 주석을 살핍니다. 그리고 그 네 가지 본문에 대해서 일주일간 내내 묵상하지요. 그 결과를 갖고 주일날 설교를 합니다. 오후 예배에서는 설교를 길게 합니다. 설교라기보다 강연을 하는 셈입니다. 그래서 오후 에배의 이름을 말씀의 잔치라고 바꿨습니다. 처음에는 찬양예배라고 불렀지요. 길게 설교를 할 때는 50분, 짧게 할 때는 40분 정도 합니다. 창세기 1장부터 매 주 한 장씩 성경 강의를 하는데 지금 현재 여호수아서 14장을 하고 있지요. 가끔 특별한 손님이 오시면 그 분께 설교를 부탁하지만, 특별한 일이 없으면 설교가 아니라 강의를 하는 편입니다. 성도들의 참석률이 꽤 높아요.
▲설교의 주제는 어떻게 포착하는 걸까? 이영재 목사는 성경의 원전을 바로 읽으면서도 인문학적 상상력을 발휘하게 해주는 서적들도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사진=지유석 기자 |
문: 월요일부터 준비하시면 설교에 꽤 많이 공을 들인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 네, 일주일 내내 약 16시간 정도 준비하는 것 같습니다. 바쁜 일이 생겨서 시간이 없을 때는 밤에 늦게라도 앉아서 설교 준비를 하지요. 그리고 내 생각이 들어가지 않도록 특히 주의합니다.
문: 그러면 설교의 주제는 어떻게 포착하십니까? 주제를 선택하는 데는 통찰력도 있어야 하고 신학적 입장도 작용해야 할 것인데, 주제를 포착하는 방식이 있으신지요?
이: 저는 인문학적인 책들을 자주 읽습니다. 그리고 가끔 BBC나 CNN 등의 뉴스를 들으면서 시사적인 문제들을 접하기도 합니다. 이런 것들이 설교의 주제를 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특별히 신경을 쓰는 부분이 있다면, 성경의 원전을 바로 읽으며 묵상하는 것입니다. 그 주의 본문 말씀을 헬라어나 히브리어로 계속 읽지요. 옛날에는 손으로 썼지만, 지금은 인터넷이 발달해서 편리하게 원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저는 농촌 목회를 시작했던 28살 때부터 원어를 써놓고 해석하면서 말씀을 묵상했습니다. 그렇게 하나님의 말씀을 정확히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 설교의 주제가 모습을 갖추어가지요.
저는 목사에게 제일 중요한 일은 설교 준비라고 생각합니다. 제일 우선해야 하는 일입니다. 왜냐하면 설교를 통해서 교인들에게 영적인 양식을 주게 되잖아요? 그러니까 내가 쉐프 같은 사명감을 가지고 음식을 잘 만들어야 되겠다고 생각합니다. 설교는 영적인 요리입니다. 그래서 저는 설교를 준비하는 시간이 참 행복합니다. 조용하게 앉아서 하나님 말씀을 읽고 묵상하는 시간이 무척 기쁩니다.
▲이영재 목사는 토라 연구가로 알려져 있다. 토라를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개신교회의 설교 주제로 하기에 적합한 것일까? 이 목사는 "메시아 사상이 연결고리"라며 말문을 열었다. ⓒ사진=지유석 기자 |
문: 목사님께서는 토라를 연구하셨다고 들었습니다. CBS 성서학당이나 기장 연구소의 박사원에서 강의하시는 것이 토라 연구와 연관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 토라는 좁은 개념으로는 모세 5경을 가리키죠.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지금 말씀하신 토라는 좁은 개념을 가리킵니다. 그런데 저는 그 개념을 넓게 사용하고 싶어 합니다. 토라가 큰 개념으로는 구약성경을 가리킨다고 보는 것입니다. 모세 5경이나 다른 구약성경이 모두 유대교가 사용하는 히브리어로 되어 있잖아요? 하지만, 저는 토라의 개념을 신약성경으로까지 확장합니다. 성경 전 권을 가리켜서 토라라고 생각하는 거죠.
