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윤재 교수의 설교
-
[설교] "끝까지 사랑하셨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자기가 세상을 떠나 아버지께로 돌아가실 때가 이른 줄 아시고 세상에 있는 자기 사람들을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셨습니다]”(요한복음 13:1). 개인이든 사회이든 종말을 대하는 태도는 예수께서 보여주신 대로 우리 가운데 있는 “지극히 작은 자 하나”를 사랑으로 돌보는 … -
[설교] 기적을 낳는 감사
우리 인간은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갑니다. 손에 너무 많은 것을 올려놓거나 움켜쥐고 있으면 누군가의 손을 잡아 줄 수 없습니다. 거룩한 빈손은 부지런한 손, 상처를 어루만져 주는 손, 새벽에 일어나 공손히 하나님 앞에 기도하는 손, 다른 사람의 손을 많이 잡아줄 수 있는 따뜻한 감사와 나눔의 … -
[설교]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주님은 오늘 아침 우리에게 물으십니다. “너는 이 큰 건물들을 보고 있느냐?” 사람을 보아야 합니다. 사랑을 보아야 합니다. 자세히 보아야 합니다. 오래 보아야 합니다. 백이면 백 모두 다른 하나하나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긍정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 각자를 있는 그대로 받아주신 것처럼 우리… -
[설교] "어떻게 나를 아시나이까"
하나님은 영원부터 성도들을 아시고, 택하시고, 부르시고, 의롭다 하시며, 영화롭게 하셨습니다. 칼 바르트의 말처럼, “우리가 하나님을 발견하는 게 아니라, 하나님이 우리를 발견하십니다.” 이것이 복음입니다. 구원은 하나님의 선물인 것입니다. 오늘 본문의 나다나엘은 그 이름 뜻이 ‘하나님의 … -
[설교] 내게 와서 쉬라
오늘날과 같은 무한 생산과 경쟁과 탐욕의 사회 속에서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하게 지키는 것은 일종의 신앙의 저항이요 대안입니다. 우리의 하나님은 그칠 줄 모르는 생산을 강요하는 이집트의 잡신이 아니라 이 시스템에서 낙오된 자들의 부르짖음에 귀 기울이고 그들을 건져내어 젖과 꿀이 흐르는 … -
[설교] 이천식천(以天食天)
성찬은 모든 성도가 한 분이신 주님 안에서 하나가 되는 의식이다. 공동식사의 전통에 기반한 성찬은 하나님과 하나됨의 의미를 알려준다. 예수님께서 몸소 ‘밥’이 되어 인간에게 생명을 선사하셨기 때문에 성찬에 참여하는 자는 예수님을 자신의 안에 모시게 되는 것이다. ‘하나님의 밥’을 자신 … -
[설교]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하며"
우리는 “이생의 자랑”을 하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허탄한 자랑”에 지나지 않습니다. 진정한 자랑은 하나님을 아는 명철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하나님이 사랑과 자비와 정의를 땅 위에 실현하는 것을 기뻐하는 분임을 아는 그 깨달음이 참 자랑입니다. 소록도에서 묵묵히 43년간을 봉사하다… -
[설교] "네 마음을 지키라"
세상의 거울은 사람들을 비교하며 본성을 왜곡하지만 하나님의 눈은 우리를 보배롭고 존귀하게 비추어주는 거울입니다. 하나님의 눈에 자신을 비추어보아야 합니다. 그분의 눈이 바로 생명의 거울인 것입니다. 그분은 “모든 생명의 생명”이시므로 그분의 눈에 자신을 비출 때 우리는 마음을 지킬 수 … -
[설교] "노아는 은혜를 입었다"
창조절이 시작되었습니다. 하나님의 위대한 창조를 찬양하며 피조물의 보호에 대한 사명을 되새기는 절기입니다. 하나님은 창조세계를 은혜로 보존하십니다. 노아 홍수는 창조세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 사건에는 피조물에 대한 하나님의 분노보다는 하나님의 한없는 자비와 … -
[설교] 거룩한 불만족
창조자가 우리를 지으실 때 창조자를 향하도록 우리를 지으셨기 때문에 그분 안에서 쉬기까지 우리는 만족할 수 없습니다. 이것을 ‘거룩한 불만족’(divine discontent)이라고 합니다. 세상에서 우리는 “하늘에 있는 본향을 사모”(히브리서 11:14, 16)하는 나그네들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순례를 멈추지 … -
[설교] 지금, 여기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지금 여기’의 삶이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삶은 소유물이 아니라 순간순간의 ‘있음’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그 한때를 최선을 다해 최대한으로 살아야 합니다. 이것이 신앙인의 온당한 모습입니다. 우리는 지금 여기에서 자신의 두 다리를 땅에 굳건히 딛고 반짝이는 두 눈을 … -
[설교] 남자나 여자나
창세기가 기록한 창조와 타락의 이야기는 남성과 여성이 동등한 동반자이며,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는 현실은 불순종의 범죄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의 결과라고 말합니다. 인간의 존엄성을 깨뜨리는 모든 폭력과 억압과 차별과 배제가 본래의 창조질서가 아니라고 선언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세상… -
[설교] 르호봇
이삭은 신앙의 역사에 있어서 아버지 아브라함과 자신의 아들인 야곱 사이에 묻혀 미미한 존재감만을 가진 듯이 보입니다. 하지만 그는 밖에서 어떤 위협과 시련이 다가와도 내면의 깊은 의지와 믿음으로 흔들리지 않았습니다. 모리아 산 위에서 하나님의 준비하심을 뼛속 깊이 깨달았기 때문에 그는 … -
[설교] 선한 싸움
“나는 선한 싸움 다 싸우고,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습니다”(디모데후서 4:7). 사도 바울이 자신의 삶을 회고하며 사랑하는 제자 디모데에게 전한 말입니다. 우리도 바울처럼 살아야 합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선한 싸움’을 싸우고 ‘달려갈 길’을 끝까지 완주해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 -
[설교] 몸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지금 세상은 쾌락을 갈구하며 마약에 탐닉하며 도덕의 나락으로 빠져가고 있다. 마치 2천 년 전 고린도라는 도시를 보는 느낌이다. 당시를 풍미하던 이원론적인 세계관을 오늘날에도 따르는 신앙으로는 이러한 풍조를 정화할 수 없다. 영혼만 귀하고 육신은 천하다 가르치는 신학은 쾌락주의의 공범이…
최신 기사
-
교계/교회"강진으로 깊은 상실을 겪고 있을 미얀마 국민들 위해 기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이하 NCCK, 총무 김종생 목사)가 강진 피해로 슬픔에 잠겨 있을 미얀마 국민들과 ... ... ... -
교계/교회"사회적 불안과 혼란이 임계점 넘어섰다"
천주교 교구장 6명을 포함해 사제와 수도자 3283명이 30일 시국선언문을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차일피일 미뤄지고 ... -
교계/교회[향린교회 한문덕 담임목사 설교] "온전한 치유를 위한 두 가지 믿음"
"오늘쯤이면 내란 수괴는 파면되고, 우리 모두는 조금씩 일상을 회복하리라 기대했지만, 아직까지도 ... ... -
학술복합적 위기에 직면한 한국교회 성가대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실천신학을 가르치는 이상일 교수(음악목회)가 「신학과 실천」 최신호에서 한국교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