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 이후 교회가 보여준 태도는 내적인 방향으로 정체성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흘러 사회와의 유대 관계를 소홀히 여기는 경향을 보여주었다며 팬데믹 속에서 종말 공동체로서 교회 본성의 방향을 숙고한 논문이 발표됐습니다. 관련 소식입니다.
요한계시록을 제국에 대한 저항담론으로 보고 이 문서를 분단된 한반도라는 상황 안에서 사회사적, 해방신학적 그리고 여성주의적으로 해석한 신간 『제국과 계시』(이병학 저, 나눔사)가 출간됐습니다. 저자는 요한계시록을 신약성서 중 가장 반제국주의적인 문서라고 규정했는데요. 관련 소식입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김종생 총무) 국제위원회(박원빈 위원장)가 최근 아시아기독교협의회(Christian Conference of Asia, 이하 CCA) 15차 총회 보고대회를 진행한 가운데 6일 후기를 나눴습니다. 관련 소식입니다.
한국교회가 사역 전반에 걸쳐 다양한 세대 갈등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대 갈등 항목 중에서는 '의사소통 방식' 비중이 컸다. 3명 중 2명 꼴이었는데요. 관련 소식입니다.
뜨거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던 민중신학자 고 안병무 선생의 '민중 메시아론'에 대해 서구신학자를 비롯해 민중신학자들 마저 민중을 실체화하는 우를 범했다며 안 선생의 민중은 "실체가 아닌 사건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관련 소식입니다.
「대학과 선교」 최신호(57호)에 장윤재 교수(이화여대, 조직신학)의 '기후위기 시대의 생명선교와 기독교대학의 사명'이란 제목의 논문이 실렸습니다. 이 글에서 장 교수는 코로나19로 촉발된 생태 이슈와 관련해 "지금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만이 아니"라며 '생태적 거리두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는데요. 관련 소식입니다.
한국기독교학회가 11월 4일 "대전환 시대, 신학교육의 변화를 말하다"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조직신학분과 연구논문 발표의 자리이다.
한신대 명예교수 황성규 목사가 지난 29일 소천했다. 빈소는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14호에 마련됐으며 추모예배는 30일 오후 7시 2층 영결식장에서 향린교회, 한신대학교, 서울북노회, 심원안병무선생기념사업회 등이 공동 주관했다. 발인은 31일 오전 6시 50분 빈소에서 진행됐다. 유가족으로는 부인 김수자 권사, 자녀 황은진 황은영, 사위 김기호 나영훈 등이 있다. 장지는 분당 메모리얼파크.
전임 총무의 중도사퇴로 잔여 임기를 맡고 있는 김종생 NCCK 총무가 26일 정기실행위원회에서 임기 첫 총무보고를 했습니다. 김 총무는 보고에서 "취임 이전 선출과정의 진통과 호된 신고식을 경험하면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 오게 되었고, 총무라는 자리의 무거움을 깨달았다"고 운을 뗐는데요. 관련 소식입니다.
'신학사상' 최신호(202집)에 루터의 두 왕국론 구도에서 그의 자연법과 그리스도 법의 상관성을 연구한 논문이 게재됐습니다. '마르틴 루터 신학에서 'lex naturae'와 'lex Christi'의 상관성 고찰: 그의 두 왕국론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글에서 김주한 교수(한신대)는 루터의 법적 사상은 그의 두 왕국론을 통해 접근할 때 그 근본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요. 관련 소식입니다.
원로 신학자들인 강근환, 김경재, 김균진, 김영한, 정일웅, 오성종 박사가 지난 16일 '한국신학아카데미'를 발족했습니다. 원장은 김균진 박사가 맡았는데요. 관련 소식입니다.
세계적인 석학인 독일의 신학자 미하엘 벨커 교수가 방한한 가운데 19일 오후 신촌성결교회에서 열리는 2023 제14회 케리그마 신학 컨퍼런스 강사로 나섭니다. 본지가 미리 입수한 발제문에 따르면 벨커 교수는 이날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몸과 성만찬 집전'이란 주제로 발표할 예정인데요. 관련 소식입니다.
낮은담교회 김관성 목사가 예언 기도로 영혼을 사냥하는 종교 장사치들을 경계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김 목사는 전도서 7장 14절 말씀을 본문으로 한 지난 15일 주일예배 설교에서 예수 믿는 신자 중에 가장 어리석은 신자들로 "신앙의 힘으로, 기도의 힘으로 자신의 앞날을 예측하고 알려고 몸부림 치는 신자"를 꼽으며 이 같이 밝혔는데요. 관련 소식입니다.
『기독교철학』 최근호(제37호)에 '기독교 세계관과 기독교 철학'이란 제목의 손봉호(85) 서울대 명예교수의 글이 실렸습니다. 이 글에서 손 교수는 통시적인 관점에서 기독교 세계관의 형성사를 논하며 현대 기독교 세계관의 특징과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했는데요. 관련 소식입니다.
[이화대학교회 장윤재 담임목사 설교] "여호와는 나의 목자""우리 모두는 마라토너입니다. 42.195km, 그 끝을 알 수 없는 먼 길을 달리는 마라토너들입니다. 이 긴 인생의 여정에서 우리는 낙오하기도 합니다. 탈락하기도 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