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후 조직신학자 김균진 연세대 명예교수를 그의 자택에서 만났다. 그는 은퇴 후 지금까지 집필 활동에 매진하고 있었다고 근황을 전했다. 이날 만남에서 그는 자신이 평소 고민하던 주제인 ‘한국적 신학’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정리해 밝혔다. ⓒ베리타스 |
“중요한 문제는 한국을 포함한 동양의 전통 종교사상이나 철학사상을 수용하고 거기에 신학적 옷을 입히느냐 아니면 서구신학을 도입하느냐에 있지 않습니다. 중요한 문제는 무엇을 수용하든 간에 한국의 상황을 직시하면서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 위에 세우는 데 있지요.”
조직신학자 김균진 교수(연세대학교 명예교수)가 최근 대두되고 있는 ‘한국적 신학’의 논의 방향에 수정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즉, 지금까지의 한국적 신학은 그 접근방식에 한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18일 오후 경기도 일산에 소재한 자택에서 만난 김 교수는 기존의 ‘한국적 신학’과 더불어 한국 신학계의 전반적인 제반 상황을 비판하면서 ‘한국적 신학’이 나아갈 길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한국이나 동양의 전통 종교사상이나 철학사상에 대해 반드시 배타적 태도를 취할 필요가 없다”고 기독교 신학의 개방성과 포용성을 견지하면서도 “한국과 동양의 전통 종교사상 내지 철학사상을 수용하는 신학적 작업만이 한국적 신학이라 생각하지 않는다”며 한국적 신학의 파편화에 대해서는 경계할 것을 촉구했다. 지금까지 한국적 신학이라 불려왔던 작업들은 한국적 신학의 한 부분이지, 전체가 아니라는 일종의 ‘사고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한국적 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크게 두 가지를 제안했다. 첫 번째는 “한국적 상황에 맞는 신학”으로서의 ‘한국적 신학’이고 두 번째는 “성서와 성서의 중심인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에 근거한” 신학으로서의 ‘한국적 신학’이다. 이 두 가지가 잘 이루어졌을 때 “참 한국적인 신학”을 가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직신학자 김균진 연세대 명예교수 ⓒ베리타스 |
우선, 김 교수는 지금까지 ‘한국적 신학’을 제창하는 학자들이 “한국적 상황에 잘 맞는다”는 말을 너무나 축소시켜서 받아들였다고 보았다. 기존의 ‘한국적인 것’이라고 이야기되는 전통적 의식, 세계관이나 사고방식은 “한국적 상황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김 교수는 ‘한국적 신학’은 “우리 민족의 삶을 결정하는 현실의 상황을 직시하고 극복할 수 있는 방향을 시사하는 신학”이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한국 사회의 구체적 상황이 아니라 한국의 전통적 종교/철학 사상을 수용하는 것은 도리어 한국의 현실과 관계없는 “비한국적 신학”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표했다.
김 교수는 이런 점에서 한국의 현실 상황에 “잘 맞는” 한국적 신학은 이런 의미에서 “잘 맞지 않는” 신학이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주어진 상황에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신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한국의 현실, 즉 우리 사회 전반에 뿌리 내리고 있는 불의와 불공정과 부패, ‘을’에 대한 ‘갑’의 비인간성과 냉혹함, 법의식 부재, 천민 자본주의의 저질적 물질주의 등의 우리 사회 상황에 “맞지 않는 것”에 한국적 신학의 과제와 전망이 있다고 주장했다.
