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시론] 또 다시 맞는 선거의 계절, 현명한 선택을 위해선
지난 3월 대통령 선거를 치른 한국 사회는 곧 또 다시 지방선거를 치릅니다. 유권자로서, 또 그리스도인 유권자로서 어떤 선택을 해야 하나님 뜻에 합할까요? 다가오는 선거를 맞아 유권자들에게 제언해 봅니다. -
[혜암신학칼럼] T. 샤르댕, 작은 행성 위 '인간현상'임을 기억하라
"풀숲에 가려진 채 피어있는 작은 꽃들에게서 새삼스럽게 '존재의 충격'을 받아 20세기의 명저 중 하나인 『인간현상』을 남긴 예수회 신부요 고생물학자(古生物學者) 테야르 드 샤르댕(Pierre Teilhard de Chatdin, 1881-1955)이 강조하는 '인간현상'(phenomenon of man)을 되새김 하려고 한다." -
[설교] 괄목상대(刮目相對)
"누가복음서에서 잔치를 베푼 사람은 그래도 사회적 약자들, 가난한 사람, 지체 장애가 있는 사람, 눈먼 사람, 다리 저는 사람들에게 호의를 베풀고 잔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주었고, 그들은 원래 초대받은 사람들 대신 잔치를 누릴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오늘날은 교회가 차린 잔치에는 오지 않겠다… -
[부활주일설교] 복수하시는 하나님, 빛으로 나타나소서!
"오늘 시편의 기자가 주님을 복수하시는 하나님이라고 부르면서 하는 말이 참 신기합니다. "복수하시는 하나님, 빛으로 나타나십시오!" 복수가 빛이 되는 때는 언제일까요? 그렇습니다. 불의한 세력이 물러가고 정의가 다시 세워질 때입니다. 부패한 세력들이 사라지고 진실한 사람들의 권리가 다시 회… -
[종려주일설교] 추수할 일꾼을 보내소서
"신앙의 사람은 불확실한 삶의 한복판에서도 불안해하지 않고, 낯설고 생소한 상황에서도 두려움에 떨지 않을 수 있습니다. 믿음이 있기에 쉽게 포기하거나 주저하지 않습니다. 혼자 결정하지 않고 주님과 상의하기 때문에 훨씬 더 신중한 선택을 하며, 사적 이익보다 모두를 생각하고 공공의 영역을 살… -
[제주4.3 기념주일설교] 하나님의 법정 앞에서
"그리스도교는 이 땅에 하나님 나라를 일구려는 종교이고, 그래서 언제나 역사와 사회에 관심을 둡니다. 단재 신채호 선생은 영토를 잃은 민족은 재생할 수 있어도, 역사를 잃은 민족은 재생할 수 없다고 하셨고, 함석헌 선생님은 역사의 구원 없이 개인의 구원은 없다고 하셨습니다. 그렇습니다. 우리가… -
[혜암신학칼럼] R. 니버의 크리스천 리얼리즘과 민주주의의 허(虛)와 실(實)
"정치적으로 진보나 보수적 입장을 취하는 것은 기독교인 개인의 결단 문제이고 존중되어야 한다. 그러나, 소위 '태극기부대'라고 세인들이 칭하는 전광훈 목사집단의 정치적 행태가 극우적 기독교 지도자들에겐 용기 있는 태도라고 보일지 몰라도, 그러한 행태는 4천 800만 명 남한 인구 중에서 기독교… -
종교비판에서 신앙성찰로(9): 포이어바흐의 무신론적 통찰을 중심으로
포이어바흐는 고대 기독교도들이 삼위일체의 신비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신비스러운 대상으로 여긴 것에 대해 "이들이 현실성, 생활 속에서 부정한 인간의 가장 내적인 욕구의 만족이 신 안에서 삼위일체를 통해 직관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151)이라고 폭로한다. 그러면서 이러한 신적 가족, 즉 신… -
김재준의 "어둔 밤 마음에 잠겨"에 대한 새로운 이해
장공 김재준이 작사하고 이동훈이 작곡한 찬송가 '어둔 밤 마음에 잠겨'를 두고 일부 극단적인 성향의 신학자가 민중예찬가라며 폄훼하며 성서적이지 않다고 비판을 가한 가운데 이병학 한신대 은퇴교수가 기장 신학자를 대표해 김재준의 '어둔 밤 마음에 잠겨'에 대한 새로운 이해'라는 제목의 글을 본… -
[시론] 제20대 대선, 개신교 교회에 어떤 교훈 남겼나?