토라를 연구한 결과는 책으로 출판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창세기가 거의 끝났어요. 어제 이삭이야기가 발간이 되고 아마 몇 달 뒤에는 야곱이야기가 나올 겁니다. 제가 책을 7권을 썼는데, 앞으로 창세기를 마치면 출애굽기를 주석할 것입니다. 저의 목표는 신명기까지 주석하고 난 뒤 하늘나라로 가는 겁니다. 제가 귀국한 지 올해로 9년째가 되는데 거의 매 년 책을 한 권씩 쓴 것 같아요. 신명기까지 쓰려면 아마 10년은 더 걸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문: 토라를 연구하면서 저술하고 강의도 하시는 가운데, 토라가 예수 그리스도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포착하셨는지요? 예수님께서는 “모세를 믿었더라면 또 나를 믿었으리니 이는 그가 내게 대하여 기록하였음이라”(요5:46)라고 말씀하셨는데, 과연 “성경이 곧 내게 대하여 증언하는 것이니라”(요5:39)라는 말씀대로 토라가 예수 그리스도를 증언하고 있습니까? 과문해서 질문 드리는 것이니 몇 가지 사례를 들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메시아 사상이 연결고리입니다. 이사야 등의 구약성서에 나오는 메시아 예언은 다윗왕과 같은 정치적 메시아를 지시하지요. 민족주의나 국가주의적인 발상인데, 국가를 지도하고 민족을 향도할 수 있는 메시아, 왕년에 찬란했던 권력을 회복할 수 있는 메시아를 유대인들이 기다리죠. 그런데 사실 그것은 오해에요. 예수님이 정확하게 보셨잖아요? 예수님은 ‘다윗보다 먼저 있었다, 아브라함보다 먼저 있었다’고 그러시죠. 예수님은 본인이 메시아라고 생전에는 많이 주장을 하지 않았지만, 그가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시는 것을 보고 사람들이 그를 메시아라고 고백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메시아는 희생하는 메시아, 십자가에 죽는 메시아, 그 다음에 부활하는 메시아, 그 다음에 어떤 국가나 민족의 경계를 뛰어넘는 전 인류를 구원하는 메시아, 그리고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 말씀의 힘으로 변화시키는 메시아 등으로 고백되었지요. 이러한 고백은 사실 구약성경 전체가 증언하는 겁니다. 지금 유대교의 전 세계 랍비들도 이 점에 있어서는 거의 합의하고 있는 것 같아요. 특히, 기독교적 유대인들은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을 매 번 같이 읽으면서 예배를 드리는데, 그런 분들이 있는 것을 보면, 기독교에서 말하는 메시아 이해가 보다 정확한 것 같습니다.
▲토라 연구가 이영재 목사는 "오늘의 이스라엘에 있는 유대교는 민족주의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국가를 맞이하게 되었다"며 "그래서 세계 평화를 위해서 일할 수 없게 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사진=지유석 기자 |
문: 목사님께서 기독교적 유대인이라고 말씀을 하셨는데,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메시아로 인정합니까?
이: 그렇지요. 예수 그리스도의 메시아성을 아마 어느 날 모두 인정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문: 정치적 메시아에 대한 유대인들의 염원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들의 민족주의적 열정은 오늘날 팔레스타인 사람들과의 갈등에서도 문제시되는 부분인데, 고통당하는 종(Suffering Servant)으로서의 메시아를 여전히 인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 아닌가요?
이: 현재 이스라엘에 있는 유대교는 민족주의를 너무 강조하는 국가를 맞이하게 되었어요. 그래서 세계 평화를 위해서 일할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디아스포라 공동체들은 이스라엘이라는 국가에 매여 있지 않거든요? 그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공동체가 소속된 국가에 공헌할 것을 공언합니다. 영국 맨체스터의 유대교는 맨체스터를 위해 헌신한다는 말이지요. 그 유대인들은 이스라엘의 유대인들과 명백하게 다릅니다. 그들은 ‘우리는 국가를 세우지 말자’고 다짐하면서 매년 성명서를 내지요. ‘유대인들이 민족주의적인 국가를 세우는 것은 성경의 뜻이 아니다. 토라의 뜻이 아니다’라는 겁니다. 이 세상 국가를 세우는 데에 하나님의 뜻이 있는 게 아니라는 거에요. 그러니까 그들은 말씀 공동체, 즉,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백성들의 공동체를 만들어서 그 지역에 헌신하는 것이 참 유대인의 모습이라고 믿고 있는 것입니다. 그들은 신년 때마다 이스라엘 정부를 향해 성명서를 내고는 ‘국가를 해체하자. 더 이상 무장하지 말고, 팔레스타인 사람들 죽이지 말고, 싸우지 말자’라고 주장합니다.
※ 2부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