다음으로, 김 교수는 신학의 기초는 다름 아닌 ‘성서’에 두어야 함을 역설했다. 성서와 그 근거인 그리스도에 근거하지 않을 때, “신학은 잘못된 종교사상으로 변질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신학의 궁극적 근거와 규범은 타종교나 철학사상이 아니라, 성서의 중심이 되신 십자가에 달린 예수 그리스도에 있다”며 ‘한국적 신학’은 철저히 성서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물론 김 교수는 이러한 작업이 “성서의 단순 반복이나 짜깁기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보수 근본주의 신학과는 선을 그었다. 도리어 그 작업은 “주어진 제반 상황에 대해 성서가 말하고자 하는 하나님의 말씀을 찾아내는 데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김 교수는 성서 전체의 중심적 관심은 “하나님의 나라와 하나님의 정의를 이 땅 위에 세우는 것에 있으며”, ‘한국적 신학’ 또한 이러한 “성서의 메시아 전통에 충실한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한다”고 했다.
▲김균진 연세대 명예교수는 한국적 신학 연구자들에게 "서구신학을 얼마나 충실히 수입하고 소개했는가"라고 반문하며, 한국 신학계의 철저한 반성을 촉구했다. ⓒ베리타스 |
즉, 한국적 신학의 “본질적 문제는 한국인의 삶의 자리(Sitz im Leben)에서 성서의 주요관심에 얼마나 충실한가”의 문제라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이를 위해 노력하는 한국 신학자들의 모든 작업은 한국적 신학에 속할 수 있다”며 기존 ‘한국적 신학’의 논의가 지녔던 배타성 또한 지적했다.
한편, 김 교수는 지금까지의 한국 신학계의 제반 상황에 대해서도 반성이 필요함을 내비쳤다. 서구신학에 종속된 한국 신학이라는 비판에 대해 그는 “(서구신학을)얼마나 충실히 수입하고 소개했는가?”라는 질문으로 대답했다. 실제로 칼 바르트의 주저인 교회교의학이나 루터 전집을 비롯하여 많은 서구 신학자들의 저서는 아직도 완역되어있지 않다. 김 교수는 이렇듯 기초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한국 신학계의 환경에 대해 철저한 반성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한국 신학계의 구호 중심 분위기 또한 비판했다. 김 교수는 “한국적 신학을 제대로 세우지도 못하고 서구신학을 배타한다면, 한국 신학계는 내용은 없고 껍데기만 있을 것”이라며 강한 우려를 표했다. 그런 점에서 김 교수는 ‘한국적 신학’이 “성서를 텍스트로, (한국의) 전통 종교나 철학사상은 컨텍스트로 삼아야 할 것이며, 성서의 중심문제인 하나님의 나라와 하나님의 정의를 이 땅 위에 세우는 일에 초점을 두고 발전되어야 할 것”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런 점에서 김 교수는 “한국적 신학이란 어떤 특정한 신학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신학의 역사 전체 자체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정리했다. “특수한 신학만이 ‘한국적 신학’이라고 정의내리고 한국 땅에서 이루어지는 다른 신학적 작업을 배척하는 것은 결코 건설적이고 통합적인 논의를 이끌어낼 수 없다”고 김 교수는 거듭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한국 신학자들에게 “성실성”을 요구했다. ‘하자’는 구호보다 중요한 것은 실제로 ‘하는 것’이란 말이었다. “꾸준히 연구를 해야 과거의 것을 정제하면서 새로운 것이 나올 수 있다”며, 이 과정이 잘 이루어졌을 때 ‘한국적 신학’의 열매들이 나올 수 있음을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최근 젊은 한국 신학자들의 다양한 연구 활동을 언급하며 ‘한국적 신학’의 미래가 마냥 어둡지만 않음을 또한 시사했다.
*김균진 교수는
한신대학교를 졸업하고 독일 튀빙엔 대학교에서 신학박사를 취득했다. 연세대학교 신과대학과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조직신학 교수를 지냈으며 한국조직신학회 회장, 한국 바르트학회 회장,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현재 은퇴하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명예교수로 있다. 주 저서로는 ‘기독교 조직신학’과 이를 다시 개정하여 집필 중인 ‘기독교 신학’, ‘생명의 신학’ 등이 있다.
[대담 및 편집= 김진한 편집국장, 권헌일(연세대 신과대 4학년)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