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 산정현교회를 떠나 부산 나병원으로

    산정현교회를 떠나 부산 나병원으로

    송창근 목사의 지도 아래 산정현교회는 날이 갈수록 부흥했다. 교인 수가 많이 늘어서 교회 건물이 비좁아졌다. 교회 건물은 한식으로 건물 내부에 여기저기 기둥이 박혀 있어서 1935년 여름 교회 신축 문제가 대두됐다. 이는 전 교인이 모두 동의하고 있었다.
  • [김진호] 필립비의 ‘악령’들린 노예소녀

    영화 (The Sixth Sense, 1999)에는 한 소년이 혼령과 대화를 한다. 소년이 공포에 휩싸인 것은 당연한 일이겠다. 그러나 결국 두려움 없이 혼령과 소통하게 된다. 그런 점에서 이 영화는 공포영화다운 어법에서 벗어나 ‘성장담’의 형태를 띠고 있다. 나아가 그 소통을 통해 인간의 사회적 행위에 혼령의 언어…
  • 평양 산정현교회로 부임하다

    평양 산정현교회로 부임하다

    송창근 목사가 산정현교회에 부임한 것은 1932년 4월 상순이었다. 산정현교회는 일명 산정재교회라고도 불렸다. 현(峴)은 고개를 말하는 것이라서, 고개 ‘재’ 자를 넣어 부르기도 하는 것이다. 산정현교회는 장대현교회에서 분립한 교회다. 장대현교회의 교인들이 늘어나면서 1903년 남문외교회가 분립…
  • 만우 송창근 6년만의 귀국

    만우 송창근 6년만의 귀국

    송창근이 뉴저지 주의 프린스톤 신학교에서 펜실베니아 주 피츠버그에 있는 웨스턴 신학교로 전학해 간 것은 1928년 9월 초였다. 1928년 가을 학기부터 피츠버그에서의 삶이 시작되었다. 피츠버그 시는 역사가 오랜 도시였다. 시의 이름은 식민지 시대에 영국 수상이었던 윌리엄 피트의 이름을 따서 지어…
  • [이장식 칼럼] 교회법과 세상법

    작금 한국교회 안에서 개교회, 또는 교단들이 대내적인 분규사건을 해결하지 못하여 세상 곧 나라의 법정에 고소하여 판결을 요청한 일이 많았다. 이것은 한국교회의 권위와 위신을 추락시키는 일이지만 나라의 법원의 판결에 불복하는 편에서 교회법이 세상법보다 우얼하다는 주장을 하면서 교회법과…
  • 프린스톤 신학교로 전입

    프린스톤 신학교로 전입

    1927년 9월, 송창근은 11개월 간의 캘리포니아 주의 샌프란시스코 생활을 마감했다. 그가 “금을 주고도 바꿀 수 없는 생활”을 한 그 곳을 떠나서 뉴저지 주의 프린스톤으로 간 것은 ‘1927년 9월 하순’이었다. 그는 샌프란시스코를 떠나 미주 대륙을 횡단하여 프린스톤으로 향했다. 프린스톤 신학교와 정…
  • [김흡영 칼럼] 창조냐, 진화냐?

    창조론이냐 진화론이냐 하는 것은 한국교회에서 아직도 끝나지 않은 심각한 문제이다. 작년 가을 EBS 금요토론 시간에 출연하여 이 주제를 다루면서 사태의 심각성을 다시 한 번 절감하게 되었다. 이미 다윈의 진화론은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처럼 과학적 기정사실로 인정받고 있다. 그래서 학교에서는 …
  • [김진호 칼럼] 불타는 몸

    왕은 떨리는 목소리로 왕자를 바치라고 명합니다. 신속하게 의식이 준비됩니다. 지체할 틈이 없습니다. 온 국토를 불구덩이로 만들며 사방에서 시시각각 조여 오는 적군을 몰아내려면 더 지체할 수 없습니다. 도성 남쪽의 ‘힌놈의 아들 골짜기’의 도벳에, 그 성소에 불이 지펴집니다. 순식간에 불꽃이…
  • 아! 샌프란시스코

    아! 샌프란시스코

    1922년 여름방학의 전국 순회 대강연 여행을 마친 뒤, 송창근은 동경으로 귀환하여 동양대학 문화학과에 계속 다녔다. 그러다가 1924년 봄 학기에 신호(神戶:고베) 신학교에 편입하여 본격적으로 신학을 공부하기 시작했다. 이후 1924년 가을 학기에 청산학원 신학부 전문부(3년제)의 2학년으로 편입했다. 청…
  • [손규태 칼럼]월가의 황금송아지와 금융위기

    미국 뉴욕에 있는 월가(Wall Street)는 1624년 유럽에서 건너온 네덜란드인들이 살던 지역이다. 이 길의 이름은 인디언들의 공격을 막기 위해서 통나무로 된 방어벽을 쌓은 것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영국 식민지 세력이 여기에 정착하기 훨씬 전의 일이다. 이 월가라는 거리는 성공회 대성당인 삼위일체 교회…
  • 일본 동양대학 유학시절과 한국 순회 전도 강연

    일본 동양대학 유학시절과 한국 순회 전도 강연

    김재준과의 만남에서 보았듯, ‘인재 발굴하여 키우기’는 송창근이 지난 특성 중 하나였다. 그런데 송창근이 그 못지않게 마음을 쏟아 노력한 것이 ‘자신을 키우기’였다. 남대문교회 전도사 노릇을 하던 송창근은 아직 20대 초반의 젊은 나이에 서울에서 손꼽히는 큰 교회의 전도사가 된 것으로 만족…
  • [채수일 칼럼] 팔레스타인의 평화를 위하여

    [채수일 칼럼] 팔레스타인의 평화를 위하여

    1. 이스라엘은 작년 12월 27일 가자 지구에 대한 이른바 ‘캐스트 레드’ 작전을 개시, 지금까지 1천여 차례 이상의 대규모 공습을 가했다. 공습으로 주요 시설 대부분이 파괴된 것은 물론, 침공 20일 째를 맞은 1월 15일, 1,000명 이상의 팔레스타인인들이 희생당했다. 이스라엘은 수백 톤의 폭탄을 퍼부은 것…
  • [이학영] 21세기를 살아가는 한 크리스천의 고민

    가끔 망상을 한다. 세상이 만약 하나의 집안이라면 좋겠다고. 그렇게 된다면 지구상 어느 한 쪽에는 먹을 것이 넘쳐나 성인병을 걱정하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다른 한쪽에서는 굶주림과 원시적 질병으로 이른 나이에 사람들이 죽어가는,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들이 …
  • [기자수첩] 제 눈의 들보를 먼저…

    얼마 전 모 신문의 젊은 기자가 전화를 걸어왔다. 그는 “에큐메니컬 진영의 편집고문을 세운다고 해서 진보 신문이 될 수 있느냐”고 물었다. 그래서 “에큐메니컬 신문을 시작하려고 하니 에큐메니컬 지도자들로부터 자문을 받으면서 가려고 한다”고 답했다.
  • 송창근의 호 만우(晩雨) 또는 시온성(時蘊城)

    송창근의 호 만우(晩雨) 또는 시온성(時蘊城)

    송창근은 23세 이전에 이미 자신의 호를 지어서 사용하기 시작했다. 만우(晩雨)’ 이하자면, ‘늦은 비’라고 표기되는 아주 운치 있는 호였다. 그는 1921년 5월에 발표한 자신의생애 첫 논설의 필자명을 ‘송만우(宋晩雨)’라고 표기할 만큼, 그는 자신의 호에 대해서 큰 자긍심도 지니고 있었다. 그런데 …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