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 jangkong

    장공콜로키움 "장공의 교회론" 개최

    장공 콜로키움이 "장공의 교회론"이란 주제로 오는 28일 오후 4시 30분 경동교회 선교관에서 열린다. (사)장공기념사업회가 주관하는 이번 콜로키움에서는 장공의 교회론 연구로 학위논문을 쓴 윤교희 목사(분당한신교회)가 발표를 하고, 한문덕 목사(향린교회)가 논찬을 진행한다.
  • ai

    "강인공지능(AGI)은 하나님의 형상을 지니고 있는가?"

    박종환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예배설교학)가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34집(2024년 가을호)에 'Imago Dei, Imago AI: 강인공지능(AGI)은 하나님의 형상을 지니고 있는가?'란 제목의 연구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박 교수는 이 논문을 통해 AGI의 등장이 신학적 인간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했는데요. 관…
  • jangyoonjae

    "『채식주의자』는 그리스도교 신학과 서구 이성의 폭력에 대한 고발장"

    토스토예프스키는 "내가 세상에서 한 가지 두려워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내 고통이 가치 없는 것이 되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기후 위기 시대 '코로나'로 대표되는 지금의 시간을 "이 또한 지나가리라"는 막연한 말로 위로할 때가 아니라 그 (고통의)의미를 곱씹으면서 성찰의 시간으로 삼아야 한…
  • 소금 유동식 박사 작품 전시회

    "K-신학, 이제 내용보다 방법에 주목해야"

    한국 신학의 유형화에 관한 고찰을 진행한 논문이 발표됐습니다. 소설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여로 K-문학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신학계 안에서는 K-신학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 지고 있는 분위기인데요. 이찬석 교수(협성대, 조직신학)가 발표한 해당 논문은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34집(10…
  • dongchoon_03

    "배타적 칭의론에서 환대적 칭의론으로"

    한국신학아카데미(원장 김균진 박사) 2024년 가을학기 학술세미나가 '칭의론의 사회적 해석'이라는 제목으로 18일 오후 1시 안암동 소재 연구소 세미나실에서 열렸습니다. 관련 소식입니다.
  • 한국신학아카데미 가을학기 세미나 '칭의론' 주제

    한국신학아카데미(원장 김균진) 가을 세미나가 '칭의론'을 주제로 10월 18일, 11월 15일 개최된다.
  • calvin

    "16세기 칼뱅은 충분히 진화론적 사유를 하고 있었다"

    이오갑 강서대 명예교수(조직신학)가 「신학논단」 제117집(2024 가을호)에 '칼뱅의 창조론과 진화론'이란 제목의 연구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 논문에서 그는 최초의 진화론 사상가로 불리는 라마르크보다는 250년, 다윈보다는 300년이나 앞서 살았던 인물인 칼뱅에 대해 "그가 진화론에 대해 어떤 태도를 …
  • sonhohyun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의 모호성을 극복하는 원효의 체상용의 삼위일체론

    아우구스티누스 사상과 원효의 체상용의 불교철학 사상을 비교 연구한 글이 발표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손호현 교수(연세대 신과대학)는 얼마 전 열린 제18회 배민수 목사 기념강좌에 두 번째 강연자로 나서 두 사상 간에 대화를 시도했는데요. 관련 소식입니다.
  • kimjunghyung

    "개인 구원만 지나치게 강조해 창조 신앙 무력화돼"

    창조 신앙을 고백하는 한국교회가 개인 구원만 지나치게 강조하다 보니 신앙이 사사화 되면서 연대 책임을 물어오는 기후 위기라는 시대적 현실 앞에 제대로 응답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성이 나왔습니다. 관련 소식입니다.
  • kci

    「기독교철학」 2024년 여름 제40호 발간돼

    KCI 등재지 「기독교철학』(2024 여름)이 최근 발간됐습니다. 관련 소식입니다.
  • ring_01

    "신의 섭리 숨어있는 『반지의 제왕』, 현대의 종교적 현실과 닮아"

    『반지의 제왕』의 작가 톨킨의 섭리와 『반지의 제왕』을 연구한 논문이 발표돼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숭실대 권연경 교수(성서학)는 「신학과 사회」 여름호에 발표한 논문 '이야기로 그려내는 섭리와 자유'에서 가톨릭 신자이기도 한 톨킨의 작품 세계에서 나타나는 신의 섭리와 그것이 현실 세계…
  • 하이데거

    [논문소개] 탈존적 주체, 유목적 주체, 포스트휴먼 주체

    이관표 박사의 논문 "미래 시대 새로운 주체 이해의 모색"은 세 명의 현대 및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자들의 주체 이해를 소개한다. 마르틴 하이데거, 질 들뢰즈, 로지 브라이도티다. 하이데거는 현대적 주체 이해의 새로운 장을 열었고, 들뢰즈는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음과 동시에 하이데거를 넘어서려 하…
  • hanshin

    '문학으로 읽는 종교와 영성'

    한신대가 오는 9월 12일부터 11월 14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1시 서울캠퍼스 컨벤션홀에서 2024년 2학기 목요강좌를 진행합니다. 관련 소식입니다.
  • 서강대 신학연구소 2024 추계 심포지엄

    서강대 신학연구소 추계 심포지엄 "세계청년대회와 한국청년"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가 2024 추계 심포지엄을 "세계청년대회(WYD)와 한국청년" 주제 하에 개최한다. 심포짐엄은 9월 27일과 28일 양일간 서강대 다산관에서 진행된다.
  • 연세 신학 강좌

    연세대 연신원의 9월 강연 "아우구스티누스와 원효"

    연세대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이 9월 5일 두 개의 강연을 진행한다. 하나는 박종현 교수(명지대)의 "1930년대 장로교 농촌운동의 사상적 다양성"이고 다른 하나는 손호현 교수(연세대)의 "아우구스티누스와 원효: 체상용의 삼위일체로서의 진리"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