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가수 화요비, 베트남에서 봉사활동

    가수 화요비, 베트남에서 봉사활동

    가수 화요비가 베트남에서 봉사활동을 펼치고 돌아왔다. 화요비는 청소년 봉사단과 함께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월드비전 한국에서 지원하는 베트남 트라미(Tra My) 사업장을 방문해 농업 개발사업을 살펴보고, 뉴엔비엣 쑤안(Nguyen Viet Xuan) 초등학교를 방문해 수업을 참관하기도 했다.
  • 김 추기경 뜻 이은 모금법인 ‘바보의 나눔’ 출범

    故 김수환 추기경의 나눔 정신을 잇는 모금 전문 법인이 출범한다.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모금 전문 재단법인 ‘바보의 나눔’을 만들기로 하고 관련 부처에 설립인가 신청을 했으며, 빠르면 김 추기경 서거 1주기(2월 16일)에 맞춰 출범시킨다고 3일 밝혔다.
  • “진보나 보수나 국가권력에 봉사하는 건 마찬가지”

    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김두식 교수(44)는 대학에서 형법과 형사소송법을 가르치며 국가의 법 질서를 강화하는 데 한몫하고 있다. 한편 그는 예수전도단, 기독법률가회, 높은뜻숭의교회 등에서 신앙생활을 하며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의 시민권과 ‘하나님나라’의 시민권 중 무엇이 더 중요한가를 …
  • 600년이 지나도 그 향기 여전…<그리스도를 본받아>

    과 함께 기독교 3대 고전 중 하나로 꼽히는 를 이주익 목사(용산감리교회)가 번역 재출간했다. 감신대와 연세대를 거쳐 미국 필라델피아 성서대학원에서 공부하고 4번째 교회로 용산감리교회를 시무하고 있는 이주익 목사는 평신도들의 균형 잡힌 신앙생활을 안내하는 같은 책을 꾸준히 내왔다.
  • 나는 왜 그 지옥으로 다시 돌아갔나

    나는 왜 그 지옥으로 다시 돌아갔나

    매춘 시장에서 벌어들이는 돈이 정부의 1년 예산과 맞먹는 나라가 있다. 역사 속에서 ‘킬링필드’로 기억되는 나라, 캄보디아다. 20년에 걸친 내전 동안 수백 만 명이 살해된 전쟁은 사람들의 가슴에 지울 수 없는 상흔을 남겼다. 그리고, 상처 받은 그들은 가장 약한 ‘소녀’들에게 또 다른 상처를 가…
  • 국내 유일 수메르어 전공자가 쓴 ‘예수평전’

    국내 유일의 수메르어 전공자이자 성서학자인 조철수 박사가 고대 문헌을 통한 예수 연구의 결과로 (김영사)을 냈다. 신약성경은 그리스어로 된 사본이 가장 오래된 기록. 저자는 “예수의 전기는 원래 히브리어나 아람으로 쓰여 있었는데, 그리스 문화에 익숙한 세상에 전파되면서 그리스어로 번역되…
  • ‘교회 중심의 선교’ 벗어나려면 두 가지 복음 알아야…

    “우리 한국 기독교의 가장 큰 문제가 바로 이러한 엉터리 신앙, 값싼 은총을 남발하고 있다는 데 있다. 한국 교회에서 구원은 십자가를 지는 자기희생과 자기부정의 어려운 길, ‘좁은 길’이 아니라, 너무 쉽고 편한 길, 넓은 길이 되어 버렸다.”
  • ‘한국교회’ 주제로 100분 토론 한다면…

    한국교회에 일곱 유형의 크리스천이 있다고 해보자. 예를 들어 보수신학자와 진보신학자처럼 각 유형을 대표하는 7명을 한 자리에 모아 손석희가 진행하는 ‘100분 토론’ 같은 프로그램을 연다면 어떨까?
  • ‘가난’ 외면하며 ‘부자되는 법’ 가르치는 한국교회에…

    ‘가난’ 외면하며 ‘부자되는 법’ 가르치는 한국교회에…

    ‘돈, 많이 벌고 싶다’라는 홍보 문구를 단 김동호 목사의 가 베스트셀러가 되는 시대다. 기복신앙을 버리고 깨끗한 부자가 되라고 설파하는 이 책이 ‘틀렸다’고 단정지을 수 없지만, 그래도 씁쓸한 뒷맛을 남기는 건 확실하다. 사회에 만연한 가난의 문제를 애써 외면하면서까지 ‘부자 돼라’고 말…
  • 생명공학의 눈부신 발전…위협받는 ‘인간의 존엄성’

    생명공학의 눈부신 발전…위협받는 ‘인간의 존엄성’

    눈부신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21세기 인류는 그 어느 시대 보다 많은 혜택을 누리며 살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생명공학의 발전은 전 인류의 소망이라고도 부를 법한 ‘생명 연장’의 가능성을 활짝 열어 인류의 밝은 내일을 약속하고 있다. 그러나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듯이 생명 공학이 낳을 수 …
  • “비판만이 답이 아냐…이제 ‘대안’을 논해야”

    “비판만이 답이 아냐…이제 ‘대안’을 논해야”

    국내의 대표적인 종교사회학자 이원규 교수(감신대)가 신간 (동연)를 펴냈다. 이 책은 종교사회학의 원론을 배제하고 한국교회와 사회의 구체적인 현실만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실천적이다.
  • "종교와 정치…침묵도 정치임을 잊지 말아야"

    "종교와 정치…침묵도 정치임을 잊지 말아야"

    인간의 먹고 사는 문제부터 시작해 영혼의 구원에 이르기까지 종교는 인간이 던진 수많은 물음들에 답해왔고, 지금도 답하고 있다. 이화여대 서광선 명예교수가 두 번째 증보판을 냈다. 이번 증보판에는 ‘정치와 경제’에 대한 각 종교들의 다양한 이해들을 충실히 담았다. 비교종교학이란 학문적 방…
  • <조르주 루오전> 개막

    <조르주 루오전> 개막

최신 기사