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으로 말하면 그리스도인들은 신약성서 시대를 사는 사람들이다. 이 시대를 사는 그리스도인들이 구약성서를 어떻게 대할 것이며, 특히 구약의 율법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질문이다. 죄인의 구원을 위해서 율법은 어떠한 역할을 했는가? 율법, 특히 도덕적 율법들(Moral Laws)은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의무적으로 순종해야 하는 규범(Norm)인가? 십계명과 십일조 헌금 등의 율법들은 복음의 시대에도 계속해서 유효한 것인가? 이 글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제시한다.
[편집자주] 11월 15일(목) 오후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 1층 소강당에서 열린 기독교신문 창립 10주년 기념감사예배에서 서광선 목사(본지 회장, 이화여대 명예교수)가 "진리가 무엇이냐"를 주제로 설교를 맡았다. 서 목사는 이 설교에서 거짓으로 치부되었던 예수의 유언비어와 유신 시대의 유언비어를 각각 권력과 진리, 권력과 언론의 관계로 짚어보면서 진리를 조롱하는 권력자(빌라도)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예수의 말씀과 "하나님 나라"의 선포의 틀에서 찾으며 기독교 언론의 사명을 살펴보고자 했다. 서 목사의 동의를 얻어 설교문 전문을 싣는다.
샬롬을꿈꾸는나비행동는 정부의 대북정책에 관한 논평을 발표하고 "북한 주민의 인권 개선은 핵 폐기 대북정책에서 방기되어서는 안 [되며]" 정부는 "북한 정권을 변호하지 말고 북한 주민의 삶과 인권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10월 22일 향년 85세를 일기로 유진 피터슨(Eugene H. Peterson) 목사가 서거했다. 그는 『메시지 성경』, 『이 책을 먹어라』, 『현실에 뿌리박은 영성』 등 30여 권의 저서를 남겼다. 그가 남긴 기억할 만한 명언들 20가지를 소개한다.
당신은 가난한 사람들을 어떻게 대하는가? 이 세상의 가난한 사람들에 대해 하나님께서 어떤 마음을 갖고 계신지를 깨닫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666은 문자 그대로 사람의 이름을 의미한다. 666은 앞으로 나타날 적그리스도의 이름을 나타내는 숫자이다. 이름에 숫자를 부여하는 방식을 "게마트리아"(gematria)라고 부르는데, 이름에 있는 철자들의 값을 더하는 그리스(헬라)식 관행이다. 라틴어로는 이 관행을 "이솝세피즘"(isopsephism)이라고 부른다. 헬라어의 철자에는 각각 숫자가 지정되어 있어서 이름에 나온 철자들의 숫자를 합하면 이름의 숫자를 얻게 된다.
우리나라 프로테스탄트 교회들은 충분히 민주적인가? 예수님을 구주와 주님으로 믿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실제 교회생활에서 평등한 지위를 누리고 있는가? 본고는 이 의문과 관련하여, 어떻게 교회가 보다 민주적으로 운영되며 교회구성원들도 보다 평등한 관계를 유지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평신도들의 적극적이고 책임적인 참여가 현실화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우리나라 프로테스탄트 교회들은 충분히 민주적인가? 예수님을 구주와 주님으로 믿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실제 교회생활에서 평등한 지위를 누리고 있는가? 본고는 이 의문과 관련하여, 어떻게 교회가 보다 민주적으로 운영되며 교회구성원들도 보다 평등한 관계를 유지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평신도들의 적극적이고 책임적인 참여가 현실화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내용은 5회로 나누어 전재될 것이다.
우리나라 프로테스탄트 교회들은 충분히 민주적인가? 예수님을 구주와 주님으로 믿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실제 교회생활에서 평등한 지위를 누리고 있는가? 본고는 이 의문과 관련하여, 어떻게 교회가 보다 민주적으로 운영되며 교회구성원들도 보다 평등한 관계를 유지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평신도들의 적극적이고 책임적인 참여가 현실화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내용은 5회로 나누어 전재될 것이다.
우리나라 프로테스탄트 교회들은 충분히 민주적인가? 예수님을 구주와 주님으로 믿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실제 교회생활에서 평등한 지위를 누리고 있는가? 본고는 이 의문과 관련하여, 어떻게 교회가 보다 민주적으로 운영되며 교회구성원들도 보다 평등한 관계를 유지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평신도들의 적극적이고 책임적인 참여가 현실화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내용은 5회로 나누어 전재될 것이다.
우리나라 프로테스탄트 교회들은 충분히 민주적인가? 예수님을 구주와 주님으로 믿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실제 교회생활에서 평등한 지위를 누리고 있는가? 본고는 이 의문과 관련하여, 어떻게 교회가 보다 민주적으로 운영되며 교회구성원들도 보다 평등한 관계를 유지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평신도들의 적극적이고 책임적인 참여가 현실화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내용은 5회로 나누어 전재될 것이다.
"경애하는 이홍정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님, 이번 9월 18일에서 20일 까지 문재인 정부로서는 세 번째 남북정상회담의 수행원으로 평양과 백두산에 다녀오신 것 경하 드립니다. 남북 정상회담이 2000년 이래 다섯 번이나 있었지만, 이번에 처음으로 남한의 종교인 대표의 한 분으로 초대되어 2018년 제3차 남북정상회담의 현장에 참관하실 수 있은 것은, 저와 같은 한국 기독교인이며 신학자의 한 사람으로 영광으로 생각하며 자긍심을 가지게 됩니다."
전도가 일상생활과 연계되지 않으면 낯선 부담일 수 있다. 전도가 일상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도록 그리스도인으로서의 경험을 "배선"하는 것이 훨씬 더 좋을 것이다. 일상생활 속에서 전도를 실천할 방법 세 가지를 소개한다.
많은 성경 애독자들이 창세기의 서두 몇 장을 야심차게 읽기 시작하다가 계보를 두어 개 읽고 나면 앞으로 더 이상 나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창세기의 내용과 장들과 메시지에 대해서 귀중한 정보를 조금 밖에 알지 못한 채 멈추어서는 안 된다.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은 모두 성경의 첫 번째 책인 창세기를 반드시 읽어야 한다. 우리는 창세기의 인물들과 친숙해져야 하며 주제를 더 깊이 이해해서 창세기가 나머지 다른 성경에 어떤 배경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예수께서 마태복음 7장에서 판단자들의 위선적 속성을 지적하신 이유는 그들이 죄나 다른 사람을 돕는 일에 대해서 진정으로 고민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들이 죄에 대해서 진정으로 고민한다면 그들은 그들 자신의 죄를 먼저 처리했을 것이다. 자기 눈에 있는 들보는 무시하면서 다른 사람의 눈에 있는 티끌을 염려한다는 사실 자체가 이것을 증명한다.
종교비판에서 신앙성찰로(19): 포이어바흐의 무신론적 통찰을 중심으로인간을 가리켜 우상 공장이라 하지 않았는가? 그만큼 우상의 마력은 인간 삶 전체에 걸쳐 뿌리 내려 막강한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다. 우상파괴가 말처럼 쉽지 않은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