제20대 대통령 선거가 끝나고 한국 사회는 새 대통령을 맞았습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후유증에 허우적 거리는 기색이 역력합니다. 대선 기간 개신교 교회가 보였던 진영 노선 역시 깊은 후유증을 남긴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선거가 개신교 교회에 주는 함의를 고찰해 봅니다. -
[설교] 행복과 불행 사이에서
"오늘 설교 제목은 "행복과 불행 사이에서"입니다. 우리는 불행은 멀리 달아나고 행복만이 우리를 찾아오길 기대합니다. 그러나 세상살이란 언제나 양지와 음지가 동시에 존재하고, 행운인 줄 알았던 것이 불행이 되기도 하고 재앙이 변하여 복이 되기도 합니다. 문제는 매 상황에서 내가 누구에게 먹이… -
[칼럼] 현영학 민중신학의 마당극 해학과 21세기 "웃긴다!"
"요즘 대선이 끝나고 새로운 윤석열 당선자 정권시대를 준비하는 정치적 사건들이 분주한 시절에, 해방 이후 역대 정부의 대통령 집무실이었던 청와대엔 절대 안 들어가겠고 "국민과 동행하는 광화문 시대를 열겠다"고 공언한 대통령 당선자의 결심에 충성하는 사람들의 기발한(?) 아이디어 '국방부청사… -
[청년주일설교] 우리의 앞날을 위하여
"오늘 설교에서 제가 정치 평론을 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들의 일상에 큰 변화를 가져올 선거를 보면서 한 사람의 시민으로서, 그리고 그리스도인으로서, 주님의 몸 된 교회를 섬기며, 하나님 나라를 이 땅에 이루도록 부름 받은 사람으로서 이번 선거에서 무엇을 성찰해야 할지 함께 나누려는 것입… -
[설교] 예수의 상흔을 몸에 새기고
"자신이 지지하지 않는 후보가 당선되었을 경우, 무작정 반대만 하는 것은 결코 민주주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누가 되었든, 대통령이 된 사람이 이전보다는 더 나은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도울 것은 돕고, 또 건설적인 비판을 통해 어제보다 나은 내일을 만드는데 우리 모두가 함께 해야 합니… -
[혜암신학칼럼] 대선정국에서 새롭게 읽는 슐라이에르마허
"칸트철학은 쉽게 말해서 무한자와 유한자, 창조주와 피조물, 영원과 시간, 계시와 이성, 등등 그 이항대립적(二項對立的) 어휘나 개념을 뭐라고 표현하든지 그 양자간의 대립과 철저한 분리를 강조한다. 인간의 이성, 인간성, 유한성은 계시, 신성, 무한성을 포용할 수도 없고 인식론적으로 이해할 수도 …
최신 기사
-
교계/교회"영남 산불...한국교회가 연합해 지역사회를 섬겨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김종생 총무) 디아코니아위원회(송정경 위원장)가 14일 오전 7시 서울시 종로구 소재 ... -
교계/교회[이화대학교회 장윤재 담임목사 설교] Via Dolorosa(십자가의 길)
"당시 여성은 언권(言權)이 없는 존재였습니다. '지각이 없는 존재'라 여겨 말할 자격을 박탈했습니다. 그래서 ... -
교계/교회"거친 혐오 전파하는 이들을 감싸 안아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총무 김종생 목사, 이하 교회협)는 2025년 부활절을 맞이해 '우는 자들이 누리는 ... ... ... -
학술"AI로 인한 노동종말 시대...개신교 노동신학 재구성 필요"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의 발달이 인간의 노동할 기회를 빼앗으면서 종국적으로 인류가 노동 종말의 시대를 맞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